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외양간
우사
울타리
담장
담
가축 우리
닭장
d라이브러리
"
우리
"(으)로 총 14,892건 검색되었습니다.
산림환경연구소 나무를 위한 맞춤병원!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우리
주변의 나무들은 벌써 더워서 헉헉 대고 있을지도 몰라. 나무에 새순이 돋는 4월!
우리
주변의 숲과 나무에 관심을 갖고 달라진 점이 없는지 관찰해 보는 게 어떨까? 친구들과 함께 나무도 한 그루 심어 보고 말이야 ... ...
수학으로 풍덩, 수영의 매력 속으로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순위에 따라 양옆으로 선수가 배치됐다. 미니 인터뷰“수영 훈련은 수학과 과학으로”
우리
나라 국민들이 ‘수영’에 관심을 갖기 시작한 것은 어느날 혜성처럼 등장한 ‘마린 보이’ 박태환 선수 때문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물론 박태환 선수 이전에도 국가의 위상을 높인 수영 선수들이 ... ...
PART 2 수학을 소재로 한 공포영화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응용해 보세요!그래도 모르겠다고요? 페르마의 밀실은 스페인 영화잖아요. 이 문제를
우리
식으로 바꾼 거예요. 1부터 9까지 숫자를 한글로 적으면 일 이 삼 사 오 육 칠 팔 구이고 이를 사전식으로 배열하면 구 사 삼 오육 이 일 칠 팔이죠. 이제 알겠죠? 정답은 사전식 배열! 영화에선 스페인어로 같은 ... ...
PART 3 비누막이 제시하는 최적화 해법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연구하지만 아직까지 비눗방울의 수학적인 성질에 대해 아는 것보다 모르는 게 더 많다.
우리
는 비눗방울을 보면서 당연히 동그랗다고 생각한다. 그런데 비눗방울이 수학적으로 동그랗게 생길 수밖에 없다는 사실은 1950년대에야 러시아 수학자 알렉산드로프가 증명했다. 또 플라토가 100년 전에 ... ...
낯선 땅에서 만난 고려인 친구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알잖나? 하하.”정말 오랜만에 맛보는 조국의 맛에 두 사람은 눈물이 핑 돈다.“역시
우리
나라의 맛이 제일이야. 하하.”“정말 맛있어요. 다른 나라 요리하고는 정말 비교가 안 돼요.”“이 맛을 지키기 위해서라도 빨리 독립을 이뤄야 할 텐데 말이야.”저녁식사를 마치고 초조하게 시계를 ... ...
[수학클리닉] 부등식 짚고 넘어가기!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선생님, 궁금합니다!●선생님, ‘부등식’은 일상생활 속에서 어떻게 사용되나요?
우리
는 값을 표현할 때, 종종 실제 값 대신 값의 범위를 이용해 나타내곤 합니다.예를 들어 ‘청소년이란, 청소년 기본법을 기준으로 9세 이상, 24세 이하인 사람’이라 정의하는 것처럼요. 이럴때는 9세부터 24세까지 ... ...
반지의 선택 그린랜턴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어느 우주를 받아들이는가는 독자의 자유다.히어로 팬들에게 히어로 영화를 보는 심리는
우리
가 익히 듣고 알아왔던 신화 속의 주인공을 만나러 가는 심리와 같다. 늘 만나던 친구를 다시 만나러 가는 것이다. 슈퍼맨에 대해 조금 익숙한 팬이라면 슈퍼맨 영화를 보러 갈 때에는 ‘크립톤 행성이 ... ...
익스트림 에너지공학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100kg이 갖는 에너지가 훨씬 크고 더 유용하다. 이처럼 고에너지 물질에 대해 연구하고,
우리
생활에 유익하게 적용하는 익스트림 에너지공학에 대해 알아보자.1 ‘익스트림 에너지공학’이란 무엇인가요?익스트림 에너지공학은 화약이나 레이저와 같은 고에너지 물질이 높은 압력과 온도 환경에서 ... ...
수상 이력 보다는 자유로움 꿈꾸길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것은 소프트웨어 산업의 미래를 생각할 때 안타까운 일이다. 경시대회를 강조할수록
우리
는 알고리즘 문제집 외의 것은 생각하지 못하는 그런 학생들을 만날 뿐이다. 울티마 시리즈로 유명한 리차드 게리엇은 게임을 만드는 사람들이라면 모르는 이가 없다. 그의 수상 이력은 게임계 명예의 전당에 ... ...
Part 3. 환경과 장묘문화가 만든 시간의 마법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고대의 정보를 통해 의학과 문화를 한층 더 풍요롭게 가다듬는 일은 현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
들의 의무가 아닐까.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한국 미라 기원을 찾아서Part 1. "세계에서 가장 깨끗한 미라"Part 2. 죽음의 안식처, 무덤에게 묻는다Part 3. 환경과 장묘문화가 만든 시간의 ... ...
이전
701
702
703
704
705
706
707
708
7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