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부
일체
모든것
뉴스
"
모든일
"(으)로 총 7,386건 검색되었습니다.
[기자의 눈] 만능세포, ‘추녀’가 만들었어도 주목했을까
과학동아
l
2014.03.18
‘일본판 황우석’ 미녀 과학자 ‘만능줄기세포 쇼’ 끝 日 미녀 과학자 ‘만능세포’ 논문 철회할 듯 줄기세포의 저주…일본 ‘과학 신데렐라’ 추락 만능세포로 불렸던 ‘자극야기 다능성 획득(STAP)세포’가 일장춘몽으로 막을 내렸음을 알리는 국내 언론기사들의 제목이다. ... ...
느낌 아니까! 터치는 따뜻한 손으로 천천히…
동아사이언스
l
2014.03.18
“내 몸에 손대지 말아요!” 연인 또는 부부 사이에 다툼이 있고 난 뒤 자존심을 굽히고 다가가 화해의 몸짓으로 어깨에 살짝 손을 얹는 순간 이런 말을 듣게 되면 정이 확 떨어지기 마련이다. 우리는 시각(바디랭귀지)과 청각(대화)을 통해 의사소통을 한다고 생각하지만, 정작 상대하기 싫은 ... ...
쓰레기 종이로 플라스틱 만든다고?
과학동아
l
2014.03.17
리그닌 바이오플라스틱으로 만든 휴대폰 케이스. 강도 면에서도 기존 플라스틱과 차이가 없다. - 경기지역협력연구센터 제공 국내 연구진이 종이를 만드는 과정에서 버려지는 폐기물로 플라스틱을 만드는 기술을 개발, 휴대전화 케이스까지 만드는데 성공해 화제다. 성균관대 고분자시스템공 ... ...
"공룡 멸종에 인류는 감사해야"
과학동아
l
2014.03.17
"2005년 중국에서 잠자는 자세로 죽은 공룡의 화석이 처음 발견됐습니다. 앉아서 꼬리로 몸을 두르고 머리를 품에 집어 넣고 있었죠. 공룡에게 깃털이 있었다는 증거이기도 했습니다. 새들이 이처럼 머리를 깃털 속에 넣고 자거든요." 지난 15일 ‘제7회 과학동아카페’에 참가한 이융남 한국지질 ... ...
애플, 안드로이드 진영 전체에 선전포고
동아일보
l
2014.03.17
[동아일보] 삼성전자와 美 2차 소송서 구글 전-현직 핵심 관계자들 대거 법정증인으로 신청 1차 소송이 디자인 위주였다면 이번엔 운영체제 기능이 타깃 31일부터 ‘별들의 전쟁’ 개시 ‘안드로이드를 무너뜨리기 위해서라면 핵전쟁도 감수할 수 있다.’ 2011년 발간된 월터 아이작슨의 ‘스티브 잡 ... ...
"지금같은 창조경제 정책 문제 많다"
과학동아
l
2014.03.14
“공과대학의 모든 연구실마다 창업을 권유한다는 아이디어는 처음부터 잘못됐다.” “국내 종자산업의 규모는 세계종자산업의 1% 수준에 불과하다. 심지어 일부 품목에서는 토종종자가 역수입되고 있을 정도다.” “일본 총리실 직속 종합과학기술회의의 ‘혁신적 연구개발추진 프로 ... ...
비오는 날도 4배 또렷한 인공위성, 우리 손으로 만든다
과학동아
l
2014.03.13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제공 2019년이면 흐리거나 비 오는 날씨에도 야구장 홈플레이트 모양을 구분할 정도의 세밀한 위성 레이더 영상을 우리 기술로 확보하게 된다. 12일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하 항우연)은 2019년 발사할 예정인 ‘다목적실용위성(아리랑) 6호’에 탑재하는 지구관측용 영상 레 ... ...
700년 만에 깨어난 씨앗의 꿈
어린이과학동아
l
2014.03.12
따뜻한 봄이 되자 점심을 먹고 나면 어김없이 눈꺼풀이 무거워진다. 이렇게 잠이 쏟아질 때면 동물들이 긴 겨울잠을 자듯 오랫동안 잠에 빠져보고 싶은 생각이 절로 든다. 하지만 사람은 꾸준히 밥도 먹어야 하고, 친구들과 신 나게 놀기도 해야 한다. 휴일에 한번 늘어지게 자기로 마음 먹어도 12 ... ...
[기자의 눈] 논문조작, 또 줄기세포야?
과학동아
l
2014.03.12
“어쩌면 황우석 박사의 ‘사이언스’ 논문 사진조작보다 더 악의적일 수도 있습니다.” 국내 줄기세포 분야 한 연구자는 일본 이화학연구소(RIKEN) 오보카타 하루코 연구주임이 개발한 STAP 세포 논란에 대해 조심스럽게 말했다. 공식적인 조사 결과가 나오지 않아 속단하긴 어렵지만, 지 ... ...
400년 만에 '新다면체' 발견
과학동아
l
2014.03.09
400년 만에 새로운 모양의 다면체가 발견됐다. 영국 일간지 데일리메일은 미국 UCLA 수학과 연구팀이 이론으로만 존재했던 ‘골드버그 다면체’를 확인했다고 2월 17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눈의 망막을 연구하던 스텐 세인 박사는 망막 세포 안팎으로 에너지를 통과시키는 ‘클라린’ 단백질의 구 ... ...
이전
701
702
703
704
705
706
707
708
7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