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양
해양
망망대해
바다
원
원양
넓은 바다
d라이브러리
"
대해
"(으)로 총 8,188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국제과학올림피아드 위원장 권원기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물리는 옵저버로 참가할 예정이다.-앞으로 한국과학올림피아드위원회의 활동방향에
대해
말한다면..."과학재단은 그동안 대한수학회를 통해 국제수학올림피아드에 참가할 예산만 지원하는 소극적인 역할에 머물렀습니다. 그러나 2000년대 과학기술선진국이 되려면 무엇보다 인력양성이 ... ...
온실효과로 인한 기온상승 밤에만 일어난다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관측기록을 근거로 '온난화 피해'의 가정을 뒤엎었는데, 왜 그런 결과가 나왔는지에
대해
다음과 같은 이론을 내세웠다.화석연료의 연소로 생기는 SOx(황산화물)의 미세입자는 태양빛을 반사하기 때문에 온난화는 태양빛이 없는 야간에만 효과가 나타난다. 즉 낮에는 SOx의 에어로졸이 태양빛을 ... ...
스티븐 메이슨 「과학의 역사」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다루고 있다. 주로 유럽의 과학 발달 과정을 기술하고 있지만 인도와 중국의 과학에
대해
서도 언급하고 있다.'과학의 역사'를 통해 앞으로만 달리기에도 벅찬 현대인들이 가끔씩 뒤를 돌아보는 것도 오히려 발전의 더 큰 밑거름이 된다는 것을 알게 되기를 희망해 본다. 이 책은 박성래 교수가 번역해 ... ...
(1) 「3년만에 20만」 통신인구 폭발적 증가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수행한 채 역사속으로 사라져 버린다.89년 봄 H메일 사용자들 가운데 우리나라 PC통신에
대해
좀더 많은 관심을 가졌던 사람들이 독립하여 엠팔(EMPAL, Electronic Mail PAL 즉 '전자사서함 친구'라는 뜻)이란 민간 전자게시판(BBS, Bulletin Board System)을 만들었다. 지금은 이 통신망이 운영되지 않지만 당시 ...
생명연장을 위한 인류의 도전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개는 8일 동안 생존했으며, 또한 그들은 동종이식의 경우 거부반응이 일어난다는 사실에
대해
서도 인식하게 되는 개가를 거뒀다.임상적으로 인간에게 처음으로 심장 이식을 행한 것은 1964년 1월의 일로 미시시피의 심장외과의사 제임스 하디가 집도했다. 당시 적절한 사람 심장을 얻을 수 없었기 ... ...
파라볼라 안테나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이러한 집속능력을 안테나 이득이라 부른다). 이렇게 고성능의 안테나를 쓰는 이유에
대해
서 좀 더 구체적으로 알아보도록 하자. 무궁화호 위성이 떠 있을 지점으로부터 한반도까지의 거리는 지역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 대략 3만7천km 정도인데, 다운링크 전파는 이 과정에서 마이너스 205dB(${1 ... ...
역사상 가장 불행한 수학자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① 9 ② 256 ③ 1024 ④ 125643 수학사에 커다란 발자취를 남긴 여러 수학자들의 생애에
대해
평가해 볼 때, 누가 제일 행복했느냐 하는 것은 답하기 어려운 문제일 것이다. 그러나 누가 가장 불행했느냐 하면, 거의 공통적으로 한 사람을 지목한다. 다음의 네 수학자 중 가장 불행했던 사람은 누굴까?① ... ...
화면속에 뛰어들어 실제체험 느끼는 가상현실의 세계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액츄에이터(actuator)가 설치돼야 하는데 이 장치의 핵심인 모터가 너무나 거추장스럽고 거
대해
손가락을 자유롭게 움직이는데 방해가 되고 있다. 따라서 극소형의 고출력 모터 등 새로운 장치가 개발되지 않는 한 실질적인 인공촉감의 실현은 지금으로선 어려운 형편이다. 더 나아가 물체의 질감까지 ... ...
준비는 완료, 장기확보가 문제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인명을 유린하지 않겠는가하는 우려의 목소리가 설득력있게 들리는 것이 현실.이에
대해
서울대의대 황상익교수(생리학)는 "헌혈이 활발해지면서 병원에서 피를 사들여 모을 필요가 없어져 매혈(賣血)이 사라졌듯이 현재의 장기매매도 기증을 늘여 매매의 필요성을 줄이는 수밖에 없지 않겠는가 ... ...
행성은 한 별자리에 머물지 않는다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미치고 있다. 시계 방향은 어떻게 정의됐을까. 이는 물론 지구상 북반구의 관측자에
대해
태양의 그림자가 이동하는 방향에서 비롯된 것이다. 만일 인류의 문명이 지구상 남반구에서 시작됐더라면 시계 방향은 틀림없이 반대로 정의됐을 것이다(이 서술도 결코 이해하기가 쉬운 것은 아니다).이제 ... ...
이전
702
703
704
705
706
707
708
709
7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