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
구
뽈
교회 점토
보울
빰
ball
d라이브러리
"
볼
"(으)로 총 8,409건 검색되었습니다.
정말 사진현상소를 사라지게 할까?
과학동아
l
199107
담은 플로피디스크를 스캐너에 넣음과 동시에 그들이 찍은 사진을 텔레비전 스크린에서
볼
수 있게 되었다. 당시 올림픽에 파견된 요미우리신문 사진기자들은 캐논 전자카메라로, 아사히신문 사진기자들은 소니의 전자카메라로 경기장면을 찍은 뒤 플로피디스크에 담긴 사진, 즉 데이터를 전화선을 ... ...
3. 자신에게 적합한 수준을 고르도록
과학동아
l
199107
사실 번거로운 일이다. 잡지를 정기구독하듯 다달이 진도에 맞춰 집에서 편리하게 받아
볼
수 있는 소프트웨어가 지난해부터 본격적으로 선보이고 있다.우선 다달학습지로 유명한 아이템플이 삼성전자와 손잡고 기존의 학습지와 별개로 제공하고 있는 알라템플에는 국민학교 4 5 6학년용(국어 산수 ... ...
1 전화벨에서 비행기까지
과학동아
l
199107
자동차 소음이 가장 심하다. 매년 수십만대씩 늘어가는 자동차 대수 증가추세를
볼
때 도로교통소음은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현재 새로운 도시 개발에 따른 도로 확장공사와 더불어 서해안 개발사업에 따르는 서해안 고속도로 신설 공사, 동해안 고속도로 확장 공사 등은 도로교통소음을 더욱 ... ...
4 고함소리의 1백억 배
과학동아
l
199107
재료의 변경으로 소음전달을 방지할 수 있으며 엔진 위치를 변경시켜 어느 정도 효과를
볼
수 있다. 요사이는 기체 내부에 인위적으로 소리를 내서 기체 외부의 소음을 실내에서 상쇄시키는 '능동소음제어'방법이 연구 응용되고 있다.항공기가 고속·대형화되고 대수와 운항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 ...
동물계의Mr. 클린 오소리 "나와 너구리를 같이 취급하지 말라"
과학동아
l
199107
그러나 이제는 기증자도 없을 뿐만 아니라 시장거리에서 판매되는 경우도 거의 찾아
볼
수 없다. 이러한 현상은 오소리가 살만한 장소가 농경지로 개간돼 점차 멸종돼 가고 있기 때문이다.포유동물인 오소리는 식육목(目) 족제비과(科) 오소리아과(亞科) 오소리속(屬)에 속하는데 지구상에 6속 8종이 ... ...
(2) 엔트로피와 화석이 창조론을 지지한다
과학동아
l
199107
마치 과학적으로 확립됐고, 증거된 이론이라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확률적으로
볼
때 단백질 하나도 우연하게 생길 가능성이 없고, 열역학법칙과도 화학진화가설은 상반된다. 물론 종(species)내의 변이는 사실이지만 대진화는 불가능하며 화석자료도 진화모델보다는 각 종류대로 창조됐다는 ... ...
1천9백여개의 망원경 탄생시킨 김한철씨
과학동아
l
199106
했다. 선두 과학에서는, 아니 김씨의 사랑방에서는 세계에서 발간되는 모든 천문잡지도
볼
수 있을 뿐더러 천문정보를 위해서라면 국제전화와 팩시도 무료다. 일반인을 위해 매주 천문정보 안내전화도 가설해 놓았다(02)455-1772. 때문에 전화요금만 해도 1년에 3백만 원씩 나온다고 한다.지금까지 ... ...
1 PC서브·케텔·인포서브
과학동아
l
199106
수 없다. 심지어는 인포서브를 운영하는 담당자조차도 CUG속에 어떤 정보들이 오가는지
볼
수 없다고 한다. 현재 인포서브내에 11개의 CUG가 운영되고 있는데 모회사인 삼보컴퓨터에 소속된 모임을 제외하면 7군데. 재야 의료단체인 인의협 건치회 청년한의사회 등이 인포서브의 CUG로 활동하고 있는 ... ...
공상에서 과학으로
과학동아
l
199106
나갈 수 있을 것인가. 우선 현재 진행되고 있는 과학기술의 발전에서 그 방향을 예측해
볼
수 있을 것이다. 현재 과학기술의 혁명적 전개는 초소형 초고속화되고 있는 컴퓨터, 날로 발전하고 있는 생명공학기술, 물리화학의 새로운 이론에 뒷받침된 신소재와 그 가공기술의 놀랄 만한 진보 등으로 ... ...
치타
과학동아
l
199106
같이 길고 날씬해 키가 한층 더 커 보인다. 이는 다른 고양이과(科) 동물에서
볼
수 있는 중족골(中足骨)이 없고 대신 대퇴골(大腿骨)이 길게 잘 발달됐기 때문이다. 치타도 다른 고양이류와 마찬가지로 발톱을 움츠려 넣을 수 있으나 발톱을 감출 수 있는 '집'이 불완전하기 때문에 항상 발톱의 일부가 ... ...
이전
703
704
705
706
707
708
709
710
7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