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작은"(으)로 총 8,654건 검색되었습니다.
- 아보가드로수는 사하라사막에 있는 모래알 수과학동아 l1996년 09호
- 핵과 전자를 모두 떼어내어 차곡차곡 쌓을 수 있다고 하자.엠파이어 스테이드 빌딩은 작은 사탕 봉지 안에 들어가고, 63빌딩은 밥풀뻥튀기 한알만해진다.그렇다면 한강물은? 한강을 깊이 10m, 폭200m, 길이 100㎞라고 하자(충분히 이만큼 된다).한강물의 부피=10m×200m×100,000m=2×${10}^{8}$㎥=2×${10}^{14}$㎤ ...
- 1. 피라미드가 에너지를 모은다과학동아 l1996년 09호
- 거리는 무려 63.6m였다.전북 진안군의 마이산 돌탑. 15m의 천지탑을 비롯한 80여개의 크고 작은 탑들은 접착제 없이 오로지 돌을 쌓아서 만들었다. 탑 북쪽에 위치한 산은 겨울에 탑으로 부는 바람(북서풍)을 막아준다. 하지만 여름에는 남동풍이 탑을 향해 불어닥치는데, 이때 탑은 아무리 거센 바람이 ... ...
- 원자폭탄보다 더 무서운 대인지뢰과학동아 l1996년 09호
- 대인지뢰는 대전차지뢰처럼 쉽게 제거되지 않는다. 대인지뢰의 지름은 보통 10cm 이하로 작은 편이라 발견하기 힘들다. 어떤 경우에는 색깔이나 모양까지 눈에 띄지 않도록 위장했다. 전쟁이 끝난 후에도 대인지뢰는 살아남아 누군가가 와서 밟아주기만을 기다리고 있다. 과학의 서자가 땅밑에 살아 ... ...
- 2. 나는 인터넷을 얼마나 좋아하나과학동아 l1996년 09호
- '자율성과 다양성'. 여타의 통신동호회가 시솝을 중심으로 한다면, 키즈는 사용자 모두가 작은 시솝형태, 질이 떨어지는 글이 올라오면 스스로 자정작업을 전개하기 때문에 극한 상황이 아니면 시솝은 각 보드에 크게 관여하지 않는다.주로 학교를 중심으로 운영되는 다른 BBS에 비해, 6년이라는 긴 ... ...
- 버클리대학 고생물 박물관과학동아 l1996년 09호
- 거대한 폭을 가진 날개(약20-25피트:UCMP의 표본은 약22피트), 그리고 이에 비해 비교적 작은 몸통을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머리와 날개 골격이 지나치게 커보이고 뒷다리가 작다고 해서 힘이 없을 거라고 생각하면 큰 오산이다. 결코 그렇지 않다. 프테라노돈의 뼈는 속이 텅 비었고(뼈의 두께가 겨우 ... ...
- 3. 사이버닥터가 진단한 인터넷 신드롬과학동아 l1996년 09호
- 진취적기상, 무한성과 영원성을 희구하는 표현일 수도 있다. 즉 ‘신종질환’이라는 작은 틀에 가두기보다는 인간정신의 잠재적 특성들과 새로운 사이버문화의 상호작용으로 이해해야 할 것이다.이러한 문화충격은 항상 많은 정신병리를 유발하며 또 그안에 새로운 인간정신의 탄생을 예고한다. ... ...
- 1. 공룡시대의 주역들과학동아 l1996년 08호
- 천4백만-7천2백만년 전). 뭉퉁하게 보이는 단단한 머리를 가지고 있으며 몸과 꼬리에 크고 작은 돌기가 돋아있다. 캐나다의 앨버타와 미국 텍사스에서 발견.에우오플로케팔루스(Euoplocephalus)곡룡. 몸길이 7m. 몸무게 2t. 백악기 말(7천3백만년 전). '잘 무장된 머리'란 뜻. 주로 풀을 뜯어먹고 살던 ... ...
- 수증기 먹고 자라는 거대에너지 태풍과학동아 l1996년 08호
- 위치한 북위 32-40도, 동경 120-138도 지역에서 1904년부터 1995년까지 영향을 미친 크고 작은 태풍의 수는 모두 2백82개다(표 1). 1년에 평균 3개의 태풍이 다가온 셈이다. 우리나라에서 태풍은 8월, 7월, 그리고 9월 순으로 많이 온다. 이 기간에 해당하는 태풍 수는 전체의 67%에 해당한다. 간혹 태풍이 1년 중 ... ...
- 시대를 풍미한 만병통치약과학동아 l1996년 08호
- 뜻하는 영어 ‘hygiene’의 어원)는 뒤에 질병의 예방을 상징하는 건강의 여신이 됐으며, 작은딸 파나케이아(Panakeia, 만병통치약이라는 뜻의 영어 ‘panacea’의 어원)는 치료의 여신이 됐다. 그런데 언니보다 동생이 지위가 높고 인기도 훨씬 좋았다. 여기서 고대부터 스스로 위생적이고 절제된 생활을 ... ...
- 아마추어 천문 가이드과학동아 l1996년 08호
- 연결돼 있는 것이 보인다. 이 별들은 거문고자리의 별들로 마치 아기가 타고 노는 작은 목마를 생각나게 한다. 필자는 이 별자리를 외울 때 아주 먼 옛날 아기 직녀가 은하수 강변에서 모래 장난도 하고 조개도 줍고, 그리고 이 목마를 타고 놀았다고 상상했다. 직녀별은 바로 목마의 귀에 붙은 ... ...
이전7037047057067077087097107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