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치수
사이즈
부피
넓이
규모
칫수
용적
d라이브러리
"
크기
"(으)로 총 7,957건 검색되었습니다.
하와이제도는 사라질 것인가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Kaneohe)라는 마을이 생겼고 그곳을 넘어서면 곧장 바다가 나타난다. 뉴욕의 브룩클린만한
크기
였던 칼데라바닥의 나머지 절반은 곧장 바다속으로 떨어져버렸다. 해양학자들은 침몰된 땅덩어리가 4백30㎦에 이르며 그 파편이 낭떠러지가 끝나는 곳에서 약2백20㎞나 떨어진 해저에서도 발견된다고 ... ...
무등천문대세워「별사랑 꿈」펼치자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돌(둥그런 원반형)이 놓여있는데 이 모습이 북두칠성과 매우 흡사하다. 특히 돌의
크기
가 각별들의 광도와 거의 일치한다는 것. 이것이 사실이라면 우리의 선조들이 지금까지 알려진 것보다 훨씬 이전에 별의 광도에 대해 인지하고 있었다는 사실이 증명되는 셈이다.박종철회장을 중심으로 ... ...
(4) 외국어 열등감 사라질까?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여러분도 3~4만원의 돈만 있으면 적어도 5천개의 단어를 다른 언어로 바꿀 수 있는 수첩
크기
의 컴퓨터를 구입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1백만원 가량 돈을 들이면 주어-동사-목적어 순서의 간단한 문장을 번역할 수 있는 PC급 기계번역시스템을 구입할 수 있을 것이다.예를 들어The dog eats an apple.과 같은 ... ...
영상문화의 대변혁 예고하는 미래의 TV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하나 더 있다. 바로 디스플레이기술. HDTV개발자들은 가장 이상적인 형태를 40인치 이상
크기
의 벽걸이TV에 HD방송을 실현하는 것. 기존 브라운관(CRT)이 디스플레이로서는 성능이 우수하고 경제적이어서 매우 적합하다는 데 이의를 다는 사람은 없다. 다만 화면이 커짐에 따라 부피와 중량이 ... ...
레이저에서 광컴퓨터로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생물학자들이 많이 연구하고 있다. 광의 경우 r은 증폭하기 위한 이득과 관련되며, r의
크기
에 따라 Xn의 변하는 양상이 달라진다. r이 3보다 작을 때는 Xn은 어떤 한값으로 수렴해 가지만, r이 3보다 약간 크면, 두개의 값 사이를 반복하는 쌍갈래질(bifurcation)을 보인다. 이것을 주기배가(period doubling)라 ... ...
(3) 소프트웨어위기 타개 가능한가?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주면 새로운 프로그램이 되어 재이용할 수 있다.예를 들면 '자동차'라는 클래스의 속성은
크기
높이 색 배기량 등이고, 행동은 출발 정지 등이다. '소나타 1.8'이라는 객체는 '자동차'라는 클래스의 속성과 행동에 해당된 값을 대입시킴으로써 생성된다.그러면 객체를 모델링하는 방법은 어떠한가 ... ...
(5) 신경망컴퓨터 어느 수준인가?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한다면 '불가능하다'고 말하지 않는다. 사람은 대략 보통 TV화면의 4분의 1정도의
크기
에 1만명의 사람을 5초간 방영하면 원하는 대상을 찾아낸다고 한다. 바둑 한수 두는데 2백억년?지극히 상식적인 이 인식능력을 과학적인 수치로 나타내보자. TV화면은 5백25개의 선으로 이루어져 있고 이 선들은 ... ...
밤하늘은 천체교육의 산 교실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내행성의 최대이각 문제를 살펴보기로 하자. 수성과 금성의 공전 궤도는 상대적으로 그
크기
가 작기 때문에 두 행성은 언제나 태양근처에서 발견된다. 따라서 수성과 금성은 태양으로부터 어떤 각거리 이상 멀어질 수 없는데, 바로 이 한계가 되는 각거리를 우리는 최대이각이라고 부른다 ... ...
우주수프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은하계가 생성되었다고 발표했다. 사실 투록의 계산은 그처럼 만들어진 은하계의
크기
가(현대 우주론의 가설과) 일치함을 보여주고 있다.우주의 시작 직후 잠깐동안 밖에 존재하지 않았던 우주수프처럼 참으로 비밀스러운 것으로부터 이토록 엄청난 결과가 도출되었다는 것은 곰곰히 생각해 ... ...
저녁 놀 빛깔로 대기오염도 알 수 있다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것을 밝힌데 이어 1908년에 구스타프 미(Mie)이라는 학자는 빛의 산란과 대기중의 입자
크기
의 관계에 대해 보다 상세한 설명을 내놓았다. 즉 대기중의 입자 알갱이들이 크면 클수록 산란은 더 두드러진다는 것이다. 또 스펙트럼상의 파란색계열뿐만 아니라 초록색이나 노란색쪽도 이 산란에 크게 ... ...
이전
703
704
705
706
707
708
709
710
7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