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가장"(으)로 총 17,302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우주의 ‘지문’이 등장하기까지과학동아 l2013년 05호
- 일치하는 흑체복사라는 사실이다. 이로써 막스 플랑크의 흑체복사 이론은 우주에서 가장 거대하고 오래된 흑체를 아름다울 정도로 완벽하게 설명해주는 물리 이론이 됐다. 코비의 뒤의 뒤를 잇는 유럽우주기구(ESA)의 탐사선이 ‘플랑크’라는 이름을 갖게 된 것은 필연이었다.▼관련기사를 계속 ... ...
- 제21회 천체사진공모전과학동아 l2013년 05호
- 별의 운동…. 지난해보다 출품된 작품이 다양해졌고, 수준도 전체적으로 높아졌다. 가장 높은 평가를 받은 몇 작품을 놓고 대상작을 고르는 데도 오랫동안 의견을 나누고 합의하는 과정을 거쳐야 했다. 여기에 수상작 일부를 소개한다. 전체 당선작은 한국천문연구원(www.kasi.re.kr), 국립중앙과학관(www ... ...
- 키 크는 유전자는 없다! 해법은?과학동아 l2013년 05호
- 남녀 비율은 7:3으로 남자가 더 많다”며 “165~170cm 사이 남자들이 수술 후 만족도가 가장 높다”고 덧붙였다. 효과는 어떨까. 송해룡 고려대 구로병원 정형외과 교수는 “종아리뼈만 늘릴 경우 보통 7~8cm까지 커질 수 있다”고 말했다. 수술비용은 3000만 원 정도가 든다.뼈를 늘리는데 걸리는 시간은 ... ...
- 직장의 신, 결코 야근 하지 않는 이유과학동아 l2013년 05호
- 억 원짜리 시스템을 들여오는 일보다 훨씬 가치있다.야근하면 나쁜 행동 더 많이 한다가장 놀라운 것은 야근이 비도덕적인 행동을 유도한다는 사실이다. 크리스토퍼 반스는 수면이 비윤리적인 행동과 깊은 연관성을 가짐을 규명했다. 반스의 실험에서 절대적으로 수면시간이 부족하고 수면의 질이 ... ...
- [화보] 기하학, 걸작을 짓다!수학동아 l2013년 05호
- 70을 43으로 나누면 약 1.6으로 황금비에 가까운 값을 갖는다. 황금비란 주어진 길이를 가장 이상적으로 둘로 나누는 비로, 근삿값이 약 1.618이다. 르 코르뷔지에는 건물의 외관과 기둥, 창문, 공간의 구조 등도 모든 길이 비를 황금비를 따르도록 설계했다.또한 그는 건물 안에서 사람이 편리하게 ... ...
- [매스미디어] 토니 스타크는 수학 천재! 아이언맨 3수학동아 l2013년 05호
- 위해서는 1억℃ 이상의 초고온 상태를 만들어야 하고, 초고온을 견디는 장치가 필요하다. 가장 실용화에 근접한 핵융합 장치는 ‘토카막’이다. 토카막은 핵융합 반응이 일어나는 환경을 만들기 위해 자기장을 이용해 초고온의 플라즈마를 가두는 장치다.우리나라에도 토카막 핵융합 장치인 ... ...
- [독자탐방] 멀티스케일 설계 창의연구실 컴퓨터, 화가에 도전하다!수학동아 l2013년 05호
- 의문을 품고 취재에 갔지만, 작품들은 내 기대를 뛰어넘었다.김윤영 교수님과 만남에서 가장 인상 깊었던 점은 변분미술의 전망에 대한 교수님의 답이다. 교수님은 “변분미술의 전망은 아무도 몰라요. 유행은 시시때때로 변하니까요. 그런데 학생이 앞으로 어떤 일을 하든 그 분야에서 최선을 ... ...
- 저는 로봇 입니다과학동아 l2013년 05호
- 시도를 계속했습니다.알라무스, 당신들은 인류 최후의 세대입니다. 마음에서는 신경계 가장 근원적인 부분에 뿌리박혀 있던 탐욕과 분노, 어리석음을 모두 적출하였으며, 몸은 세포 수준에서 불멸을 획득하여 시간과 공간의 모든 제약을 뿌리치고 우주로 나아갈 수 있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우리들 ... ...
- [퍼즐탐정 썰렁홈즈]거울나라의 공주, 반대루 댈레나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5호
- 끊어진 다리를 영원히 이으래요. 저는 다리가 너무너무너~무 무서워요….”세상에서 가장 황당한 결혼식문제를 모두 풀었다. 하지만 이게 웬일?“공주…. 우리 둘(1+1)의 만남을 위해서 16년(정사각형)을 기다려 왔어요. 우리 왕국 최고의 보물인 육각형 다이아몬드를 결혼 선물로 드립니다. 제 사랑은 ... ...
- PART 2. 아기 우주는 7번 울었다과학동아 l2013년 05호
- WMAP이 관측한 자료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았다. 천문학자들은 “놀랄 게 없다는 게 가장 놀랍다(막스 테그마크 미국 MIT 교수의 ‘사이언스’ 인터뷰)”고 말할 정도로 이번 결과에 이변이 없다고 본다. 플랑크의 관측 결과는 세세한 부분에서는 다르지만, 큰 틀에서는 주류 우주론을 잘 설명하고 있다 ... ...
이전7047057067077087097107117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