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과
결말
소산
효과
결실
결론
영향
d라이브러리
"
결과
"(으)로 총 16,304건 검색되었습니다.
연잎에서 나온 반도체
과학동아
l
2013년 10호
연잎이 물속에서 젖지 않는 이유는 뭘까. 연잎 표면에 무수히 돋아있는 나노크기(1나노미터는 10억분의 1m)의 연잎 돌기가 잎에 물이 닿지 않 ... 조절되는 소자”라며 “나노소자와 생체모방기술을 접목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
는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즈’ 9월 1일자에 실렸다 ... ...
[수학뉴스] 1/2은 피자 반 판! 실생활 예시를 꾸준히 가르쳐야
수학동아
l
2013년 10호
처음으로 좌절을 경험하는 단원 중 하나다. 이 학생들에게 도움을 줄 만한 반가운 연구
결과
가 나왔다. 캐나다 콘코르디아대 교육학과 헬레나 오사나 교수가 분수를 효과적으로 교육하는 방법을 영국 수학교육학술지에 발표한 것이다.오사나 교수는 5~6학년 학생 70명을 모아 두 그룹으로 나눈 뒤 ... ...
수학으로 두는 신의 한 수, 바둑
수학동아
l
2013년 10호
의미를 갖는다. 바둑의 여러 분야 중에서 논쟁없이 완벽하게 증명된 분야이며, 이 연구
결과
가 또 다른 수학적 바둑 연구의 초석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현재 컴퓨터 바둑의 실력은 약 1급 정도다. 프로기사들의 선수 실력과 비교했을 때, 한참 부족한 실력이다. 컴퓨터 기술이 엄청난 속도로 ... ...
세상이 나를 벗긴다
과학동아
l
2013년 10호
있어서 첨언. 국내 포털의 경우 데이터 센터에 저장된 정보를 삭제하는 것이 아니라 검색
결과
에서 보이지 않도록 만들 순 있다. 훨씬 쉬우며, 기자는 실제로 포털에 직접 신청해 본 기억도 있다. 일단 눈에 안 보이니 기분은 좀 나아지지만 진짜 정보가 삭제된 것은 아니라는 것을 명심하자. 물론 이 ... ...
나는 뒷골목 낭만고양이 입니다.
과학동아
l
2013년 10호
제가 우는 소리를 들은 길건너 신입냥이가 와서야 이 힘든 과정이 해결이 됐어요. 그
결과
로 지금 제 뱃속에서는 예쁜 아기가 자라고 있답니다. 신입냥이는 두 달 전에 우리 영역에 들어온 수고양이에요. 대장냥이가 와주길 바랐지만…, 대장냥이는 어떤 암컷에게도 눈길을 주지 않는 차가운 도시 ... ...
불면 깨질라! 세상에서 가장 얇은 유리
과학동아
l
2013년 10호
그래핀을 제조하던 도중 그래핀 위에 묻어있는 이물질을 발견했다. 자세히 조사한
결과
유리의 구성물질인 규소와 산소로 이뤄져 있다는 사실이 드러났다.연구팀은 구리와 가열장치 속의 석영이 반응하며 석영을 이루고 있던 규소와 산소가 그래핀 위에 얇은 유리층을 만들었다는 결론을 내렸다. ... ...
용감한 호랑이의 비결은 소화 유전자
과학동아
l
2013년 10호
비교해 특성을 밝힌 뒤 그
결과
를 9월 18일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에 발표했다.연구
결과
호랑이는 단백질을 소화하는 유전자와 냄새를 맡는 유전자, 근육을 발달시키는 유전자가 발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극단적인 육식 습관과 사냥 습성이 유전자에서도 나타난 것이다. 한편 종의 안정적인 ... ...
보이저 1호, 태양권 탈출하다!
과학동아
l
2013년 10호
거넷 미국 아이오와대 교수팀은 보이저 1호가 태양권계면을 약 1년 전에 통과했다는 연구
결과
를 ‘사이언스’ 9월 12일자에 발표했다. 보이저 프로젝트 책임자인 에드 스톤 캘리포니아공대 교수도 미항공우주국(NASA) 홈페이지를 통해 “인류가 역사적인 도약을 했다”며 “이제는 보이저1호가 ... ...
톱니바퀴는 인간의 전유물이 아니야~
과학동아
l
2013년 10호
말콘 버로우즈 영국 케임브리지대 동물학과 연구팀은 유럽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플랜트호퍼(Issus)의 뒷다리에서 정교한 톱니바퀴를 찾아냈다고 밝혔다. 버로 ... 못하는 성충이 되면 망가진 톱니는 고칠 방법이 없기 때문”이라고 추정했다. 이 연구
결과
는 사이언스 9월 13일자에 소개됐다 ... ...
너를 위한 이야기
과학동아
l
2013년 10호
빠져 허우적대는 묘사를 하지만 이는 사실과 다르다. 인지는 감각의
결과
가 아니라 뇌의
결과
다. 보통의 인간도 초당 조 단위의 정보를 받아들이지만, 그 중 인식하는 것은 천 단위 정도다. 생각이란 일종의 화학작용이다. 그리고 화학작용에서는 화학물질이 발산한다. 개들은 꿀벌과 개미들처럼 ... ...
이전
704
705
706
707
708
709
710
711
7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