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약품
약제
의약품
약물
의약
꽃밥
의약제
d라이브러리
"
약
"(으)로 총 10,715건 검색되었습니다.
2003년 가장 '쿨'한 발명품들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수륙양용 자동차영국 깁스 아쿠아다사가 개발한 것으로 지상에서는 일반 자동차로 달리다가 물에 들어갈 때 버튼을 누르면 12초만에 바퀴가 차체 안으로 들어가면서 보 ... 짠 다음 배터리로 전류를 흘려주면 디스코텍에서처럼 가방이나 옷이 스스로 빛을 낸다.1m당
약
3백달러 _ www.luminex ... ...
자연에서 열 얻어 냉난방하는 열펌프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열펌프는 작동하는데 필요한 에너지보다 더 많은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다. 에너지 절
약
형 열공급장치인 까닭이 바로 이 때문.일반적으로 석유 100을 태워 생산한 전기에너지는 가정에서 35 정도밖에 안된다. 따라서 전열기로 난방을 한다면 전열기의 효율이 100%라고 하더라도 투입한 에너지 100에 ... ...
푸른빛의 환상! 플레아데스성단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있을 것이다.서서히 달에 접근하던 별은 달의 동쪽편인 밝은 부분으로 잠입해 사라진다.
약
1시간 뒤인 6시 30분 경이 되면 달의 어두운 부분인 서쪽에서 다시 별이 그 모습을 드러낸다. 그리고 얼마 지나지 않아 하늘이 밝아올 것이다.성식은 맨눈이나 쌍안경, 망원경으로도 관측할 수 있는 흥미로운 ... ...
3 새들의 사투리 방방곡곡 가지각색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잡아봐도 성대를 찾아볼 수 없다. 새의 가슴뼈에는 날개를 움직이는 근육이 붙어있어
약
간 튀어나온 부분이 있다. 이를 용골돌기라고 한다. 용골돌기 안쪽에는 투명한 소라처럼 생긴 명관이 있다. 이곳에서 만들어진 소리가 기도를 타고 올라와 부리를 통해 나오는 것이다. 새의 명관은 사람의 ... ...
2 소음 제로, 바퀴 없이 떠간다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궤도의 구조가 단순해 반발식에 비해 상대적으로 건설비용이 절감된다. 주행중
약
1cm 정도의 부상간격(gap)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끊임없이 간격유지제어가 필요하다. 현재 독일, 일본, 우리나라 모두 이런 기술적 문제를 안정적으로 해결한 상황이다.즉 흡인식 자기부상열차가 부상할 ... ...
괴물처럼 거대한 태양 폭발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갱신세(更新世) 혹은 최신세(最新世)라고도 불린다 지금으로부터
약
2백만 년 전부터
약
1만 년전 사이의 기간으로, 4회∼6회의 빙기와 이들 사이의 간빙기(間氷期)가 있었다 이 때문에 이 세를 대빙하기라고도 한다 빙기에는 남·북반구의 고위도 지방이나 저위도 지방의 높은 산악지대에 많은 ... ...
따돌림의 고통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필요한 처리를 일괄처리 하는 방식 데이터 처리의 한 방식이며 집중 데이터 처리방식의
약
칭이다 천공(穿孔) 차드나 종이테이프를 매체로 기록 · 대조 · 계산표 작성 등을 각기 독자적으로 데이터 처리기계로 작성하는 것은 능률적이 아니다 그러므로 데이터의 발생에서 표의 작성에 이르는 전체 ... ...
인체의 온도 감지 비밀을 벗긴다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인체의 대사속도가 줄고, 산소 요구량이 줄어 뇌조직이 파괴될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만
약
인체의 온도 감지 기능을 조절해 적절한 체온으로 유지되게 만들 수 있으면 수술 성공률이 높아진다. 한편 대사속도 조절은 비만인 사람의 체중조절에 큰 도움이 된다.신경네트워크 연구실의 자랑중 하나는 ... ...
바람난 제주 돌담 태풍을 막다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일종의 공동체 의식의 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척박한 환경 속에서 개인의 힘은 너무나 미
약
하다. 돌담에는 작은 힘 하나하나를 모아 자연환경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며 함께 살아가고자 하는 의지가 고스란히 스며든 것이다. 갈등과 반목, 대립의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사상 최대의 ... ...
2 새로운 초전도체 존재 예측 혼돈의 초유체 원리 밝혀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표트르 카피자와 레프 란다우였다. 두사람은 He₄ 초유체 현상이 매우 낮은 온도(
약
2K)의 He₄ 액체에서 나타나며, 이때 헬륨 원자의 전자들이 쌍(쿠퍼쌍)을 이루면서 점성이 없어진다는 사실을 밝혀냈다.올해 공동 수상자 레깃 박사는 1970년대 He3 초유체에 관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한 인물이다. He₃ ... ...
이전
704
705
706
707
708
709
710
711
7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