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몸소
즉석
곧
즉시
당장에
바로
뉴스
"
직접
"(으)로 총 8,087건 검색되었습니다.
남부 돌풍동반 요란한 비… 장마전선 9일 물러날듯
동아일보
l
2015.07.08
이동 중인 9호 태풍 ‘찬홈’은 10일 오후 대만을 관통할 것으로 보여 한반도에
직접
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기상청은 내다봤다. 찬홈의 이동 경로에 영향을 끼치고 있는 10호 태풍 ‘린파’는 10일경 소멸될 것으로 보인다. 황성호 기자 hsh0330@donga.com [화제의 뉴스] - 100억대 자택 내놓은 ... ...
“바다뱀 찾아 주시면 사례금 100만 원 드립니다”
2015.07.08
바다뱀이 통발에 걸렸다가 탈출한 사례도 나타났다. 박 교수는 “아직 바다뱀을
직접
잡았다는 제보는 못 받았다”면서도 “국내 바다뱀이 3종 이상 존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그는 바다뱀을 포획하면 유전자를 분석해 국내 자생종인지 열대지방에서 유입된 종인이 확인할 계획이다. ... ...
대한민국 로봇 ‘휴보’ 세계를 제패하다!
과학동아
l
2015.06.30
팀 카이스트는 대회 첫째 날 톱날이 부러졌던 사고를 제외하면, 대회 기간 내내 한번도
직접
개입하지 않고 임무를 완수시켰다. ● “재난로봇은 이제 시작… 상금 전액 연구비 쓰겠다” ‘휴보 아빠’ 오준호 교수는 이번 대회 우승에 대해 “기술적인 진보를 한층 더 크게 이룰 계기를 ... ...
파워의 한국, 정교함의 일본?
과학동아
l
2015.06.29
식샤 자리에서 메이쟈리그 코치에게
직접
들은 이야기에요. 박뱅오 같은 궁내 슨슈의 파워가 일본보다 낫고, 정교한 일본 타자들의 뱃컨츄롤은 메이쟈리그보다 뛰어납니다. 갤국 이런 핸상은 돔구장을 지으면 우리 야구가 더 발전할 수 이쓰요.” _돔구장을 사랑하는 모 해설가 지구에서 가장 ... ...
남극 ‘펭귄마을’은 안녕하신가요
2015.06.26
있다. 펭귄 몸에 달아 놓은 센서들이 펭귄의 일거수일투족을 데이터로 기록해 펭귄을
직접
따라다니지 않고도 연구할 수 있게 됐다. 세종기지 월동대원들이 펭귄에 부착한 가속도 기록기와 위치·수심·수온 기록기, 그리고 카메라(위에서부터 순서대로). - 극지연구소 제공 ● 펭귄에 자동기록기 ... ...
진드기 기르는 남자 vs. 바퀴벌레 기르는 남자
2015.06.25
연세대 의대 의용절지동물은행에서 7년째 바퀴벌레를 기르고 있는 남성현 연구원(왼쪽)과 25년간 진드기를 길러온 ‘진드기 아빠’ 이인용 박사. - 신선미 기자 vamie ... 곳도 있다. 바퀴벌레라면 체에 걸러 주면 되지만 진드기라면 현미경을 보며 붓으로 배설물을
직접
골라야 한다. ... ...
“환자 치료 끝까지 책임지겠다” 내부 격론끝에
직접
회견 나서
동아일보
l
2015.06.24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이 지난해 5월 삼성서울병원에 입원한 뒤 이 부회장이 아버지를
직접
언급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재계에서는 메르스 환자 및 가족들에게 사과하면서 ‘진정성’ 있는 모습을 보이고자 한 것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이 부회장은 또 메르스 치료에 전념하고 있는 병원 의료진을 ... ...
병원체에 대한 고찰
2015.06.22
이에 따르면 감염질환으로 인한 손상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하나는 미생물이
직접
타격을 입힌 결과이고 다른 하나는 면역계의 과잉반응로 인한 손상이다. 면역력을 강화한다는 건 면역반응을 강하게 한다는 뜻이 아니다. 많은 전염병에서 면역반응세기(가로축)와 환자가 입은 손상 ... ...
차세대 반도체 재료, 컴퓨터로 쉽게 찾아낸다
2015.06.22
적용하면 성능이 최대 수십 배 향상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한 교수는 “여러 재료를
직접
대입해가며 적합한 물질을 찾던 방식에서 최근에는 컴퓨터를 통한 가상실험을 이용하는 쪽으로 패러다임이 바뀌고 있다”며 “앞으로 미처 생각지도 못한 재료들 중 차세대 전자기기의 핵심 소자를 ... ...
신약 후보물질 골라내는 데 현미경 하나면 끝!
2015.06.22
제공 지금까지 물질이 세포막에 붙는지 알기 위해서는 수용체 단백질을 세포막에서
직접
꺼내 방사능 물질이나 금 등으로 이 단백질과 신약 후보물질의 결합 여부를 측정했다. 이는 실험 자체도 번거롭지만 비용이 회당 30만~60만 원 정도 든다. 하지만 이번에 개발한 방법을 쓰면 단백질 정제 ... ...
이전
705
706
707
708
709
710
711
712
7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