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형
방대한
뉴스
"
큰
"(으)로 총 14,457건 검색되었습니다.
[주말N수학] 화학 아는 수학자가 만든 '주기율표'
수학동아
l
2019.09.21
쓰일 때는 보고 싶은 특성만 확인할 수 있어 편리합니다. 수학자의 주기율표의 가장
큰
특징은 원하는 것만 골라서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게다가 만들어지는 원리만 확실하게 파악하고 있다면 700여 개나 되는 주기율표를 일일이 몰라도 됩니다. 얼마든지 새로 만들어낼 수 ... ...
가깝고도 먼 친척인류 얼굴 잇따라 복원
2019.09.20
드디어 아래턱뼈가 발견됐다. 하지만 여전히 전체 체구나 두개골 형상을 짐작하게 하는
큰
화석이 발견되지 않아 생전 모습은 미궁에 빠져 있었다. 연구팀은 발견한 손가락 뼈 조각과 치아에서 DNA 를 추출했다. 그런 다음 DNA의 활성화 정도를 측정했다. DNA는 일종의 인쇄된 책과 같아서 염기서열이 ... ...
미래 기상이변까지 예측하는 AI
동아사이언스
l
2019.09.20
딥마인드의 AI인 알파고와 바둑 고수 이세돌 9단의 바둑 대결은 기상학자이던 그에게도
큰
충격을 줬다. 함 교수는 “알파고와 이세돌의 대결에 충격을 받고 독학으로 텐서플로(구글의 오픈소스 AI 플랫폼)를 공부하고 여기저기 AI 커뮤니티를 찾아다니며 전문가들의 도움을 받았다”고 말했다. ... ...
[사이언스N사피엔스] 고대의 하늘
2019.09.19
가장
큰
태양과 다양한 크기의 크고 작은 행성으로 구성돼 있다. NASA 과학이 충분히 발달한 지금 21세기에도 우리는 여전히 '해가 뜬다', '별이 진다'는 표현을 쓴다. 과학적으로 전혀 맞지 않는 말이지만 아주 오랫동안 그렇게 써 왔을 뿐더러 우리의 일상 경험과도 잘 맞기 때문이다. 과학이 태동하기 ... ...
교통 사고 후 처음 걷는 여성의 모습 ‘감동’
팝뉴스
l
2019.09.19
긴장과 기대감이 교차한다. 사진은 수개월 전에 촬영된 것인데 해외 네티즌들에게
큰
감동을 주면서 인기를 누리고 있다. 고난을 이겨낸 강인한 인간의 모습이 사진에 포착되었다는 평가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도 ... ...
제왕절개 아기, 자연분만 아기보다 병원균 더 많이 갖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9.19
확률이 높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하기도 했다. 연구팀은 지금까지 발표된 연구 중 가장
큰
규모의 태아 장내미생물 조사를 실시했다. 영국에서 태어난 자연분만 아기 314명과 제왕절개 아기 282명의 대변을 분석해 아이의 장내 미생물 구성을 분석했다. 태어난 지 4일 후와 7일 후, 21일 후의 대변을 ... ...
거대한 손님이 찾아왔다
팝뉴스
l
2019.09.18
거니까요”라고 말하는 것 같다. 대단한 설정을 하고 촬영한 것도 아닌데 사진은
큰
감동을 준다. 해외 소셜 미디어에서는 아빠와 아기 모두를 응원하는 댓글이 많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도 만들고, 감탄을 내뱉게 ... ...
자폐·발달장애 영향 주는 '소뇌'도 결정적 발달 시기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9.18
않은 자폐증과 같은 복잡한 발달 장애의 유발과 진행과정에 소뇌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
큰
실마리를 얻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셀 리포트’ 지난 10일자에 발표됐다. ... ...
아프리카돼지열병 논문수 日·中의 5분의 1 수준…'사후약방문' 연구 언제까지
동아사이언스
l
2019.09.18
신속 진단 등 한정된 분야만 연구가 이뤄졌던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발생시 피해가
큰
감염병에 대해서 치료제 등 분야 연구 지원과 투자가 늘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다.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가 지난 5월 14일 펴낸 ‘아프리카돼지열병 개요 및 연구개발 현황’ 자료에 따르면, 한국은 1930년대부터 ... ...
세계 줄기세포 전문가 한국에 모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9.18
주제 발표와 245개의 포스터 발표가 이뤄진다. 이번 학술대회는 한국에서 개최된 가장
큰
규모의 줄기세포 국제학술대회다. 25개국 800여 명의 연구자와 기관, 기업이 참석한다. ... ...
이전
705
706
707
708
709
710
711
712
7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