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내
수로
공동
개울
강철
소매
하천
d라이브러리
"
강
"(으)로 총 2,035건 검색되었습니다.
화성은 과거에 붉지 않았다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때문이다. 첫 번째와 두 번째 흙은 흙을 담는 장치를 닦아내는 데 쓴다. 흙을 담은 뒤
강
하게 흔든 다음버리는 것이다.분석기에 들어가는 건 세 번째 흙부터다. 이 흙을 분석하는 데 쓰는 장치는 케민(CheMin)과 샘(SAM). 케민은 엑스선회절장치로 시료에 엑스선을 쏴 회절무늬를 바탕으로 결정 구조를 ... ...
가볍고, 견고하다! 텐세그리티
수학동아
l
2013년 03호
텐트 ‘오벌 인텐션(Oval Intension)’을 출시했다. 오벌 인텐션이란, ‘장력에 의해서
강
도를 지탱하는 알’이란 뜻이다. 텐세그리티의 원리로 만들어진 이 텐트는 가볍지만 견고해 히말라야와 같은 극지를 체험하는 등반가들이 주로 사용한다. 2011년 무한도전 오호츠크 해 특집에서 텐세그리티 텐트가 ... ...
주의보 발령, 최종병기독감!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3호
강
력한 독감으로 미국 전역이 공포에 떨고 있어요. 그런데 우리도 남의 나라 일이라고
강
건너 불구경만 할 수는 없게 됐어요. 지난 1월 17일 질병관리본부가 우리나라 전역에 ‘인플루엔자 주의보’를 내렸기 때문이에요.인플루엔자는 바이러스로 인한 독감을 말해요. 한 때 무섭게 유행했던 ... ...
열정으로겨루는 수학 대전!
수학동아
l
2013년 03호
재구성한 연극을 선보여 분위기를 띄웠다. 그리고 기말고사 문제를 풀이한 인터넷
강
의를 촬영해 학교 홈페이지에 게시하는 등, 수학을 소재로 다양하고 창의적인 활동을 하면서 2박 3일을 보냈다.“저희 조는 고대 수학자 아르키메데스가 오목거울을 이용해 해적들을 물리친 일화를 재구성한 ... ...
Let's MATH PARTY!
수학동아
l
2013년 02호
받았지. 직접 만나 보러 갈래?오늘
강
연은 올해 풀커슨상을 수상한 한태웅 박사의 초청
강
연이 되겠습니다. 한태웅 박사는 올해 60년 동안 풀리지 않았던 램지수 부분을 명쾌하게 증명함으로써, 조합론 분야에서 가장 뛰어난 논문에 수여되는 풀커슨상을 수상하셨습니다.램지수는 쉽게 얘기하자면 큰 ... ...
단추 채우기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가지로 이어내었다. 그러자 스케치북에는 브로콜리도 물방울도 포자도 사라지고 하나의
강
처럼 굵게 이어진 두 줄의 선만 남았다.“이렇게 서로 이어져요.”“좋아요.”좋은 점은 하나도 없었지만 남자는 그렇게 답했다.“하지만 이건 소설이 아녜요. 어느 부분이 소설인지도 모르겠고…… ... ...
꽁꽁 언 얼음판은 최고의 과학놀이터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2호
빙어보다 큰 입을 가졌답니다. 그리고 바다에만 사는 멸치와 달리 빙어는 바다뿐 아니라
강
이나 호수와 같은 민물에서도 살 수 있어요.빙어 우리를 빨리 만나고 싶다고? 그렇다면 우리에 대한 정보를 더 알려 주지! 원래 우리가 좋아하는 먹이는 동물성 플랑크톤이야! 그리고 우리 빙어들은 무리를 ... ...
노벨상 탈 논문 여기 있습니다!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목적에 맞게 만드는 과정도 중요합니다. 학생들이 직접 해본 것이라 의미도 있고요.” (
강
현식 선생님)이번 동북 노벨상 대회는 경쟁이 치열했다. 치열한 만큼 학생들은 진지하고 열성적으로 논문을 작성했고 참가작의 수준도 높았다. 포도 학생들은 이 대회에서 자연과정 학생 중 1등(진자파모델)과 ... ...
다리없는 뱀이
강
하다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어디서나 볼 수 있는 동물이다. 물론 도심에서 보기 어려워졌지만 뱀은 분명 유연함 속에
강
함을 감추고 있다. 수많은 신화와 설화에 등장했고, 때로는 두려움을 줬고 때로는 지혜의 상징으로 존경을 받기도 했다. 새롭게 시작하는 뱀띠 해 계사년. 뱀이 지닌 변화무쌍함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여 보면 ... ...
성스러운 생태계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꿈에 반영된 것으로 생각했다. 그러나 꿈을 꾸는 빈도가 높아지면서, 꿈의 기괴함의
강
도가 심해지면서 그는 이것이 단순한 그리움이나 향수가 아니라고 생각하게 되었다. 마치 누군가 그의 머릿속을 마구 뒤져서 헤집는 것 같았다.모든 면에서 철저하게 다양하고 다채로운 믿으믿들이었기 때문에 ... ...
이전
66
67
68
69
70
71
72
73
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