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호기심
신기함
d라이브러리
"
궁금증
"(으)로 총 813건 검색되었습니다.
냄새나는 건강지표 똥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판단했다. 냄새나는 대변에 어떤 정보들이 들어있기에 가능한 일일까. 이제 대변에 얽힌
궁금증
을 하나씩 풀어보자.1. 성분은 무엇인가? - 70%가 수분, 나머지는 세균덩어리와 음식물 찌꺼기소변과 달리 대변은 일정한 형태를 띠고 있다. 바로 고형성분 때문이다. 이 고형성분의 30-50%가 장내 ... ...
지진 예측할 수 없는가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새삼 떠오르게 한다. 과연 지진은 미리 예측하고 대비할 수 없는 천재일까. 지진의
궁금증
을 낱낱이 풀어본다.① 지진 왜 생기는 것일까지진이 일어나는 것은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의 내부가 마치 살아 움직이는 생물처럼 계속해서 변화하는 동적인 존재이기 때문이다. 조선 후기 실학자 이익은 ... ...
인간게놈프로젝트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어디에 위치하고 있을까. DNA가 유전에 관여한다는 것뿐 그 이상을 알지 못했다.이러한
궁금증
을 풀어줄 첫번째 열쇠는 1958년에 발견됐다. 미국의 생화학자 아서 콘버그(1918-)와 스페인 출신의 세베로 오초아(1905-1993)가 박테리아로부터 DNA를 복제하는 효소를 찾아낸 것이다. 이 효소는 DNA와 단백질을 ... ...
2. 1백년 후 한국인 얼굴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요즘 미녀와 미남이 점차 많아지는 추세를 따라 모두 영화배우처럼 잘생겨질까. 이런
궁금증
을 풀기 위해 지난 15년간 서울교육대학생(20세 전후, 매년 1백50명-3백명)과 각지의 초등학생, 그리고 일반인의 얼굴을 70개 지역에서 측정한 결과를 살펴보자.먼저 머리 윗부분에서 커다란 특징이 드러났다. ... ...
Ⅱ. 풀밭에서 바늘 찾는 외계행성 탐색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풀어줬음은 물론이고, 외부 태양계에 생물, 그것도 지적생물이 살고 있지 않을까라는
궁금증
과 믿음을 한층 더해주는 계기가 됐다. 이러한 발견들은 이제까지 연구돼 온 행성형성이론에 큰 진전을 가져다 줄 것이다. 이 분야를 연구하는 천문학자들에게는 희망의 서곡인 셈이다. 우리는 혼자가 ... ...
영혼, 육체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가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누가 어찌 전생의 존재를 입증할 수 있겠는가.사후의 삶과 영혼의 존재에 대한 인류의
궁금증
이 존속하는 한 임사체험과 환생에 대한 관심은 사라지지 않을 터이다. 이런 맥락에서 죽음 너머의 세계를 탐구하는 과학자들의 용기는 높이 평가할 만하다. 그럼에도 내세는 과학보다 종교로 접근해야 ... ...
지구생명은 스스로 탄생했다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지구로 날아오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또 그 씨앗은 도대체 어디서 생겨났을까. 이러한
궁금증
을 푼 사람은 러시아의 생화학자 알렉산드르 이바노비치 오파린(1894-1980)이었다.1922년 봄 모스크바에서 열린 식물학회에서 오파린은 처음으로 원시지구에서 자연발생적으로 생명체가 탄생할 수 있다고 ... ...
재미있는 여러가지 차원이야기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어려웠던 많은 문제들이 해결된 것처럼 프랙탈 차원은 우리에게 놓여진 더 많은
궁금증
들을 해결하고 일반화해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앞으로 프랙탈 개념의 물리적 해석이 폭넓게 연구된다면 프랙탈 이론은 급진전적으로 발전할 것이다. 자연의 변화가 프랙탈 구조를 보이고 프랙탈은 이 ... ...
① 빅뱅우주론에서 인플레이션까지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우주상수를 도입했던 것을 철회했다.허블의 우주팽창설은 두가지 점에서 과학자들의
궁금증
을 자아냈다. 하나는 우주가 팽창하기 전으로 돌아가면 어떤 모습일까 하는 것이고, 또 하나는 우주가 언제까지 팽창할 것인가 하는 것이다.초기 우주의 모습을 처음으로 정확하게 계산해낸 과학자는 ... ...
2천년만에 깨진 원자
과학동아
l
1999년 03호
입자들의 몸부림이라는 사실을 과학자들은 깨닫지 못했다.원자 속에 뭐가 있을까에 대한
궁금증
을 처음으로 풀어준 사람은 영국의 물리학자 J. J. 톰슨(1856-1940)이었다. 그는 1897년 전자를 발견했으며, 이를 바탕으로 1904년 건포도 푸딩 모형(plum pudding model)이라는 원자모델을 만들었다. 푸딩 같은 원자 ... ...
이전
66
67
68
69
70
71
72
73
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