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건"(으)로 총 2,671건 검색되었습니다.
- [Tech & Fun] 당신의 여름은, 어떤 냄새인가요?과학동아 l2016년 07호
- 교수는 기고문에서 “과거 농경사회에서는 여름의 시작을 알리는 첫 비가 아주 중요한 사건이었다”며 “동물들에게도 물을 찾는 일은 생존과 연관된 일이기 때문에 젖은 흙에서 나는 지오스민의 냄새는 중요한 이정표가 됐을 것”이라고 말했다(www.jstor.org/stable/25758086).하지만 사람의 후각이 ... ...
- [News & Issue] 지카 잡으러 총출동한 과학자들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더 자세한 정보가 필요하다.지카의 침입 흔적 : 성관계와 컨페더레이션스 컵영화 속에서 사건을 맡은 수사팀이 현장에 도착해서 가장 먼저 살펴보는 것은 침입 경로다. 지카바이러스도 얼마 전까지 정확한 감염 경로가 논란이었다. 모기에 물리거나, 감염된 환자의 혈액을 수혈 받았을 때 감염된다는 ... ...
- Part 2 비밀번호 무력화하는 백도어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라고 생각하는 독자들은 아래 예시를 보자. 2003년에 실제 발생한 ‘리눅스 백도어 미수사건’에서 문제가 됐던 부분이다. 아마 프로그래밍을 ‘좀 한다’하는 독자들도 위의 소스코드에서 무엇이 잘못됐는지 찾기가 쉽지 않을 것이다. 위의 코드는 누군가 백도어를 만들기 위해 리눅스(Linux)의 ... ...
- Part 4 인간과 기계의 경계가 무너진다 ... 우리의 선택은?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모욕은 다윈의 진화론, 그리고 세 번째 모욕은 프로이트 본인의 무의식 이론이다. 이 사건들의 공통적인 의의는, 우주 속에서 인간이 차지하는 지위를 격하시키면서 인간에 대한 이해를 근본적으로 변화시켰다는 점이다. 이 때문에 이 이론들은 보편적 지식의 체계로 편입되는 과정에서 기존의 ... ...
- [News & Issue] 젊은 물리· 천문학자들이 송유근 학생에게 보내는 조언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열린 결과였다. 송유근 학생도 근신 2주 및 반성문 제출 처분을 받았다. 학계는 이번 사건을 어떻게 보고 있는지, 어떤 교훈을 얻을 수 있을지 알아보기 위해 물리·천문학 분야 연구자들을 인터뷰했다. 이번 사태를 계기로 송 학생이 좋은 연구자로 성장하고, 우리 과학계가 연구윤리에 대해 좀 더 ... ...
- 아인슈타인의 중력파 이야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6호
- 하는 게 민망하지 않냐고? 아니, 전혀~! 최근에도 내 천재성을 증명할 수 있는 사건이 일어났거든. 내가 100년 전에 예측한 ‘중력파’의 실체가 확인됐다는 소식, 모두 들었지? 내가 이 소식을 듣고 너무 흥분해서 이렇게 뛰쳐나왔다구! 중력파를 이해하려면 우선 중력에 대해 알아야 해. 흔히 ... ...
- [소프트웨어] 복불복 룰렛의 기댓값 구하기수학동아 l2016년 06호
- 기댓값이란 어떤 사건을 통해서 기대할 수 있는 값이에요. 사건이 일어날 확률에 그 사건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금액(점수)을 곱해 구합니다. 8칸 룰렛의 당첨 확률은 1/8이고, 분홍색 칸에 멈췄을 때 얻는 점수가 100점이므로, 100×1/8=12.5이지요. 4칸 룰렛의 당첨 확률은 1/4이고, 얻는 점수가 50점이므 ...
- [과학뉴스] 노케미족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살균제 사망사건의 여파로 화학제품에 대한 공포와 거부 심리가 점점 더 커지고 있습니다. 급기야는 믿을만한 원재료를 구입해 화장품이나 샴푸를 직접 만들어 쓰겠다는 소비자도 생겼습니다. 화학물질(chemicals)을 거부한다는 뜻에서 이들을 ‘노케미(No-chemi)족’이라고 부릅니다.안전성이 검증되지 ... ...
- [News & Issue] 가습기 살균제 사태, 노출계수를 따져라과학동아 l2016년 06호
- 해 9월 미국환경청(EPA) 자료를 근거로 CMIT, MIT를 유독한 물질로 바로잡았다).이런 일련의 사건은 동물을 이용한 독성실험의 한계를 잘 보여준다. 앞서 제브라피쉬로 살균제 독성을 시험했던 조 교수도 “동물실험은 독성을 판가름할 수 있는 하나의 잣대일 뿐 100% 절대적인 것이 아니다” 라며 “쥐는 ... ...
- [Knowledge] 부러진 뼈 : 사건을 해결하는 퍼즐과학동아 l2016년 06호
- 그렇게 큰 사회적 파장을 일으키진 않았을 거라 생각한다. 뼈는 거짓말을 하지 않으며 사건 당시의 정황을 재구성하는 데 뼈만큼 강력한 증거는 없다. 다만 뼈가 들려주는 이야기를 정확히 듣기 위해서는 훈련이 필요할 뿐이다. 지금도 늦진 않았다. 그래서 오늘도 난 부러진 뼛조각을 열심히 맞춘다 ... ...
이전66676869707172737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