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양면
쌍방
겸용
둘다
옆
옆면
측면
d라이브러리
"
양쪽
"(으)로 총 1,350건 검색되었습니다.
조선조류열전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띠고 눈 주변은 흰색이다. 물오리는 원래 담수 또는 해수에 살지만 원앙사촌의 경우
양쪽
모두에서 서식했다고 추측한다. 한반도에는 겨울에 찾아온 철새였다.1984년 1월 12일자 동아일보에는 “원앙사촌을 직접 봤거나 누가 채집했는지 제보하는 사람에게 각각 500달러를 주겠다는 전단을 서독 ... ...
최고의 비행기를 뽑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22호
스텔스 기능이 있어 미래의 전투기로 주목받고 있어. 인공지능 시스템을 갖추고 있으며
양쪽
날개 아래 각각 2톤의 무기를 실을 수 있단다.F-35 공군, 해군이 모두 사용할 수 있는 통합공격기야. F-22처럼 스텔스 기능을 가지고 있는 미래최강의 전투기란다. 비행기 사상 처음으로 음성인식 기능이 있어 ... ...
우주로 피서 가자!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5호
원심력이 더 커서 밖으로 날아가 버리겠지. 이렇듯 지구의 기조력은 평소에 달을
양쪽
으로 잡아당기고 있는 거야. 반대로 달의 기조력은 지구의 바닷물을 잡아당겨 밀물과 썰물을 일으켜.목성은 지구보다 기조력이 훨씬 커. 목성의 기조력은 유로파의 내부에 있는 금속과 암석을 이리저리 ... ...
풍덩~ 바다목장에 놀러와!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3호
기대되지?넙치 : 모래바닥에 숨어 사는 맛좋은 광어가 바로 나야. 난 가자미의 일종으로
양쪽
에 있던 눈이 자라면서 왼쪽으로 쏠려.바지락 : 난 원래 바지라기였는데 줄여서 바지락이라고 불러. 바지락 칼국수의 시원한 국물맛을 책임지지. 우리나라 사람들이 가장 많이 먹는 인기 절정의 조개라구 ... ...
소음 잡은 블루투스 헤드셋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마지막으로 선택하는 것은 신경을 수술적으로 절단하는 방법이다복강신경총은 요추 1번
양쪽
에 있는 신경 덩어리다 이를 국소마취제로 차단하면 대개 효과를 볼 수 있지만 그 시간이 짧아 알코올을 투여해 파괴시키는 것이 보편적이다 우선 국소마취제로 차단해 복부나 등쪽에 나타나는 통증이 ... ...
헬리콥터 100년史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의하여 연산을 실행할 수 있었다펄스신호의 경우 0볼트(V)를 기준으로 +와 -전압
양쪽
에 신호가 있는 것으로 쌍극성 또는 양극성이라고도 한다 반도체 집적회로에서 그 구성 소자인 트랜지스터나 다이오드의 작용에 의해 전자 또는 정공의 2종류의 캐리어를 필요로 하는 것을 바이폴라형 ... ...
보이지 않는 위험, 디지털 질환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귀를 갖고 있어 대부분 소리가 나는 방향을 파악할 수 있다. 소리의 방향은 기본적으로
양쪽
귀에 도달하는 시간을 비교해 파악할 수 있는데, 특히 진동수가 높은 소리는 두 귀에 도달하는 소리의 세기에 근거하면 더 쉽게 방향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캐나다 맥길대 물리학과 가이 무어 교수에 따르면 ... ...
과학이 예술에 빠졌다?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 중국 파멜라유드니더슬이스턴 병원우주에서 날아온 외계인이 이런 모습일까. 큰 귀가
양쪽
에 달렸고 머리에는 불룩한 뿔이 났으며 입은 마치 곤충의 입과 비슷하다. 사실 이 사진은 콧속을 3차원으로 보여주는 것이다.카이훙 펑 박사는 갑상선질환을 앓던 33세 중국인 여성의 코를 턱밑에서 위 ... ...
세계 최초 OLED TV 등장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이식성이 높다인장시험에 의해 얻어지는 파괴강도 인장시험은 재료에 인장력 즉
양쪽
으로 잡아당기는 힘을 가해서 재료의 기계적인 성질을 조사하는 것이다 이 인장력을 가하면 재료내에 응력이 생기는데 이를 인장응력이라 한다 응력을 재료의 항복점 이상으로 증가시켜 가면 결국 재료는 ... ...
PART2. 현실이 되는 가상현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1호
하는데, 특수안경을 쓰고 봐야 하는 안경식과, 맨눈으로 봐도 되는 무안경식이 있어.
양쪽
눈으로 보는 화면이 있어야 입체감을 느끼기 때문에 특수안경을 쓰는 건데, 사실 안경을 쓰는 게 귀찮잖아. 그래서 안경을 쓰지 않고도 생생한 입체 화면을 볼 수 있는 무안경식이 개발되었지. 대표적인 예를 ... ...
이전
66
67
68
69
70
71
72
73
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