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안내
배달
송달
인솔
보도
납품
명도
d라이브러리
"
인도
"(으)로 총 1,589건 검색되었습니다.
규칙 찾기의 달인, 함수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육지가 모두 물에 잠길 것이라는 과학적 가설로 종말론을 뒷받침하고 있습니다.이는
인도
의 물리학을 전공한 어느 과학자에 의해 온도 변화와 그에 따른 주기적인 지각변동 연구를 기초로 상황을 예측한 것입니다. 이때 시간에 따른 지구 내부 핵의 온도 변화와 지각 변동의 관계도 바로 함수로 ... ...
한국 수학 필즈상에 도전장 내다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인도
의 국조이고 뱀은 힌두교에서 숭배하는 동물로 수학자가 그만큼 중요하다는 뜻이다.
인도
는 라마누잔을 비롯한 뛰어난 수학자를 많이 배출했고 기원전부터 대수학과 기하학이 발전했다. 숫자 ‘0’의 발상지이기도 하다. 이번 대회 필즈상은 이스라엘 출신의 수학자인 엘론 린덴스트라우스 ... ...
PART 2 수학이 없는 학교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그런데 책에 그려진 세계지도가 평상시 보던 것과 많이 다르다. 우리나라의 위치가
인도
랑 비슷하고 면적도 더 커 보인다. 백두산과 한라산의 높이도 알 수 없다. ‘어떻게 된 거지?’지도에서 수학이 사려졌기 때문이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보는 지도는 주로 메르카도르법으로 그려진다. 이 방법은 ... ...
Part 8. 한국 수학의 밤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찾으셨대. 이 이전에는 원처럼 볼록한 공간이 있다는 것만 알려져 있었다고 해. 2010
인도
하이데라바드 국제수학자대회는 27일까지 계속됐지만 24일 한국으로 돌아오게돼 아쉬웠어. 4년 뒤를 기약하며 비행기에 올라탔지. 필즈상 수상자를 비롯해 세계 유명 수학자를 만날 수 있었던 이번 대회를 ... ...
생명의 타임캡슐 씨앗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방수되는 과피저희 연꽃은 아시다시피 불교에서 신성시하는 식물입니다. 예로부터
인도
나 중국, 그리고 한반도에 자생했죠. 불교가 국교였던 고려시대에는 아마 지금보다 저희가 훨씬 번창했었겠죠. 연꽃을 자세히 보신 분들은 아시겠지만 제가 생각해도 정말 꽃이 특이하게 생겼습니다. 꽃 ... ...
2014년을 향해 우리나라 수학자가 달린다
수학동아
l
2010년 09호
향해 포즈를 취했어. 환히 웃는 모습은 아니었지만 자신감이 넘치는 모습이었지.
인도
대통령으로부터 메달을 받자 다음 수상자가 발표됐어.뒤를 이어 베트남 수학자 응어버우쩌우와 러시아 수학자 스타니슬라프 스미르노프가 상을 받았어.마지막으로 시상대에 올라온 수학자는 프랑스의 세드리크 ... ...
최고 난제 'P!=NP'문제 증명
수학동아
l
2010년 09호
21세기 안에 풀지 못할 것이라는 많은 수학자의 예상을 뒤엎고 미국 HP사의 한 젊은
인도
계 수석연구원 비나이 데오라리카가 이를 증명했습니다.독일 일간지 디 차이트는 “데오라리카는 ‘P와 NP는 같지 않다’는 명제를 증명했다”고 보도했습니다. 데오라리카는 “나의 증명은 고칠 수 있거나 또는 ... ...
덩치 큰 슈퍼컴퓨터, 소프트웨어로 다이어트하다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양은 안정적일 것이라는 가정에서 출발한다. 예를 들어 미국 사용자가 새벽을 맞았다면,
인도
에 있는 사용자는 저녁 시간이 되기 때문에 컴퓨팅 자원을 최대한 필요로 할 것이다. 만일 두 그룹의 사용자들에게 하나의 가상화된 클러스터 환경을 서비스한다면 시간에 따른 사용률의 변화가 크게 ... ...
계산법의 혁명, 로그의 발견
수학동아
l
2010년 09호
7세기 이전 사람들은 계산을 하느라 어려움을 겪었다. 지금처럼 편리한 계산기도 없었고,
인도
·아라비아 숫자가 쓰이기 전인 14세기까지 유럽은 로마자로, 동양은 한자로 숫자를 대신해야 했다. 지금부터 17세기 계산법의 혁명, 네이피어의 로그를 만나 보자.네이피어의 계산자네이피어가 만든 ... ...
세상에서 가장 성스러운 강 2510km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강물이 메말라 바닥을 드러낸다. 모래바닥은 점점 넓어져 이제는 사막처럼 변했다.
인도
서부 타르사막에서나 볼 수 있던 낙타가 이곳에서 유용한 교통수단이 됐다. 강물의 일렁임 대신 사막처럼 사구가 춤을 추고 멀리 시커먼 강물이 흘렀다. 머지않아 강물은 모래더미 속으로 사라질지도 모르겠다 ... ...
이전
66
67
68
69
70
71
72
73
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