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천체"(으)로 총 2,081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뉴스] 300년 전 뉴턴이 낸 문제, 새로운 해답 나왔다수학동아 l2013년 04호
- 680년대 어느날, 만유인력을 발견한 아이작 뉴턴은 문득 지구와 달 같은 천체들이 특정한 시간에 어떤 위치에 있을지가 궁금해졌다. 그리고 만유인력으로 묶여 있는 두 물체는 타원궤도를 따라 서로 돌면서 움직인다고 예측했다. 하지만 물체가 세 개로 늘어났을 때도 일정한 궤도를 그리면서 ... ...
- 은하수는 쇠똥구리의 네비게이터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4호
- 방향을 찾기는 어렵지요. 스웨덴 룬드대학교 마리 테크 박사 팀은 쇠똥구리를 천체 투영관에 넣고 관찰해, 은하수 같이 무리를 이룬 별빛 아래에서 길을 잘 찾는다는 사실을 알아냈답니다. 쇠똥구리는 은하수만 희미하게 보일 때도 길을 잘 찾았지만, 쇠똥구리의 시력으로도 볼 수 있는 밝은 별만 ... ...
- [시사] 20세기 마지막 보편주의자 푸앵카레수학동아 l2013년 04호
- 미분방정식을 풀지 않고서도 중요한 성질을 추론해내는 ‘질적 분석이론’을 창안해, 천체역학 및 수리물리학 등에서 놀라운 성공을 거두었다. 뿐만 아니라 대수적 위상수학을 창안했고, 정수론과 대수기하에 큰 업적을 남겼으며, 미분방정식과 복소해석 등 수학의 방대한 분야에 기여했다.특히 ... ...
- PART 1. 중력 없는 세상에서 우리의 운명은?과학동아 l2013년 03호
- 뒤쪽 천체에서 나오는 빛이 앞쪽 천체의 중력 때문에 휘어져 생기는 현상이다. 어두운 천체를 밝게 보여주기도 하는데, 이제 천문학자들은 이 현상을 이용할 수 없다. 우주여행도 달라진다.지구의 중력을 받지 않으니 우주선은 로켓이 없어도 곧바로 지상에서 이륙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큰 행성의 ... ...
- PART 5. 우주에 퍼지는 시공간의 물결, 중력파과학동아 l2013년 03호
- 1000배나 되는 영역에서 발생하는 중력파를 찾을 수 있다.이 정도의 감도로도 작은 천체에서 나오는 중력파는 검출하기 어렵다. 은하는 질량이 크지만, 부피가 커서 강력한 중력파가 나오지 않는다. 연구자들이 가장 주목하고 있는 대상은 쌍성을 이루는 중성자별 혹은 블랙홀이다.이들이 서로 ... ...
- 서울에 '운석우'가 떨어진다면…과학동아 l2013년 03호
- 러시아에 운석우가 떨어지고 16시간 뒤인 2월 16일. 농구장의 2배에 해당하는 45m 크기의 소행성 ‘2012 DA14’가 지구 표면에서 불과 2만 7700km 거리를 두 ... 데 성공했다. 한 나라의 힘으론 불가능하지만 세계 각국이 힘을 합친다면 외계 천체의 위협으로부터 지구를 지켜낼 수 있을 것이다 ... ...
- PART 2. 데카르트의 악몽, 아인슈타인의 해몽과학동아 l2013년 03호
- 주장은 일종의 악몽이었다. 뉴턴이 제시한 운동의 법칙이나 만유인력의 법칙을 이용하면 천체의 궤도를 제대로, 그리고 과거보다 쉽게 계산해 낼 수 있다. 하지만 그 방법에 깔린 생각에는 동의할 수 없었다. 뉴턴의 운동 2법칙 ‘F=ma’에서 물체의 운동 상태를 바꾸는 것은 힘(F)인데, 힘은 보이지도 ... ...
- PART 4. 반중력, 인공중력은 가능할까과학동아 l2013년 03호
- 이루는 궤도를 돈다. 그런데 중력과 원심력이 균형을 이루는 위치는 우주선의 중심부다. 천체에 가까운부분은 중력을, 먼 부분은 원심력을 더 강하게 받는다. 지구에서라면 이 차이, 즉 기조력이 작아서 아무 문제 없이 궤도를 돌 수 있다.그런데 중력이 지구의 1000억 배에 달하는 중성자별 주위를 ... ...
- [hot science] 외계인이 탐낸 물 우주에는 넘쳐난다!과학동아 l2013년 02호
- 아니라 혜성이 지구의 바다를 만드는 데 큰 기여를 한 것이다. 물론 지구 외의 다른 천체에도 물을 공급했을 수 있다.우주에는 원래 물이 많다그렇다면 혜성을 이루고 있는 물은 어디서 왔을까. 최근 허셜우주망원경이 이를 설명할 수 있는 관측 결과를 내놨다. 별이 태어나기 직전의 가스 원반에서 ... ...
- 세상의 시작과 끝이 궁금하다면?과학동아 l2013년 02호
- 있게 한 요소들을 종횡무진 누빈다. 친숙한 좁은 장소에서 큰 우주로, 중력이 작은 천체에서 큰 블랙홀로, 빠른 공간에서 느린 세계로 시간과 공간이 줄었다 늘었다 하는 체험을 할 수 있다. 이런 내용을 소개하는 책에서 가장 마지막에 등장하는 소재는 다중우주다. 우리 우주가 끝이 아니라는 ... ...
이전66676869707172737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