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미술가
화백
예술가
예술인
예인
이즐
작가
d라이브러리
"
화가
"(으)로 총 880건 검색되었습니다.
모델이 질겁한 8시간 노출 사진기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책임이 아니라고 극구 변명하는 것이다. 자신이 개발한 획기적인 아이디어가 왜 실용
화가
어려운지를 따져보지는 않고 발명품을 채택하지 않는 사회를 비판하기에 여념이 없다.발명가들의 선지자적인 아이디어가 후대에 실용화되는 경우도 있지만 당대에 접목될 수 없는 기술과 타인으로부터 ... ...
공룡이론의 격전장 쥬라기공원3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쥬라기공원1을 찍은 스티븐 스필버그 감독은 영화를 찍으면서 바커 박사에 대해 무척
화가
났던 모양이다. 스필버그 감독은 2편부터 자문 과학자를 호너 교수로 바꾼 것에 그치지 않고 바커 박사를 공룡의 먹이감으로 만들고 만다.쥬라기공원2를 보면 인젠사(쥬라기공원을 만든 회사)가 파견한 ... ...
너무나 엽기적인 그 과학자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와타나베 교수팀은 비둘기들이 인상주의
화가
의 작품은 제대로 이해하고 있으나 입체파
화가
의 작품은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있어 시각적 자극으로 비둘기를 조종할 때에는 인상주의 작품을 쓰라는 것이었다. 비둘기가 인상주의 작품에 호감을 보인다니, 모네가 이야기를 들으면 놀라 자빠질 ... ...
태양계 7대 비경 관광가이드
과학동아
l
2001년 08호
우주인처럼 멋지게 찰칵.기념관 한쪽에는 달에 대한 역사를 살펴볼 수 있는 3D 입체영
화가
상영중이다. 모두 제자리에 앉아 생생한 현장감을 느낀다. 달에 생긴 구덩이(크레이터)가 화산에 의한 것이 아니라 충돌에 의해서 생긴 것이라는 사실을 보여주는 시뮬레이션이 실감나게 펼쳐진다. “달의 ... ...
오누이가 타고 올라간 동아줄 미수
과학동아
l
2001년 08호
도끼로 나무를 찍고 올라오면 되는데 그것도 몰라.” 그제야 속았음을 알아챈 호랑이가
화가
머리끝까지 나서 나무에 도끼 자국을 내면서 무서운 기세로 올라왔다. 남매는 하얗게 질리고 말았다.해가 눈부신 이유는 부끄러움 탓오누이는 체념 속에 천지신명께 기도를 올렸다. “하느님, 우리를 ... ...
선글라스 원리 알면 효과 두배
과학동아
l
2001년 08호
신호등의 불빛을 보는데 지장을 주지 않기 때문이다. 밝은 날 야외에서 그림을 그리는
화가
에게도 알맞은 색이다. 회색과 검은색 계열은 어느 상황에서나 이용이 가능하다.녹색 계열의 선글라스는 우리 눈이 편안하게 느끼는 색이 녹색이기 때문에 눈의 피로를 덜어 준다. 눈의 피로가 많을 때 쓰면 ... ...
로봇 개념 창시한 신 헤파이스토스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남편인 제우스가 자신의 몸을 빌지 않고 아테나 여신을 낳았으니 헤라 여신으로서는
화가
났을 수밖에요. 그래서 헤라 역시 제우스와 잠자리를 같이 하지 않고도 아들을 하나 낳지요. 이 아들이 바로 헤파이스토스입니다. 헤파이스토스는 비상한 손재주에 비해 생긴 것은 ‘별로’였던 모양입니다. ... ...
디지털 저작권 지키는 파수꾼 워터마킹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쉽게 알 수 있어 사생활을 침해할 가능성이 크다.내 저작물에도 워터마킹을!컨텐츠 유료
화가
본격적으로 추진되면서 전세계가 디지털 저작권 보호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세계적인 워터마킹 업체인 디지마크사의 소프트웨어 픽처마크는 대부분의 이미지 포맷(TIF, JPEG, GIF, BMP)에 워터마크를 ... ...
고대 그리스·로마 회화 공작새와 연극 가면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2천년 전 어느 잘 사는 동네로 우리를 데려온 것 같은 착각에 빠지게 한다. 그러나 벽화
화가
는 근대적 의미의 원근법을 아직 몰랐던 것 같다. 자세히 보면 지붕의 시점, 창문들의 배열 방향, 열주 회랑이 뻗어나가는 소실선들이 모두 어긋나 있다.‘가죽부대 춤’은 가죽부대 춤을 추는 켄타우로스 ... ...
'당신은 창의적인가' 진단기준 4가지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모차르트와 같은 음악가들은 떠오르는 악상을 교향곡이나 연주곡으로 만들어낸다.
화가
들은 떠오르는 영감을 단지 스케치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그림을 완성한다. 이들은 모두 깔끔하게 결과물을 마무리했다. 다시 말해서 정교성을 발휘한 것이다. 이와 비슷하게 과학자들도 새로운 이론을 만들 때 ... ...
이전
66
67
68
69
70
71
72
73
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