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경험범위
활동력
행로
생활 과정
d라이브러리
"
활동범위
"(으)로 총 891건 검색되었습니다.
(2) 바이러스와 백신의 영원한 숨바꼭질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지난해에 비해 바이러스의 종류와 피해범위는 증가했으나 백신프로그램의 활발한 보급으로 피해양상은 차츰 개선되고 있다.국내에서 컴퓨터바이러스에 대해 빨간 불이 처음 켜진 것은 올림픽준비가 막바지단계에 이르렀던 88년 5월 올림픽전산센터에 브레인바이러스가 발견되면서 부터다. 통신용 ... ...
합리적인 우주고려장제도 절실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우주공간에서 빠른 속도로 움직이는 우주쓰레기는 인공위성의 활동에 치명적인 손상을 줄 수 있다. 3백50만개가 넘는 우주쓰레기의 실상과 대책은?구약성서의 창조론에는 태초에 하나님이 천지를 창조하신 후 여섯째날 인류의 기원이 되는 아담과 이브를 만든 후 '쓰레기 없는' 살기 좋은 에덴동산 ... ...
인간의 오감(五感)을 능가하는 첨단 센서 기술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인간이 들을 수 없고 볼 수 없는 것을 기계적으로 감지해 낸다.감성공학(感性工學)이란 낯선 기술분야가 최근 미국과 일본 등 과학기술 선진국에서 일반인들의 관심을 끌기 시작하고 있다.인간의 생활양식이 보다 편리해지고 의식주 문제가 해결되면서 많은 사람들이 풍요로움을 느끼는 시대가 다 ... ...
(1) 끊임없이 변신하는 정보사회의 불청객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이미 밝혀진 바이러스프로그램의 변종들이 끊임없이 나타나고 있다.컴퓨터 바이러스라는 말이 세상을 떠들썩하게 하면서 알려지게 된 것은 아마도 1987년말경 델라웨어대학의 컴퓨터센터에 브레인 바이러스가 보고되면서 일 것이다. 컴퓨터 바이러스의 출현 가능성에 대한 이야기는 훨씬 전부터 ... ...
무사개미와 개미귀신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그 이름만 들어도 개미들은 오금(?)이 저린다. 힘도 힘이지만 지략마저 탁월하니…문제(1) 올빼미는 밤에 활동한다. 이들은 어떻게 하여 어두운 밤에 먹이를 잘 잡을 수 있을까? 다음 설명 중 잘못된 것은 ?① 눈이 매우 좋아서 밤에도 잘 볼 수 있다② 귀가 매우 밝아 소리를 잘 들을 수 있다.③ 후각 ... ...
정체 드러내는 「신의 아들」엘니뇨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다양한 기후현상 중에서 해양과 대기간의 마찰로 일어나는 엘니뇨현상 만큼 전세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도 드물다.기후의 계절적 변화 이외에도 적도대기에는 또 다른 두개의 준(準)주기적 기후변화가 존재한다. 그 중 하나는 30~60일 주기로 나타나는 주기진동(계절간 주기진동)이고 다른 하나 ... ...
"땅은 윤회하지 않는다"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화산작용, 조산운동, 조륙운동, 해수와 기후의 변화, 대륙빙하의 발달 등은 동일과정설로 설명할 수 없다." - 격변설의 입장오늘날에는 진화론의 영향으로 이 지구가 우연히 생겼으며, 따라서 우주공간에는 지구와 비슷한 별들이 무수히 많이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적지 않다. 따라서 지구 ... ...
왼손잡이「로키」의 비밀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늘 다수파의 횡포와 편견에 시달려 왔던 인구의 5~10%를 차지하는 왼손잡이의 실제 모습은?서양에서는 모나리자를 그린 화가이자 과학자이기도 했던 레오나르도 다 빈치를 왼손잡이의 아버지라고 부른다. H.W. 잰슨 같은 예술사가는 다 빈치의 작품에서 나타나는 신비성은 그가 왼손잡이였기 때문에 ... ...
(2) 우주로 열린 지구의 창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달에 천문대를 세워 우주를 관측한다면 우주생성의 비밀이 손쉽게 풀릴지도 모른다.달의 구조와 기원을 규명하고자 추진되었던 아폴로 계획이 지난 1969년 수억 지구인들이 시청하는 가운데 역사적인 유인착륙과 월면보행을 이룩하면서 성공적으로 마무리지었다. 이 계획이 종료된 1972년까지 수많 ... ...
고슴도치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내 새끼의 털보다 함함한 동물 있으면 나와보라」고 큰 소리치는 고슴도치는 실제로 능청스러운 성격을 갖고 있다.'고슴도치도 제 새끼는 함함하다고 한다'는 속담이 있다. 자기 자식이 잘났건 못났건 간에 누구나 제 자식은 귀여워한다는 뜻이다. 갓낳은 새끼 고슴도치의 모양은 참으로 꼴불견 ... ...
이전
66
67
68
69
70
71
72
73
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