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손해
불이익
침해
위험
가해
희생
분실
뉴스
"
손실
"(으)로 총 943건 검색되었습니다.
의료계·학계 “연구용 원자로 정지로 첨단연구 뒤처져…속히 재가동할 것”
동아사이언스
l
2018.11.12
기반 연구시설로서의 역할을 실질적으로 수행할 수 없게 된 상황으로 이는 국가적인 큰
손실
”이라고 지적했다. 강건욱 서울대병원 교수도 “하나로의 안정적 가동은 국민건강 증진과 치열한 세계 경쟁 속에 있는 국가 과학기술 및 산업의 글로벌 경재력 제고에 매우 중요한 사안”이라고 강조했다. ... ...
“정부는 왜 남북교류에서 과학기술을 뺐나"
동아사이언스
l
2018.11.10
수입이 불가능해 만성적인 식량 부족에 시달리고 있다. 자연재해에도 취약하고 수확 뒤
손실
률이 최대 15~20%에 이를 정도로 많다. 허성기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연구관은 “현재까지의 데이터를 중심으로 판단해 보면, 한국의 기술을 투입하면 북한의 식량 생산성을 30% 끌어올리는 게 ... ...
적층식 전자회로, 출고전 오류 100%잡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07
표면을 뜯어내 내부를 검사한다. 이 방법은 불량을 완전히 걸러내지 못할뿐더러 샘플
손실
비용도 문제가 됐다. 안 연구원은 회로를 뜯지 않고 TSV를 검사하는 방법을 찾아냈다. 광학현미경과 공초점현미경, 분광간섭계를 동시에 사용해 TSV의 모양을 입체적으로 측정하는 방법을 알아냈다. 모든 ... ...
알츠하이머 치매, AI로 조기 진단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07
일”이라고 말했다. 그는 “모든 증세가 나타난 뒤에 알츠하이머 치매를 진단하면 뇌의
손실
이 너무 커서 중재가 불가능하다”며 “새 기술로 조기에 진단해 병의 진전을 츶출 방법을 찾을 기회가 열렸다”고 말했다. 서영호 교수는 “알츠하이머 치매와 관련이 깊은 베타 아밀로이드나 타우 등 뇌 ... ...
난방용 태양열 저장 열배터리 효율 2배 높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31
일정하게 유지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연구진은 이런 방식으로 열배터리의 에너지
손실
률을 최대 56% 줄었다. 기존 잠열축열조 보다 약 2.2배 높은 열효율을 기록했다. 온수를 만들 수 있는 운전 시간도 이전보다 70분 이상 증가하는 것을 확인했다. 신 선임연구원은 “도시의 차세대 냉난방 ... ...
공장 초미세먼지 90%이상 줄이는 복합집진기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10.29
원리. -사진 제공 FEP융합연구단 심 연구원팀은 사이클론의 벽을 이중으로 만들어 압력의
손실
을 70% 이상 줄이고, 여기에 고성능 필터를 추가로 달아 미세먼지를 두 번에 걸쳐 90% 이상 제거하는 방법을 개발했다. 1차로 사이클론에서 미세먼지의 70% 이상이 제거된 상태기 때문에, 필터를 사용할 때 ... ...
양자컴퓨팅 개발 열쇠 ‘단일원자 핵스핀’ 측정 세계 첫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8.10.19
에너지가 높아진 원자의 핵스핀은 위(↑)를 향한다. 이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에너지가
손실
되면서 핵스핀의 방향이 다시 아래(↓)로 바뀌는데, 연구진은 이 과정에서 원자를 통과하는 전류의 세기(양)가 달라진다는 사실에 주목했다. ESR로 이 전류의 세기를 측정해 티타늄 원자 하나의 핵스핀 값을 ... ...
[과학 읽어주는 언니]교류와 직류
동아사이언스
l
2018.10.11
이제는 직류를 고압으로 바꿀 수 있는 반도체 소자가 개발돼 직류도 초고압으로
손실
없이 먼 곳까지 배달할 수 있게 됐다. 절반 크기의 송전탑으로도 현재와 같은 양의 전기를 보낼 수 있다. ... ...
토마토도 프로바이오틱스 먹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09
미생물을 직접 식물 주변에 이식해 풋마름병을 억제하는 방식이다. 곽 연구원은 “농업
손실
을 줄여 기초 연구가 실제 산업 분야에 활용되는 좋은 사례가 되면 좋겠다”고 말했다. ... ...
초고해상도 나노픽셀로 고효율 OLED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10.07
성공했다.-한국연구재단 제공 연구진은 레이저 빛의 간섭현상을 이용해 엑시톤의 에너지
손실
을 줄이는 나노 픽셀의 패턴을 찾아냈다. 이 나노픽셀층(nPDL)을 OLED에 삽입하자 에너지 변환 효율이 137%까지 높아졌고, 그만큼 수명도 늘어났다는 평가다. 주병권 고려대 전기전자공학부 교수는 “고휘도 ... ...
이전
66
67
68
69
70
71
72
73
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