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정
개정
정정
교열
변경
개조
보정
뉴스
"
수정
"(으)로 총 1,358건 검색되었습니다.
[인류와 질병] 유독 인간에게 찾아오는 질병 '암'
2019.12.07
일부 개체는 암을 앓는 것이다. 세포는 분열해야 하고, 분열은 오류를 일으키고, 오류
수정
시스템은 모든 오류를 골라내지 못한다. 시간이 지나면 모든 세포는 심각한 돌연변이를 겪게 될 것이다. 하지만 방법이 있다. 개체가 죽는 것처럼 세포도 죽는다. 어느 정도 복제를 반복하면 죽는 것이다. ... ...
[주말N수학]"수학과 예술은 멀리 있지 않다"
수학동아
l
2019.12.07
18개의 매듭이 겹치지 않고 가장 아름다운 형태로 보일 수 있도록 각도를 계산하고
수정
하는 데에 그렇게 많은 시간이 걸린 것이다. 이 거대한 조형물은 약 300개의 서로 다른 셀로 이뤄져 있다. 각 셀에는 젤리같이 물컹한 ‘하이드로젤’이라는 물질이 들어있다. 틀어진 각도가 모두 다르기 ... ...
일제 때 씨 마를뻔한 '토종 삽살개' 복제견 2세 얻었다
연합뉴스
l
2019.12.03
복제로 태어난 수컷 단모종 바둑이 삽살개가 암컷 장모종(긴 털) 바둑이 삽살개와의 인공
수정
을 거쳐 지난해 12월 새끼 7마리를 낳았다. 새끼 중 2마리는 짧은 털 삽살개였다. 둘 다 암컷이다. 새끼들은 이제 곧 돌을 앞두고 있다. 환경 적응력을 갖춰 정상적으로 성장하고 있다는 뜻이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한층 더 상세하게 재현한 뇌 신경세포들
동아사이언스
l
2019.12.01
위해 3차원 전자 현미경으로 관찰한 생쥐의 대뇌피질 모습을 연구팀 연구원들이 직접
수정
에 나섰다. 오류의 가능성이 있는 위치에 대한 분석 및 작업을 약 4000시간 정도 투자했다. 그 결과 연구팀은 50만 세제곱마이크로미터(㎛3·100만분의 1m)의 부피로 신경세포를 재구성하는데 성공했다. 이는 ... ...
시민과 과학자가 함께 만든 서울의 화분매개자 서식지 지도 '시민과학의 위대한 힘'
어린이과학동아
l
2019.11.30
대해 설명하고 있다. 볼체 교수는 “분석 결과 시민과학자들끼리 서로 잘못된 종 정보를
수정
해주기 때문에 그 결과가 DNA 분석 결과와 크게 다르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이어서 “정확도가 떨어지는 건 한국 도롱뇽 4종 중 2016년 처음 동정된 제주도롱뇽 1종뿐이며 그건 시민과학자들이 새로 동정된 ... ...
[사이언스N사피엔스] 그래도 지구는 돈다
2019.11.29
받아들였다. 교황의 이 조치에 따라 코페르니쿠스의 《천구회전에 관하여》는 내용이
수정
되지 않은 출판이 금지되었다. 갈릴레이에게 서광이 비친 것은 1623년이었다. 피사대학 동문이면서 개인적으로 친분이 있었던 마페오 바르베리니 추기경이 교황 우르바노 8세로 즉위한 것이다. 갈릴레이는 ... ...
인도 "달 착륙선 '비크람' 오작동으로 일찍 추락" 첫 공식 인정
동아사이언스
l
2019.11.28
지난 9월 달 착륙을 시도했던 인도 달 탐사선 '찬드라얀 2호'의 착륙선이 착륙 도중 속도를 늦추는 장치가 오작동해 추락한 것으로 밝혀졌 ... 사람들은 그 임무에서 많은 데이터를 얻고 무엇이 잘못됐는지 정확히 알고 배웠다”며 “
수정
은 비교적 쉬우므로 성공을 거둘 수 있다”고 말했다 ... ...
달 궤도선 NASA측 제안 긍정적 검토…기술적 어려움 극복이 과제
동아사이언스
l
2019.11.25
새로운 경로를 제안하면서 시작됐다. NASA는 궤도선이 임무궤도에 진입하는 경로를
수정
하면 연료를 절약해 임무 시 활용할 연료가 늘어날 수 있다며 새로운 ‘WSB(Weak Stability Boundary) 전이궤적’을 제안했다. 이 경로는 궤도선의 연료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해 고안된 방법이다. 지구와 달, 태양의 ... ...
달탐사계획 또 변경 가능성…과기부 "NASA와 궤도변경 협의 중"
연합뉴스
l
2019.11.25
달 궤도선 발사를 2017∼2018년, 착륙선 발사를 2020년으로 계획을 5년 정도씩 앞당기도록
수정
했다. 이는 박 전 대통령의 대선 공약에 따른 것으로 애초 불가능하다는 지적과 함께 과학을 정치적 목적으로 이용한다는 논란을 초래했다. 이 계획은 문재인 정부에서 '원위치' 됐다. 작년 과기정통부는 달 ... ...
미토콘드리아DNA 유전질환 적은 이유는 '병목현상'
동아사이언스
l
2019.11.19
미토콘드리아에는 이 DNA와 구분되는 미토콘드리아 DNA가 들어 있다. 정자와 난자가
수정
될 때 정자의 미토콘드리아는 분해되고 난자의 미토콘드리아 DNA만 살아남아 모계로만 유전된다. 단순히 생각하면 부모 양쪽으로 DNA를 받을 때보다 유전적 다양성이 떨어진다. 이 때문에 그간 학계에서는 ... ...
이전
66
67
68
69
70
71
72
73
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