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산림
삼림
수풀
덤불
잡목림
입목
임야
뉴스
"
숲
"(으)로 총 827건 검색되었습니다.
“국내 서식 박쥐가 사람에게 옮길 수 있는 바이러스는 8종”
2016.01.05
연구원(박사과정 학생)은 “사람과 가축이 점점 늘어나며 거주공간과 산업단지가
숲
으로 확대돼 사람과 박쥐가 접촉할 가능성이 더 높아진 만큼 위험 요인은 증가하고 있는 셈”이라고 설명했다. 인수공통 바이러스를 가장 많이 가지고 있는 박쥐는 서아프리카 지역에 사는 종으로 최대 16종을 ... ...
[춤추는 과학자들] 당신의 박사학위는 힙합? 발레?
과학동아
l
2016.01.05
주제와 그보다 더 기발한 춤이 등장하고 있다. 2014년에는 ‘대형 토네이도가 지나간 이후
숲
과 토양의 변화’를 공중그네 춤으로 표현한 미국 조지아대 우마 나젠드라 연구원이 대상을 차지했고, 2013년에는 ‘형제 여부에 따른 정자의 성 결정’을 영국 옥스퍼드대 팀이 수중 발레로 표현했다. 201 ... ...
[춤추는 과학자들] 과학자들이 왜 춤을 출까
과학동아
l
2016.01.05
왜 춤을 출까 3. 1971년 리보솜 춤이 대박을 친 사연 대형 토네이도가 지나간 이후
숲
과 토양의 변화. 2014년 우승 작품이다. - 유튜브 캡처 제공 “과학과 예술을 모두 좋아했지만 항상 둘 중에 하나를 선택하라고 강요받았습니다. 그래서 택한 게 과학이었고요. 하지만 창의적이고, 복잡한 개념을 ... ...
겨울 피해 떠난 제비, 어디서 뭐할까
2015.12.31
추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물에서 많이 발견되는 탄소와 수소 성분을 분석하면 제비가
숲
에 머무는지, 초원에 머무는지 추정할 수 있다. 몸에 위치추적기를 장착한 제비가 한 연구원의 손가락 위에 앉아있다. - Woodland Park Zoo 제공 연구팀은 제비에 위치추적기를 장착해 이동 경로를 기록한 ... ...
크리스마스에도 산불, 美 캘리포니아 주에 항공 레이저 떴다
2015.12.29
ㅡ리스 ‘카네기 공중 관측소’로 분석한 캘리포니아 주
숲
의 수분 손실 정도. - 그레그 아스너 제공 미국 캘리포니아 주가 2011년부터 4년 ... 가뭄을 완화시킬 수 있는 지상 활동을 도울 수 있다”며 “또 가뭄이 다소 경감됐을 때
숲
이 복구되는 과정도 관찰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동양인이 서양인 보다 술이 약한 이유는?
2015.12.27
더
숲
제공 ■ 재밌어서 밤새읽는 소립자 이야기 (다케우치 가오루 作, 더
숲
刊) 물질을 이루는 가장 작은 단위인 소립자는 최근 과학계에서 가장 ‘핫’한 이슈다. 하지만 소립자 분야는 이름에 걸맞지 않게 매우 거대한 것을 담고 있는 학문이라고 할 수 있다. 우주가 처음 탄생한 빅뱅의 ... ...
백두산 호령하던 그때처럼… ‘大虎’ 복원 프로젝트
2015.12.20
산골짜기와 중턱에 불을 질러 농지를 마련하는 ‘화전’을 만들었다. 수전 때문에
숲
으로 떠밀려 간 호랑이가 산속에서도 오갈 곳이 없게 된 것이다. 더구나 비슷한 시기에 만주에서 ‘우역 바이러스’가 들어와 창궐했다. 소를 비롯해 사슴, 멧돼지 등 우제류가 모두 이 바이러스에 감염된다. ... ...
열혈 탐사 가족 ‘닥터구리’팀
어린이과학동아
l
2015.12.14
멋지게 활동한 ‘닥터구리’ 팀이죠. 탐사를 위해 1년 내내 매일 저녁마다 논으로
숲
으로 다닌 결과라고 해요. 어떻게 이렇게 가족 모두가 열혈 탐사대가 될 수 있었는지 그 비결을 알아볼까요? 어린이과학동아 제공 ● 맨 처음에 누가 먼저 지구사랑탐사대를 해 보자고 제안했나요? 아빠 : ... ...
우리 가족은 시민과학자!
어린이과학동아
l
2015.12.14
밀원식물에 대한 현장 교육을 들으며 탐사를 진행했어요. 또 8월에는 국립수목원에서
숲
캠프를 하기도 했답니다. 특히 올해는 지사탐 대장인 장이권 교수님께서 수원청개구리 복원사업을 시작하신 해이기도 했죠. 이렇게 지구사랑탐사대 프로그램이 성장하는 동안 지구사랑탐사대 활동에 참여한 ... ...
키다리 나무
숲
에 가뭄 닥치면 ‘난쟁이
숲
’ 된다
2015.11.29
로우랜드 연구원팀은 아마존 밀림에 가뭄 실험을 위한 장소를 마련하고 13년 이상 가뭄영향을 연구했다 - 영국 에든버러대 제공 키 큰 나무가 작은 나무보다 가뭄에 더 취약하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루시 로우랜드 영국 에든버러대 지구과학부 연구원팀은 열대 우림에서 진행한 장기간 가뭄 실험 ... ...
이전
66
67
68
69
70
71
72
73
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