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원칙
법칙
규칙
초보
이론
학설
기준
뉴스
"
원리
"(으)로 총 3,320건 검색되었습니다.
자율주행차에 쓰이는 '라이다'...미발굴 유적지 찾는 '첨병'
동아사이언스
l
2023.03.06
함께 곁들이면 3차원(3D) 지도가 만들어진다. 라이다는 사물 탐지에 쓰이는 ‘레이다’와
원리
는 동일하다. 그러나 라이다가 사용하는 레이저의 파장은 0.5미크론(μ∙100만분의 1미터)으로 레이다가 사용하는 라디오파의 파장보다 더 짧다. 폭과 높낮이 정보까지 측정하는 더 세밀한 탐색이 가능하다는 ... ...
세계 최고 안정도 6G 테라헤르츠파 생성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3.03
김승우 KAIST 기계공학과 교수, 김영진 KAIST 기계공학과 교수, 신동철 KAIST 기계공학과 연구원. KAIST 제공 6세대(6G) 통신 기기 간 주파수 표준으로 이용될 수 있는 넓은 대역의 ... 에 지난달 11일 게재됐다. 광 시간 표준 기반 초안정 테라헤르츠파 생성 기술의
원리
를 나타낸 모식도. KAIST ... ...
[과기원은 지금] KAIST, 면역세포로 암세포만 공략하는 CAR-T 핵심 기술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3.03
세포소기관의 막접촉점 단백질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이는 세포 내 대사의
원리
를 밝히는 것뿐 아니라 이를 바탕으로 인간이 겪을 수 있는 여러 종류의 대사질환을 치료함에 있어 중요한 초석이 될 수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항생제 내성균은 세균이 진화하는 증거
2023.02.28
서로 주고받는 것이다. 이는 세균 입장에서 보면 진화과정에서 가지게 된 세균의 생존
원리
이기도 하다. 세균을 포함한 미생물은 인류가 함께 살아가야 할 동반자라는 사실을 깨닫고 공존할 수 있는 방법을 찾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 감염병 해결을 위한 좋은 방법이다. ※ 참고문헌 1. 폴 이월드. ... ...
[씨즈더퓨쳐] 먹는 남성 피임약 개발 과학자에게 직접 들었다
2023.02.26
질에 머무는 시간, 최대 40분 정도까지 정자가 못 움직이게 한다." Q. 약이 작용하는
원리
는? "정자가 정액으로 나올 때 ‘수용성 아데닐릴 사이클레이즈(sAC)’라는 효소가 정자의 운동성을 켜는 ‘스위치’ 역할을 한다. 우리가 개발한 약은 이 스위치가 켜지지 않도록 막는다. 스위치를 막을 수 있는 ... ...
살아있는 동물에서 저절로 전극이 만들어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2.24
23일(현지시간) 공개했다. 동물의 체내 화학작용을 활용해 화합물이 전극으로 변환되는
원리
다. 뇌 심부 자극 기술을 개선하거나 손상된 신경을 복원하는 데 도움이 될 전망이다. 마그누스 베르그렌 스웨덴 린셰핑대 재료과학과 교수와 제노폰 스트라코사스 스웨덴 린셰핑대 수석연구원 연구팀은 ... ...
'인공태양' 핵융합 발전 12년 뒤 실증로 건설...상용발전소는 2050년대
동아사이언스
l
2023.02.23
결합해 무거운 원자핵으로 변하면서 에너지를 내놓는 현상이다. 태양이 열을 내는
원리
와 유사해 '인공태양'이라 불린다. 우라늄과 플루토늄 등 무거운 원소를 쪼개 에너지를 내는 핵분열을 통한 원자력 발전과는 반대되는 개념이다. 핵융합은 탄소를 발생시키지 않는 청정에너지로 주목받고 있다. ... ...
[기후위기와 산림] 염분 많은 간척지에서도 나무가 자란다
2023.02.23
% 이상의 높은 생존율을 보였으며 광합성 효율도 높게 나타나 생육의 안정성을 보였다.
원리
를 연구한 결과, 염 이온의 운송과 관련된 펌프 역할을 하는 유전자들이 활성화되면서 체내에 쌓이는 나트륨 등의 염분을 끊임없이 밖으로 배출하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개발된 내염성 포플러는 효과적인 ... ...
김빛내리, 암 치료 위한 RNA 유전자 치료제 새 가능성 열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2.23
"miRNA 작동
원리
에 대한 개별적인 것들은 많이 밝혀진 상황이다. 단백질 하나하나의 작동
원리
뿐 아니라 전체적인 복합체 구조를 밝혀내 정확한 메커니즘을 이해해야 한다. 장기적으로는 miRNA를 만들어내는 공학적인 기술개발도 병행돼야 한다. 염기서열만 알고 있으면 컴퓨터로 디자인해 원하는 ... ...
[과기원은 지금] KAIST, 뇌 속 자명종 신경회로 발견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2.21
KIST) 선임연구원 연구팀과 공동으로 동물이 잠을 자는 동안에도 소리에 반응해 각성하는
원리
를 규명하고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커런트 바이올로지'에 게재했다고 20일 밝혔다. 수면 중에는 감각신경 작용이 차단돼 주변 위험을 감지하는 능력이 감소하지만 많은 동물은 잠자는 동안에도 포식자 ... ...
이전
66
67
68
69
70
71
72
73
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