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량
뉴스
"
적은
"(으)로 총 3,479건 검색되었습니다.
이웃집 사는 경찰관의 시시콜콜한 정보 흘렸더니...동네 범죄율 뚝 떨어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3.04
선호 음식이나 응원하는 스포츠팀 등 동네 경찰에 관한 사소한 개인정보로 범죄율을 낮출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NYPD 제공 미국 시카고대 과학자들이 2017년 뉴욕 경찰들과 협력해 범죄 심리에 관한 매우 흥미로운 실험을 진행했다. 2017년 11월과 2018년 1월 사이 약 3주 간격으로 뉴욕시 69개 주거 ... ...
코로나 확진자와 함께 먹고, 자도 감염되지 않는 '그들'이 있다…치료전략의 새 이정표
동아사이언스
l
2022.03.03
전국 대부분 초·중·고등학교 개학을 이틀 앞둔 2월 28일 강원 춘천시 강원체육고등학교 인근에 마련된 강원도교육청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선별검사소에서 한 어린이가 검사를 받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2021년 3월 세계 최초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휴먼 챌 ... ...
'공포의 포식자' 티라노사우루스는 "세 종" 논쟁적 주장 나와
연합뉴스
l
2022.03.03
크리스티경매에 나온 티라노사우루스 두개골 '스탄' '티라노사우루스'(Tyrannosaurus)는 '폭군 도마뱀'이라는 뜻의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포식자 중의 포식자였다. 강력한 턱 힘과 날카로운 원뿔형 이빨로 육식공룡의 대명사처럼 돼있다. 1905년 처음 발견된 이후 가장 널리 연구돼 왔지만 T.렉스(rex) 한 ... ...
[프리미엄 리포트] 온도 변화로 읽는 지구의 대멸종
과학동아
l
2022.02.26
픽사베이 제공 4억 5000만년 동안 총 5번의 대멸종이 있었다. 이 기간 동안 총 45번의 크고 작은 전지구적 온도 변화가 있었는데 온도가 5.2℃ 이상 변하면 대멸종이 시작됐다. 멸종에는 온도 변화의 속도 또한 중요했다. 100만 년 만에 10℃ 이상 변하는 빠르기여야 대멸종이 일어났다. 3번째 대멸종인 ... ...
[인터뷰] 생체 모방으로 탄생한 친환경 약물 패치
과학동아
l
2022.02.26
박치영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에너지공학 전공 교수와 최경현 에너지공학 전공 석·박사통합과정 연구원이 연구실에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장춘구 제공 박치영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에너지공학전공 교수의 연구실엔 기사 스크랩이 가득 쌓여있다. 이달 5일 대구 달성군 현풍면 DGIST 연구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가짜뉴스에 쉽게 빠지는 사람의 특성
2022.02.26
동아사이언스DB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백신에 관한 가짜 뉴스부터 특정 음식이 효과에 좋다는 주장까지 수많은 정보가 넘쳐나고 있다. 정보 부족보다 정보 과잉, 특히 가짜 뉴스들이 넘쳐 사람들의 판단력을 흐리는 것이 문제라는 지적이 많다. 가짜 뉴스가 진짜 뉴스보 ... ...
2029년 아포피스 탐사는 왜 한국의 독자 우주개발을 완성하는 '화룡점정'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22.02.25
아포피스 탐사선를 가상이미지로 나타냈다. 천문연 제공 2029년 지구에 초근접 하는 소행성 아포피스 탐사해 지구 접근 전후 변화를 규명하는 국내 최초의 독자 소행성 탐사 프로젝트의 청사진이 처음으로 대중에 공개됐다. 우리 손으로 만든 독자 발사체에, 우리 손으로 개발한 우주탐사선을 실어 ... ...
코로나 감염 고령층 3명 중 1명은 완치 후 호흡부전·치매·만성피로 위험
동아사이언스
l
2022.02.20
미국 연구진이 코로나19에 확진됐던 노인 3명 중 1명은 호흡부전, 치매, 만성피로 등 장기 후유증을 겪을 위험이 높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염증반응이 각 장기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는 것이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미국 연구진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 ...
[지구는 살아있다] 세균이 만든 산소, 지구를 숨쉬게 하다
2022.02.19
전 세계를 돌아다녔지만, 호수에서 자란 스트로마톨라이트 중 이렇게 큰 것을 본
적은
없었습니다. 스트로마톨라이트는 100여 년 동안 겨우 수 cm 두께로 자랍니다. 그러니 이 거대한 스트로마톨라이트는 사실 수천 년이 넘는 오랜 세월 동안 만들어진 매우 귀중한 암석인 셈입니다. 이곳 말고도 ... ...
[주말N수학] 모순 웅덩이
2022.02.19
수학자 피에르 드 페르마(1607-1665). 그가 제기한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는 가장 어려운 수학 문제로 기네스북에 등재돼 있고 1994년 앤드루 와일스 영국 옥스퍼드대 교수에 의해서 증명됐다. 위키피디아 제공 1637년 프랑스의 수학자 피에르 드 페르마가 제기한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는 무려 ... ...
이전
66
67
68
69
70
71
72
73
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