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스타
star
태양
해
스페셜
"
별
"(으)로 총 859건 검색되었습니다.
1941년 하이젠베르크는 왜 보어를 방문했을까
2016.07.19
희곡을 읽어보려고 인터넷 서점에서 검색을 해봤지만 아쉽게도 번역돼 있지 않았다.
별
수 없이 원서 이북을 사서 다운받아 읽어봤다. 희곡의 대화를 통해 1941년 하이젠베르크가 왜 보어를 만나러갔는지 알아보자. (본문 인용은 연극 대사가 아니라(녹음을 못했다) 필자가 희곡을 번역한 것이다.) ... ...
피할 수 없을 땐 자기합리화?!
2016.07.05
문제는 비교적 객관적으로 비판하면서, 그 문제가 자신이 속한 사회의 문제인 경우에는
별
문제가 아니라는 듯 태도가 다른 경향을 보였다. 남의 불행은 굳이 합리화할 필요가 없지만 내가 처한 불행은 합리화의 대상이 된다는 것이다.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현재 다니는 학교에서 다른 학교로 ... ...
그레고르 멘델을 변호하다
2016.07.04
영문인지 완두를 대상으로 한 논문을 본 기억은 없다. 당시 필자의 연구주제와 완두가
별
인연이 없었기 때문일 수도 있다. 학술지 ‘커런트 바이올로지’ 6월 30일자(온라인)에는 모처럼 완두를 대상으로 한 논문이 실렸다. 다만 유전학은 아니고 생리학 분야로 환경에 따른 식물의 적응력을 ... ...
가진 것이 줄어들수록 보수적이 되는 이유는?
2016.06.28
통제 조건). 그리고 나서 설문을 통해 현 체제를 정당화하는 정도(우리 사회 시스템에는
별
문제가 없으며, 어려움을 겪는 것은 자기 탓이다), 미국 사회가 위협을 받는다고 느끼는 정도(기존의 미국인 다운 삶이 위협받고 있다), 백인 집단의 지위가 위기에 처했다고 느끼는 정도(소수인종의 지위 ... ...
‘호빗’의 조상, 70만 년 전에 존재했다.
2016.06.20
비슷했다. 턱뼈와 치아 외에는 다른 골격이 발견되지 않았지만 호빗의 조상이라고 봐도
별
무리가 없는 결과다. 무엇보다도 호빗이 소두증인 현생인류라는 집요한 주장이 이제 힘을 잃게 됐다. 호빗보다 머리가 더 작은 인류가 무려 70만 년 전부터 플로레스섬에 살고 있었다는 얘기이기 때문이다. ... ...
스티븐 호킹 “블랙홀에도 빠져나올 구멍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6.06.12
블랙홀에 한번 빨려 들어가면 고유 특성에 관한 정보를 모두 잃게 되므로 사람인지
별
인지 알 수 없게 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호킹 박사는 이 같은 ‘노-헤어(No-hair) 이론’을 일찌감치 부정했다. 지금으로부터 40년 전인 1976년 그는 블랙홀이 영원히 존재할 수 없다는 사실을 수식으로 증명해 ... ...
13만 km 혈관에 숨어 있는 삶과 건강
IBS
l
2016.06.01
생기는 암이나 염증의 혈관 상태 또한 모두 제각각이다. IBS 과학자들도 장기
별
·질환
별
로 서로 다른 혈관의 생성·유지·조절 작용에 대한 핵심 분자물질을 발견하고 그 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를 통해 그 메커니즘을 파악해 낼 수 있다면, 혈관 질환 치료의 바탕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 본 ... ...
귀차니즘을 떨칠 수 있는 심리학적 방법은?
2016.05.31
된다. 또한 어떤 목표를 달성하는 데에는 ‘이 목표를 → 달성한다’ 정도의 생각은
별
로 도움이 되지 않고 ‘그 목표를 → 이런 저런 행동을 통해 → 달성한다’ 같은 구체적인 실행 계획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점에서도 자잘한 행동 규칙들을 만들어 두는 것은 매우 바람직하다. 나의 경우 애써 ... ...
호기심의 두 얼굴: 호기심은 인간을 이롭게 만들까, 아니면 해롭게 만들까?
2016.04.19
아무 버튼이나 누르면 되는데, 지루하지 않게 하기 위해 배경음으로 ‘반짝 반짝 작은
별
’의 피아노 연주가 흐르고 있다(유쾌한 소리). 실험결과 불확실성이 큰 조건(물음표 44개)에서는 평균 39개의 버튼을 누른 반면 확실성이 큰 조건(물음표 4개)에서는 평균 28개의 버튼을 눌러 역시 판도라 효과가 ... ...
호킹 “나노 돛단배로 ‘인터스텔라’ 계획 실현하겠다”
2016.04.13
돛을 단 ‘나노 크래프트’ 모형도. 영국의 이론물리학자 스티븐 호킹이 러시아 부호 유리 밀너, 페이스북 최고경영자(CEO) 마크 저커버그 ... 수는 없다”며 “이르든 늦든 우리는
별
들로 시선을 돌려야 한다. 이번 프로젝트는
별
들을 향한 여행의 매우 멋진 첫 걸음”이라고 밝혔다. ... ...
이전
66
67
68
69
70
71
72
73
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