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호
암호
사인
서명
시그널
몸짓
부호
스페셜
"
신호
"(으)로 총 891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갈색지방 속 ‘숙신산’서 다이어트 효과 찾았다
2018.08.07
것으로 밝혀졌다. 참고로 활성산소가 단순히 세포에 해로운 노폐물이 아니라
신호
전달물질로도 기능할 수 있다는 사실은 20년 전인 1998년 미 국립보건원의 이서구 박사(현 연세대 석좌교수)와 동료들이 처음 보고했다. 이번 결과는 이 교수의 가설을 입증하는 또 다른 예인 셈이다. TCA 회로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정자에 왜 후각수용체가 있을까?
2018.07.31
후각상피에 존재하는 수용체에 달라붙는 냄새분자들이다. 반면 개체 내 또는 개체 간에
신호
를 주고받는 관점에서 후각수용체와 인식하는 분자가 규명된 건 몇 개에 불과하다. 아직 갈 길이 멀다는 말이다. 그럼에도 후각수용체가 코뿐 아니라 몸 전체에 분포하며 다양한 기능을 한다는 사실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잃어버린 물질을 찾아서
2018.07.03
건 잃어버린 가시 물질을 찾았다는 말과 마찬가지다. 그런데 앞에서 은하간공간에서는
신호
가 워낙 미약해 가시 물질을 관측할 수 없다고 하지 않았나. 산소 7가 양이온의 전자가 X선 흡수 연구자들은 퀘이사가 내보내는 빛의 스펙트럼을 분석해 WHIM의 뜨거운 부분에서 중입자 존재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아픔까지 느껴지는 의수(義手) 개발했다!
2018.06.26
만들었을까. 이에 대해 연구자들은 통증이 본질적으로 몸을 보호하기 위해 진화한
신호
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설사 의수라도 다치면 안 되기 때문에 통증을 지각하는 게 필요하다는 것이다. 그리고 의수에서 느껴지는 통증은 불편하지만 견딜 수 있는 수준이다. 연구자들은 앞으로 온도 센서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잠 안 설치려면, 커피 언제 얼마나 마셔야 하나
2018.06.12
향 음미 및 각성효과)’이라는 습관 고리에 빠지면 벗어나기 힘들다고 설명한다. 일단
신호
를 접하면 습관 패턴이 자동적으로 전개된다는 것이다. 수면장애로 고생하는 사람들이 카페인과 연관성을 알면서도 좀처럼 커피를 끊지 못하는 이유다. 그럼에도 카페인의 생리학을 떠올린다면 카페인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홍대 누드모델 몰카' 사건에 주목하는 또다른 이유
2018.05.19
않을 가능성’, 큰 구조적 문제가 존재해서 삶의 환경을 크게 고칠 것을 요구하는
신호
를 반가워하지 않는 편이다. 많은 사람들이 세상을 바꿔야한다고 생각하기보다 ‘우리 사회의 룰은 모두에게 공정해’, ‘우리 사회에는 별다른 문제가 없어’, ‘열심히 노력하면 다 잘 될 거야’, ‘뿌린대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나이가 들면 왜 효자손이 필요할까
2018.05.08
제공 한편 늙은 생쥐에게 메르켈 세포를 자극하는 물질을 투여할 경우 가려움 억제
신호
가 강화돼 젊은 생쥐처럼 적당히 가려움을 느끼는 수준으로 돌아갔다. 즉 이런 약물을 나온다면 물리적 자극에 대한 만성적인 가려움 증상을 치료할 수 있을지 모른다. 참고로 알레르기 같은 화학적 자극으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호흡은 어떻게 감정을 조절할까
2018.04.24
신호
도 전뵈트징어복합체의 활동에 영향을 주는 양의 피드백 현상을 보인다. 한편 이
신호
에 관여하는 뉴런은 앞서 한숨에 관여하는 뉴런과는 달라 전뵈트징어복합체에 뉴런들이 세분돼 각자 호흡과 관련된 특정한 역할을 맡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사람에서도 이런 회로가 존재하는지는 아직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위산과다 치료제, 세대교체 일어나나?
2018.04.17
H+)을 위 내강으로 내보낸다. 위산분비는 여러
신호
에 따라 정교하게 조절되므로
신호
를 차단해 위산분비를 억제하는 약물도 있지만(예를 들어 히스타민수용체(H2)길항제) 여기서는 다루지 않았다. - Memorang 제공 비유하자면 양성자 펌프는 양쪽에 문이 있는 출입구다. 세포막을 사이에 두고 왼쪽이 ... ...
[표지로 읽는 과학] 나무는 어떻게 겨울잠을 잘까?
동아사이언스
l
2018.04.14
중단시키는 원인이 되는 것이다. 세포 사이 구멍이 막히면 식물체 내에서 성장 촉진
신호
를 계속해서 만들어내도 성장이 정지된 휴면 상태가 유지된다. 식물이 저온에 장시간 노출되면 세포 사이 구멍이 다시 열리면서 휴면 상태가 풀리고 성장이 재개된다. 봄이 오면 휴면 상태가 풀리고 낮의 ... ...
이전
66
67
68
69
70
71
72
73
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