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강아지
개새끼
강아지새끼
도그
개봉
첫상연
잡종개
d라이브러리
"
개
"(으)로 총 16,270건 검색되었습니다.
누구나, 함께 쓰는 슈퍼컴 전도사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같은 시설이 있다면 16
개
의 모니터를 통해 유리로 된 벽을 보듯 마치 실험실 두
개
가 붙어있는 것과 같은 느낌을 받을 수 있다. 지금은 시범적으로 같은 시설이 마련된 KAIST 외 4곳과 연결돼 학생과 교수들이 멀리 떨어져 있어도 함께 있는 것처럼 수업을 진행할 수 있다.2003년 완성된 인간의 유전자 ... ...
통신 오류 잡는 수학 ‘마술사’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국제 전기전자학회(IEEE)에서 석학회원(Fellow: 펠로우)으로 선정됐다. 석학회원은 175
개
국 40만 명 회원 중 0.1%에게만 부여되는 자격이다. 노 교수는 IEEE의 45
개
소사이어티(학회) 중 가장 학구적이라 인정받는 정보이론 소사이어티에서 석학회원이 된 첫 번째 한국인이다.뛰어난 연구성과 비결을 묻자 ... ...
마법 요리의 세계로 오세요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학생들에게서 평소에는 알 수 없었던 달인의 면모가 보여요.” 김미정 선생님은 학생
개개
인의 특성을 누구보다 잘 알고 있었다. 그리고 그에 맞는 활동을 하도록 지도했다. 학생들은 자신감을 얻었고 자신감은 학생들의 꿈에도 영향을 줬다. 환경공학을 공부하고 싶은 예건희 학생은 원래 과학을 ... ...
Part 2. 은하 안방 차지하고 무수한 별 먹었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데 핵심적인 천체라고 할 수 있다. 아직도 수수께끼투성이이기는 하지만 앞서 소
개
한 바와 같이 우리나라에서도 거대질량 블랙홀에 대한 활발한 연구가 이뤄지고 있어 앞으로의 결과가 매우 기대된다.[허셜우주망원경의 관측 결과 거대질량 블랙홀이 지나치게 활발해 많은 에너지를 분출하면 ... ...
괴물 탄도탄은 지그재그로 난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폭탄을 적국까지 실어 나르는 방법은 많다. 비행기로 떨어뜨릴 수도 있고, 병사가 메고 걸어 들어가 스위치를 누를 수도 있다. 이런 경우엔 방어할 여지가 있다 ... 탄도탄 확보를 위한 노력도 커지는 분위기다.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첨단 군사과학기술
개
발을 통한 확실한 대비가 아닐까 ... ...
내 가슴은 안전할까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지난해 우리나라에서 수입한 가슴 보형물은 5만 2510
개
. 2008년 3만 1757
개
에서 2년만에 2만여
개
나 늘었다. 대한성형외과학회에 따르면 매년 1만~1만 5000명 정도가 유방확대수술을 받고 있다. 부작용 보고도 함께 늘고 있다.지난해 식약청에 보고된 의료기기 부작용 717건 중 가슴확대술 등에 쓰이는 ... ...
오늘 나의 죽음은 어디까지 왔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더 명확하게 위험을 인식할 수 있다. 스피글할터교수는 마이크로라이프가 최근 정립된
개
념인 만큼 “충실한 후속연구가 뒷받침된다면 대중들에게 위험을 전달하는데 효과적으로 쓸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마이크로몰트와 마이크로라이프는 서로 다른 성격의 위험을 쉽게 표현할 수 있다. ... ...
뇌신경 지도를 그린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잘못된 연결이나 끊어진 연결을 재생시킬 수 있는 유전자 치료나 줄기세포 치료 방법이
개
발돼서 뇌질환으로 고통 받는 환자들에게 희망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
2014, 수능을 준비하는 우리의 자세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것만은 아니라는 것도 염두에 둬야 한다.고 3이 되면 누구나 최선을 다하기 때문에
개
인별로 공부하는 양과 속도는 비슷하다. 그렇기 때문에 미리 준비하지 않으면 앞서 있는 사람을 따라잡는 것은 힘들다. 독자 여러분! 미리 출발해 입시에서 꼭 성공하세요 ... ...
바둑도 수학규칙 따른다
수학동아
l
2012년 06호
다음으로 많이 쓰이는 10
개
의 단어보다 10배나 많이 쓰이며, 그 다음으로 많이 쓰이는 100
개
의 단어보다는 100배나 더 많이 쓰였다.이번 연구에서는 바둑돌의 움직임이 마치 자주 쓰이는 단어처럼 특정한 규칙을 따른다는 게 드러났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를 통해 바둑기사와 아마추어의 전략 차이를 ... ...
이전
706
707
708
709
710
711
712
713
7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