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옛일
과거사
기왕지사
jinan
d라이브러리
"
지난
"(으)로 총 9,141건 검색되었습니다.
생리·의학상/도어티, 친커나겔
과학동아
l
1996년 11호
친커나겔의 업적은 각종 감염성 질환의 치료와 예방에 이론적 발판을 마련했다. 20년이
지난
연구에 대해 노벨상을 수상한 것은 면역학의 근본 원리에 대한 업적을 기리기 위함이다. 이들의 연구로 인해 면역학 분야에서 한 축을 이루는 '특이성' 문제, 즉 어떻게 면역세포가 정확하게 적을 ... ...
5. 기억력 높이는 필기법, 마인드맵
과학동아
l
1996년 11호
중심으로 방사형의 그림과 글씨를 써 나가며 사고력에 대해 강연을 했다. 한 시간이
지난
뒤 강의 내용은 한 장의 종이에 모두 기록됐다. 그는 이 종이를 흔들며 ‘이것이 마인드 맵‘이라고 말했다. 마인드 맵은 현재 토니 부잔이 소유하고 있는 상표명이다. 이름은 다르지만 이전에도 많은 ... ...
부엌에서 찾아낸 과학
과학동아
l
1996년 11호
떠 다니는 것을 한번도 보지 못한 것이다. 그래서 다른 낚시터의 기억을 더듬어봤다.
지난
여름에 다니던 이 산 아래의 저수지에는 죽은 고기가 있었는데 왜 이곳에는 죽은 고기가 없을까.여기에 대해 토론을 해봤다.경수: 그 호수는 깨끗하기 때문에 물고기가 죽지 않는게 아닐까?수영(비웃듯이): ... ...
Ⅲ. 포항공대생 의식조사
과학동아
l
1996년 11호
과학동아는
지난
10월 포항공대신문사와 더불어 포항공대생 1백52명을 대상으로 의식, 대학생활 등 모두 20개 항목에 걸쳐 설문을 실시했다. 이번 설문은 현재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해킹과 CUG폐쇄 등에 대해 시사하는 바가 매우 크다. 그 내용을 간추려 살펴보기로 하자. ①과학영재는 ... ...
통신 민주주의 가능성
과학동아
l
1996년 11호
받아야 하며, 또 이를 어기면 15년의 징역을 살아야 하는 나라가 이 지구상에 있다.
지난
9월 27일 UPI가 전해온 소식에 따르면 미얀마 군사 정부는 최근 이 나라 통신부에 국민의 통신 행위를 제한할 수 있는 권리를 부여한 ‘컴퓨터 과학 발전법’을 발효시켰다. 이 법은 또한 국가의 사전 허가 없이 ... ...
Ⅳ. 4인의 프리즘으로 본 포항공대
과학동아
l
1996년 11호
물, 공기가 포항보다 더 푸르고 맑다는 것 정도다. 어쨌든 포항과 거제를 모두 사랑한다.
지난
주 금요일. 입사하고 처음으로 월차라는 것을 내고 포항엘 갔다. 내가 몸 담았던 ‘다솜’(장애인 봉사 동아리)에서 하는 ‘사랑의 수화제’를 보기 위해서다. 담당부장은 고개를 갸우뚱거리며 “대졸사원 ... ...
1. 스모그는 왜 새벽에 발생할까
과학동아
l
1996년 11호
일기예보에서 종종 듣는 말이다. 안개나 스모그는 새벽에, 소나기구름은 한낮이
지난
직후에 잘 만들어지는 이유는 무엇일까. 이를 알기 위해서는 대기가 ‘안정하다’ 또는 ‘불안정하다’라는 말을 먼저 이해해야만 한다. 원래의 위치를 계속 유지하려는 성질이 강해 운동이 억제되는 상태를 ... ...
1. 사이버스페이스는 남녀평등의 사회인가
과학동아
l
1996년 11호
채 못된 것을 생각하면 새로운 변화임에 틀림없다. 국내 PC통신의 경우도 여성 이용자가
지난
해에 비해 3백% 가량 늘어나 남자 대 여자 비율이 5 대 1까지 올라섰다.이같은 현상은 컴퓨터가 최근 가정의 필수품으로 자리잡고 있는 흐름과 맞아 떨어진다. 전업주부로 가정의 울타리에 갇혀 있던 여성이 ... ...
타이태닉호 침몰 그 이후
과학동아
l
1996년 10호
과거를 거울로 삼아 오늘의 현실을 비추려는 연구자들은 타이태닉호의 침몰을
지난
1986년 1월 발생한 우주왕복선 챌린저호의 폭발과 비교해 인간의 자만심에 경종을 울리고 있다.공교롭게도 두 사고는 모두 얼음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타이태닉호는 7번의 경고를 무시하다 빙하와 부딪쳤고, ... ...
측우기 중국기원설 정면 반박
과학동아
l
1996년 10호
지난
8월 26일부터 31일까지 한국과학사학회와 한국과학저술인협회 주관으로 제8회 국제동아시아과학사회의가 서울대학교에서 개최됐다. 동아시아 지역의 과학기술사를 연구하는 세계적인 석학들이 모인 이 회의의 개막 연설에서 박성래 교수(외국어대학교 사학과)는 중국학자들이 우리 역사를 ... ...
이전
706
707
708
709
710
711
712
713
7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