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제반
여러가지
각반
전부
일체
모든일
뉴스
"
모든것
"(으)로 총 7,949건 검색되었습니다.
여섯 번째 DNA염기 존재하나?
2015.06.29
여섯 번째 염기인 히드록시메틸시토신(5hmC)에 이어 일곱 번째인 포르밀시토신(5fC)과 여덟 번째인 카르복실시토신(5caC)의 발견은, 우리가 지금까지 게놈의 역동적인 측면을 얼마나 과소평가했는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 크리스토퍼 나벨 & 라울 콜리 예전에 정보과학을 다룬 책을 읽다가 흥미로운 ... ...
인간 진화의 원동력은 ‘부정 본능’
2015.06.28
와이즈베리 제공 ■ 정리하는 뇌 (대니얼 레비틴 著, 와이즈베리 刊) 스마트폰을 어디 뒀는지 기억이 안나 방안을 샅샅이 뒤지는가 하면 인터넷 사이트의 아이디가 생각이 안나 고생 하기 일쑤다. ‘정리하는 뇌’의 저자 대니얼 레비틴 몬트리올 맥길대 행동신경과학 교수는 정보가 넘쳐흐르 ... ...
감염경로 불분명한 환자 늘어… 당국 “진정세 판단 유보”
동아일보
l
2015.06.25
[동아일보] [메르스 어디까지] 길어지는 메르스 잔불 처리 0명(20일)→3명(21일)→3명(22일)→3명(23일). 숫자만으로는 크게 우려할 수준은 아닌 것처럼 보인다. 20일 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 확진환자가 한 명도 나오지 않은 뒤 21∼23일 3명씩만 발생했고, 24일도 4명에 그쳤기 때문. 하지만 전문가 ... ...
전기요금 절약할 수 있는 기초원리 나왔다
2015.06.24
광주과학기술원(GIST) 제공 전자제품은 전원을 꺼도 코드를 꽂아두는 한 미량의 전기가 계속 흐른다. 흔히 ‘누설전류’라고 불리는 이 현상은 전기료를 높이는 원인이기도 하다. 국내 연구진이 이런 누설전류를 줄일 수 있는 원리를 규명하는데 성공했다. 김봉중 광주과학기술원(GIST) 신소재공 ... ...
[메르스 업데이트] 독일, 메르스 백신 개발해 임상 돌입 예정
2015.06.24
메르스바이러스의 모습 - 동아일보 자료사진 제공 유럽 연구진이 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 백신 개발에 성공하고 조만간 임상시험을 한다고 밝혔다. 지금까지의 메르스 백신 연구로는 상용화에 가장 근접한 결과다. 게르트 수터 독일 뮌헨대 감염 및 전염센터 교수팀은 마르부르크대, 네 ... ...
전생에 삼엽충이었던 분을 찾습니다~
과학동아
l
2015.06.23
지난해, 티벳의 정신적 지도자인 달라이 라마가 “더 이상 후계자는 없다”고 발언해 논란이 일었습니다. 아시다시피 달라이 라마는 환생이라는 방식을 이용해 대대로 자리를 계승합니다. 달라이 라마가 죽으면 유언에 따라 환생자를 찾은 뒤 그 사람을 차기 달라이 라마로 추대하지요. 달라이 ... ...
병원체에 대한 고찰
2015.06.22
미국의 미생물학자 폴 드 크루이프는 대중을 위한 과학저술의 선구자다. 그가 1926년 발표한 책 ‘소설처럼 읽는 미생물 사냥꾼 이야기’는 18개 외국어로 번역됐다. 2005년 한글판도 나왔지만 아쉽게도 지금은 절판된 상태라 중고책을 구입할 수 있을 뿐이다. 책은 현미경을 발명해 미생물을 처음 본 ... ...
[메르스 업데이트] 메르스 바이러스 복제 막는 물질 찾았다
2015.06.22
메르스 바이러스의 단백질 분해효소는 쌍둥이 효소가 서로 달라붙은 뒤 바이러스 복제에 필요한 단백질 절단 작업을 진행한다. 퍼듀대 연구진은 단백질 분해효소가 바이러스 단백질에 달라붙지 못하게 막는 억제물질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 - 퍼듀대 제공 미국 연구진이 메르스 바이러스가 스스로 ... ...
“감염 발생 즉시 병원名 공개… 환자거주 洞까지 밝혀야”
동아일보
l
2015.06.22
[동아일보] [제2의 메르스를 막아라]방역시스템 체질 개선을 ‘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 사태’는 한국 사회의 해외발(發) 감염병에 대한 위기의식과 대처 능력이 얼마나 형편없는지를 밑바닥까지 보여줬다. 보건당국과 보건의료계에서는 “메르스 정도여서 다행이었다”는 안도까지 ... ...
“감염병 언제든지 재발… 질본 역량부터 키워야”
동아일보
l
2015.06.22
[동아일보] [제2의 메르스를 막아라]보건의료 전문가 35명 설문 “에볼라-AI-라사열 順 위험성 커… 질본 전문인력-지휘권 강화 시급” 국내 보건의료 전문가 3명 중 1명은 해외에서 유입되는 감염병 가운데 가장 우려되는 것으로 에볼라를 꼽았다. 또 10명 중 9명은 에볼라, 조류인플루엔자(AI), 메르 ... ...
이전
707
708
709
710
711
712
713
714
7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