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직업
업무
사건
노동
작업
임무
일거리
뉴스
"
일
"(으)로 총 51,238건 검색되었습니다.
극지 기후 데이터로 만든 음악...기후위기 경각심
일
깨워
동아사이언스
l
2024.04.22
지적 호기심에 앞서 사람들의 감정을 이끌어내는 작업이 과학에 대한 관심을 더욱 높
일
수 있는 방법이라고 봤기 때문이다. 특히 기후변화에 따른 극적인 변화를 맞고 있는 극지 기후 데이터로 감정적 울림을 증폭시켜 기후위기에 대한 경각심을 유발할 수 있다. 나가이 교수는 “이번 연구를 ... ...
동물도 '의식' 있나…과학자들 "강력한 증거들 잇따라"
동아사이언스
l
2024.04.21
한 작업을 수행해도 이것이 곧 의식의 존재를 증명할 수는 없다는 것이다. 라우
일
본 리켄뇌과학연구소 연구원은 "지금까지 어떠한 결정적인 증거도 나오지 않았다고 생각한다"며 무의식적인 인식과 의식적인 인식을 구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전했다 ... ...
[사이언스게시판] 국립과천과학관, 과학소통강연 '선을 넘는 과학자들'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4.21
무선충전시스템, 태양광발전시스템 등 대형 및 고출력 제조 관련 업체를 비롯해 독
일
,
일
본, 영국 등 10개국에서 50여 명의 산업계 전문가가 참여할 예정이다 ... ...
소규모 재생에너지 전력 '안심 직접거래' 실증
동아사이언스
l
2024.04.21
시행해 연구개발특구 내에서 신기술을 창출하는 과정에서 맞닥트리는 규제를
일
정 기간‧조건 하에 풀어주고 있다. 이번 6건을 포함해 지금까지 총 30건의 실증특례가 지정됐다. 연구개발특구 규제샌드박스 지정 현황. 과기정통부 ... ...
'의대 자율 증원' 정부안에 의료계 거부…교수 사직 25
일
효력
동아사이언스
l
2024.04.21
교수 비대위는 사직 여부는 전적으로 교수들이 자율적으로 결정할
일
이라는 입장이다.
일
각에서는 교수들이 의대별 비상대책위원회에 제출한 사직서가 인사과에 전달되지 않은 경우도 있어 사직 효력이 발생하지 않을 것이라는 해석도 나온다. 의대 교수들에 앞서 의료현장을 이탈한 전공의들은 ... ...
전문가들 "다음 대유행 전염병은 독감, 미지의 질병X"
동아사이언스
l
2024.04.21
재확인됐다"며 "이들 병원체는 호흡기를 통해 전염되고 이전에 유행 또는 팬데믹을
일
으킨 적이 있다는 특징이 있다"고 지적했다. 살만톤-가르시아 연구원은 인플루엔자에 대해 "유행 바이러스가 계절마다 바뀌기 때문에 평생 여러 번 감염될 수 있고 백신도 해마다 바뀐다"며 "새 변종이 독성이 ... ...
"獨, 코로나 이후 과학자들 더 존중 …자원 부족·고령화, R&D로 극복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4.04.21
만들어낼 수 있을 것이라는 점에서 두 국가의 협업에 대해 낙관적으로 평가하고 있다. 독
일
이든 한국이든 혼자 하는 것보단 함께 했을 때 더 많은 것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 ...
눈 깜박이는 이유 따로 있다…"새로운 시각 정보 생성"
동아사이언스
l
2024.04.21
깜박
일
때 눈꺼풀이 빨리 움직이면서 망막에 도달하는 빛의 패턴을 다양하게 바꿈으로써
일
어난다. 눈을 뜨고 특정 지점에 초점을 맞춰 볼 때와 비교해 뇌에 전혀 다른 종류의 시각 신호를 생성하기 때문이다. 이 신호가 눈으로 보는 장면의 전체적인 큰 그림을 인식하고 처리하는 데 도움을 준다. ... ...
가장 즐겨먹는 커피종 '아라비카' 기원 규명됐다
2024.04.21
다양성이 낮으며 해충과 질병에 취약하기 때문에 병원균이 적고 기후 조건이 맞는
일
부 지역에서만 재배될 수 있다. 유전적 다양성이 낮다는 것은 특정 병원균으로 완전히 멸종될 수 있다는 뜻이다. 연구팀은 아라비카 표준유전체로 아라비카 품종 중 하나인 티모르종이 질병에 대한 강한 ... ...
한 과학영재의 자체 발광 식물 연구
일
기
과학동아
l
2024.04.20
쉬운 편이라는 장점도 있습니다. 다만 밝기가 약하다는 게 단점이죠. 현재는 밝기를 높
일
수 있는 방법을 찾고 있습니다. 앞으로는 더 많은 식물에 제 연구를 적용하는 게 목표입니다. 각 식물이 원래 갖고 있던 특성을 활용하면 기존에 본 적 없던 새로운 발광식물도 만들 수 있을 거예요. 예를 ... ...
이전
707
708
709
710
711
712
713
714
7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