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수님
교사
가르치기
수업
교육
정교수
선생
d라이브러리
"
교수
"(으)로 총 8,276건 검색되었습니다.
1. 대도시에 지진이 일어난다면
과학동아
l
199604
양을 기준으로 설정된다. 규모를 설정하는 여러가지 방법 중 1935년 칼텍의 리히터
교수
가 제안한 기준(리히터규모 혹은 리히터등급)이 보편적으로 사용된다. 리히터규모는 정확성의 한계를 고려해 소수점 이하 한자리까지만 표시한다.그러나 리히터규모를 잘못 이해한 경우가 많다. 예를들어 규모 ... ...
'과학 싹 잔치' 뒷바라지 큰 보람
과학동아
l
199604
박사를 배출했다. 그러나 우리나라 초중고 과학교육이 뒤처짐을 생각하면 이 분야의
교수
로서 너무나 송구스럽고 안타깝다.1993년은 역사적인 '과학교육의 해' 였다. 이해 처음 시작된 학생과학탐구올림픽대회의 위원장직을 요청받고 참으로 당황했다. 국내외로 뛰어다니며 조사하고 운영비도 ... ...
미적분 누가 발견했나
과학동아
l
199604
때문에 몇몇 측근들만이 그 연구 내용을 알고 있었다. 이후 뉴턴은 26세의 젊은 나이에
교수
가 돼 자신의 아이디어를 체계화하는데 매진했다.뉴턴의 미적분법은 '유율법'(流率法 : method of fluxion)이라고 불린다. 그는 속도와 가속도의 개념을 나타내는 수학적 방법으로 유율법을 만들었다. 뉴턴은 액체 ... ...
무명청년과 대발명가의 승부
과학동아
l
199603
음향학 연구를 통해 전화와 '연결'될 수 있었다. 그는 에딘버러 대학의 발성학
교수
인 아버지의 영향으로 인간의 음성과 기능에 관심을 가졌다.벨은 언어 감각이 매우 뛰어났다. 벨이 한때 캐나다 모호크족의 언어를 배워 말을 유창하게 구사하자 추장이 그를 명예부족원으로 대접했다는 일화가 ... ...
최초의 농사꾼 잎꾼개미
과학동아
l
199603
주로 하버드 대학원에 입학한 84년 이후 5년 간. 중미 코스타리카에서 수행했다. 지도
교수
는 세계적으로 개미연구의 권위자로 인정받는 명망가였다. 필자는 이외에도 딱정벌레 벌 박쥐 등의 생태에 조예가 깊다.인류가 최초로 농사를 짓기 시작한 것은 지금부터 약 1만년 전이다. 이는 산업혁명과 ... ...
사라진 황새 천수만에서 발견
과학동아
l
199603
몰다 멈추는 일을 여러차례. 그러나 2백m 근방에 이르렀을 때 황새는 모두 날아갔다. 조
교수
는 "2월 중순까지 이곳에 머물 것"으로 전망했다.점심식사 후 부남호(B지구) 탐사가 시작됐다. 이곳은 간월호에 비해 수초가 많아 이를 먹이로 삼는 고니가 많이 관찰된다. 10여마리의 큰고니 무리가 ... ...
2. 인터넷 엑스포 운영위원장 전길남박사
과학동아
l
199603
TCP/IP의 TCP 부분을 만든 장본인)가 발의하고 우리나라 전길남 운영위원장(KAIST 전산과
교수
)의 '맞장구' 로 시작된 인터넷 엑스포는 미국과 아시아 유럽에서 각각 두명씩, 전체 6명이 실행위원회를 구성하면서 본격적으로 진행됐다.정보사회로의 본격적인 진입을 알리는 신호탄인 이 행사에 대해 전 ... ...
과학지식 보급의 전도사
과학동아
l
199603
쓴 교과서로 공부한 학생들을 만나고, 이제는 훌륭한 과학자가 된 30-40대의 젊은 학자와
교수
들로부터 예전에 필자가 저술한 교양과학서를 읽었다는 이야기를 듣기도 한다. 이러한 일로부터 필자는 보람을 느끼곤 한다.과학은 어렵고 골치아픈 학문이다. 그러나 생활 주변에서 일어나는 일들과 ... ...
연구 1년만에 발견, 그리고 1년 후에 노벨상
과학동아
l
199603
제임스 콜립에게 지시했다. 에드먼턴대학
교수
인 콜립은 당시 매클로드 실험실의 방문
교수
로 인슐린 주변 연구를 돕고 있었다. 콜립은 밴팅과 베스트가 만든 물-알콜 추출액에 몇배의 순수 알콜을 다시 가해 좀더 순수한 인슐린을 제조했다. 이 물질은 톰프슨에게 계속 주사됐고 그는 수년 후 ... ...
1. 1백명 여론조사 KAIST 학생들의 천태만상
과학동아
l
199602
자고 늦게 일어나는 경향은 학부생들이 더 강했다. 석박사 과정의 학생들은 아무래도
교수
들의 출근 시간을 의식하는 듯 늦게 자도 일찍 일어난다고.과학동아를 읽어본 사람은 1백명 응답자 중 83명이었다. 38명이 고등학교때 처음 과학동아를 접했고 22명이 중학교때, 국민학교때 접했다는 사람도 ... ...
이전
708
709
710
711
712
713
714
715
7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