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년"(으)로 총 23,218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삼엽충 시대 태양계에 무슨 일이?과학동아 l2017년 03호
- 빙하를 뚫어 얼음 속에 담긴 미소운석을 연구하기도 했지만 그 방식으로는 불과 수백만 년 이전의 상황만을 연구할 수 있었다”며 “지층을 연구하는 방식을 이용하면 더 오래전의 운석을 연구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연구팀은 소행성 띠에 대한 정보를 쌓으면 소행성 띠가 어떻게 진화했는지를 ... ...
- [Culture] 플레이 전략 3과학동아 l2017년 03호
- 데이터 생태학자인 탐 어거스트 박사도 “포켓몬고를 활용하면, 생태학자들이 지난 400년간 찾아 기록한 동물을 약 5.8일 만에 따라잡을 수 있다”며 “생물다양성을 보존하는 시민과학 연구에 활용하자”고 주장했다.재미있는 게임을 하면서 건강도 챙기고, 야생동물도 보존할 수 있다면 그야말로 ... ...
- [Career] 건강장수의 비밀, 초백세시대를 꿈꾸다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짧아진다는 학설도 기존 관점과 충돌하는 사례들이 속속 발견되고 있다. 수명이 2년인 쥐들은 텔로미어가 사람보다 10배 더 길다. 같은 쥐라도 야생종은 텔로미어 길이가 실험용 쥐보다 짧은데, 야생종 쥐가 오히려 실험용 쥐보다 오래산다. 박 교수는 “노화 분야의 남은 학설은 두 가지”라며 ... ...
- [Career] 꿈의 연구실에서 만든 꿈의 다이오드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지원하는 학부생 연구프로그램 과제로 채택돼 우수상까지 수상했다. 학부생, 그것도 1학년생이 연구실에서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것은 매우 드문 일이다. 박 교수는 “UNIST는 학부생들도 실험실에 들어가서 연구 활동을 경험할 수 있다”며 “오히려 학부생은 논문 실적을 내야 하는 압박이 적기 ... ...
- Part 2. 2017 구제역 전파 원인은?과학동아 l2017년 03호
- 고려대 약대 교수는 “친환경 복지 축산의 대표주자로 알려져 있는 영국에서도 2000년대 초반 구제역이 유행했다”며 “밀집 사육을 근본적인 원인으로 꼽기 어렵다”고 밝혔다. 밀집 사육으로 인해 농가 안에서 구제역이 빨리 퍼질 수는 있겠지만, 이로 인해 멀리 떨어져 있는 지역까지 빠른 속도로 ... ...
- [Future] 집 나간 국민생선이 돌아왔다! 명태의 귀환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수조식 양식과 해상 가두리 양식으로 동시에 명태를 키워낼 계획도 있다. 이대로라면 2020년에는 우리 식탁에 양식 명태가 올라오지 않을까 기대해본다 ... ...
- [Future] ‘마음의 창’을 열다과학동아 l2017년 03호
- 다른 시신경세포까지 영향을 준다. 영상이 흐릿하게 번져 보이게 된다는 뜻이다. 수십 년간의 생체공학자들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이 문제에 대한 뚜렷한 해결책은 아직 없다.Optogenetics최근에는 완전히 다른 방식을 시도하려는 움직임도 있다. 광유전학이다. 망막 시신경세포에 채널로돕신 단백질을 ... ...
- [Future] ‘잘 나가던’ 소프트로봇이 발목 잡힌 이유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자본금으로 시작한 엠파이어 로보틱스 사는 50만 달러(약 5억7000만 원)의 매출을 올리고 작년 봄 4년 만에 문을 닫았다. 이유는 ‘지속가능한 비즈니스를 찾지 못함’. 김정 KAIST 기계공학과 교수는 “시연 단계에서 다양한 크기의 휴대전화를 집을 수 있다는 걸 보였지만, 자동화 설비 가운데 이런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스타인버그의 추측수학동아 l2017년 03호
- 최적화가 주요 연구 분야입니다. 2012년에는 젊은과학자상(대통령상)을 수상했고, 2013년에는 한림선도과학자로 선정됐습니다. 반례를 찾은 주인공은 빈센트 코헨-아다드와 미카엘 헵디지, 다니엘 크랄, 첸타오 리, 에스테르반 살가도 이렇게 5명의 수학자입니다. 이들은 100개가 넘는 꼭짓점을 이용해 ... ...
- 영국의 중심에서 수학을 외치다!수학동아 l2017년 03호
- 중 하나로 꼽히고 있어요.Q 이전에도 수학갤러리가 있었나요?네, 수학갤러리는 1975년부터 있었어요. 그런데 인기가 없었죠. 수학에 관심이 많은 관람객들이 수학갤러리를 재단장해서 다시 문을 열어달라는 의견을 냈어요. 하지만 예산 문제로 계속 흐지부지됐지요.그러던 중 수학 대중화에 관심을 ... ...
이전7087097107117127137147157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