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시작"(으)로 총 14,05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독특한 곤충의 생애, 주기수학동아 l2010년 07호
- 암컷 428750마리, 전체 857500마리가 생겨 100만 마리에 근사한 값이 된다. 계산 결과 10마리로 시작해서는 15주 뒤에 100만 마리 나비를 공급하기 어렵기 때문에 처음 사육하는 나비 수를 좀 더 늘려야 한다. 이와 같이 나비의 생애 주기를 이용한 방정식을 번식이나 연구에 응용할 수 있다.주기함수의 대표, ... ...
- 백설공주가 만난 난쟁이는 왜 7명?수학동아 l2010년 07호
- 그 자리에 서서 쭉 훑어 보았다.백설공주는 일곱 살이 지나면서 왕비보다 아름다워지기 시작했다. 왕비의 시샘을 피해 달아난 백설공주는 일곱 개의 산을 넘어 난쟁이의 집에 도착했다. 난쟁이의 집에는 일곱 개의 의자와 일곱 개의 숟가락 등이 있었고, 피곤한 공주는 일곱 개의 침대를 붙인 자리에 ... ...
- 점과 선의 그림, 그래프의 발견수학동아 l2010년 07호
- 망가져서 어떤 영향을 주는지 알 수 있다.그래프이론은 다리를 건너는 문제에서 시작해 현대에는 전산망, 도로망, 인간관계, 사회조직, 생물유전자 관계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쓰이고 있다. 이처럼 수학은 복잡한 현상에서 중요한 것을 뽑아 단순화해 놀라운 결과를 이끌어 낸다. 점과 선으로 이뤄진 ... ...
- 지오의 나라수학동아 l2010년 07호
- 행사이니, 중요한 건 마음이지.”연월제는 ‘연월기의 설계도’를 제단에 올리는 것으로 시작되었다. 황산사가 연월기의 성공을 기원하는 기도를 올릴 땐, 야장들과 천복, 장도사도 제단에 엎드려 함께 기도했다. 지오도 간절한 마음으로 기도를 올렸다.‘해님, 달님, 별님! 부디 연월기가 성공하게 ... ...
- 작은바다 코르디움으로 풍덩~!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07호
- 챙겨가나요?”‘어린이과학동아’ 편집국으로부터 전화를 받은 우리는 마음이 들뜨기 시작했어. 여름도 아닌데 바다 속을 탐험한다는 거야. 바다 광물과 보석, 심해생물은 물론 이어도 해양과학기지까지 볼 수 있대. 게다가 우리가 이 바다에 들어가는 첫 번째 손님이라지 뭐야! 두근두근~. 친구들도 ... ...
- 대중교통 정복기수학동아 l2010년 07호
- 여행을 떠나고 싶다. 지도를 펴 놓고 가고 싶은 곳을 고르다가 구체적인 계획을 짜기 시작했다. 돈이 가장 문제인만큼 교통비부터 비교해 본다. 서울에서 대전까지 일반고속버스요금은 8700원, 광주는 16100원, 부산은 20900원이다. 이 복잡한 요금체계는 어떤기준으로 정해진 걸까?당연히 멀수록 요금은 ... ...
- 예능 프로그램 MC는 7명이 대세수학동아 l2010년 07호
- 초청해 7명으로 진행한다.예능의 고전에 해당하는 ‘무한도전’과 ‘1박2일’은 6명으로 시작했다. 2명씩 또는 3명씩 짝을 지어 팀끼리 경쟁하는 구도를 만드는데 좋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출연자의 상황이 바뀔 때는 7명도 무난히 소화하고 있다.7명이면 짝을 이루기보다 출연자 한 명 한 명의 역할이 ... ...
- 참이 되는 값을 찾는 식, 방정식수학동아 l2010년 07호
- aequalis(아이쿠알리스)에서 왔으며 원래는 천문학용어였으나 17세기에 수학에서도 쓰이기 시작했다.방정식을 참으로 만드는 어떤 값을 찾는다고 할 때 ‘값’을 뜻하는 영어 단어로는 value를 쓴다. value는 ‘가치 있는’이란 뜻의 고대 프랑스어 단어인 valoir(발루아)에서 왔다. 흔히 social value(사회적 ... ...
- 수학은 금융시장의 든든한 울타리수학동아 l2010년 07호
- 금융상품에 복잡한 수학 문제가 숨어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면서 본격적인 금융수학이 시작됐다고 할 수 있습니다.복잡한 파생상품을 거래할 때 위험은 얼마나 되는지, 어느 정도를 거래해야 하는지, 현재의 가치가 얼마나 되는지 등 알고 싶은 것이 많을 때마다 수학은 답을 제공해 준답니다. 수학이 ... ...
- 법학과 수학의 교집합은 논리학수학동아 l2010년 07호
- 사용해 명제를 연구하면 수리논리학이라고 해요. 수리논리학은 라이프니츠가 연구를 시작했어요. 드 모르간과 불이 기초를 세웠고 프레게가 체계를 완성했어요. 수학에서 사용하는 ⊃,∃,∧,∨,∀ 등의 기호는 페아노, 러셀, 힐베르트가 만들었어요.이런 수리논리학을 법에 적용한 학문이 앞에서 ... ...
이전7087097107117127137147157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