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
구
뽈
교회 점토
보울
빰
ball
d라이브러리
"
볼
"(으)로 총 8,409건 검색되었습니다.
잘못 알고 있는 「코피상식」많다
과학동아
l
199104
당연한 일이다.또 코점막에 바세린을 하루에 두번씩 발라주면 코피재발 방지 효과를
볼
수 있다. 솜이나 손가락끝에 소량의 바세린을 묻혀 양쪽 코 바로 안쪽에 넣은 뒤 코끝을 부드럽게 마사지해 주면 바세린을 퍼지게 할 수 있다. 바세린은 코점막을 축축하게 하므로 혈관이 터지는 것을 막아준다. ... ...
납자루가 말조개에 알을 낳는 이유
과학동아
l
199104
부착에 대한 방어력이 생겼기 때문으로 본다. 일단 붙었다가도 곧 떨어지고마는 것을
볼
수 있다.물고기중 일부는 패류속에 알을 낳아(패류가 부화기 역할을 함) 종족을 보호, 번식시키는가 하면, 반대 급부로 패류의 일부는 유생을 물고기에 붙여 일정기간 양분을 얻어 변태하고 먼곳까지 ... ...
음식으로 공해를 씻어낸다
과학동아
l
199104
있다. 또 쑥을 항상 섞어 먹음으로써 위장이 튼튼해졌다는 사람이 허다하다.이런 예로
볼
때 대기나 수질 토양 등의 오염으로 신체의 여러 기능이 저하되었을 때 쑥을 먹으면 반드시 효험이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무엇보다 위장기능을 개선시켜 공해피해를 극복하게 하는 간접효과만은 널리 ... ...
외계에서 날아온 반중력 우주선?
과학동아
l
199104
차 바깥으로 나온 바니 힐은 쌍안경으로 UFO의 옆면을 통해 원반속을 자세히
볼
수 있었다. 거기에는 빛나는 검은색 유니폼에 부리같은 것이 달린 모자를 쓴 대여섯명의 휴머노이드(humanoid)들이 보였다. 바니 힐은 커다란 충격을 받았다. 그의 머리속에는이 휴머노이드들이 마치 군사 훈련을 받고 ... ...
3 매킨토시 제품의 계보 애플신화는 재현되고 있는가?
과학동아
l
199104
중으로 이 포터블의 단점을 보완한 랩톱컴퓨터가 애플에서 나온다고 하니 일단 기대해
볼
만하다. 맥 트리오의 팡파르그동안 매킨토시에 접근하기 가장 어려웠던 장애물은 가격이었다. 그런데 지난해 10월 15일을 기점으로 이 가격의 장벽이 허물어졌다. 매킨토시 클래식, 매킨토시 LC, 매킨토시 Ⅱsi, ... ...
수수께끼의 과학자가 만든 19세기 서울지도
과학동아
l
199104
그의 신분을 엿보게 하는 자료도 거의 없는 형편이다. 단지 몇가지 문헌을 통해 유추해
볼
도리밖에 없다. 김정호가 평민출신이었음을 보여주는 자료는 이향견문록과 대동방여도 서문. 전자의 책은 하류층의 글을 싣고 있으므로 이 책에 수록돼 있다는 것 자체가 그의 신분을 엿보게 한다. 또 신헌의 ... ...
빛의 굴절
과학동아
l
199104
은하들이 태초에 어떠한 과정을 거쳐 만들어졌나이다.)우주의 모든 질량이 우리가
볼
수 있는 물체의 형태로 존재하지만은 않는다고 생각하는데는 이유가 있다. 우리가 모든 은하들속에 있는 천체들의 질량을 합산해보아도 그 결과는 중력효과를 불러일으키기에 충분한 질량이 되지 못하기 ... ...
전자전의 첨병 군사위성
과학동아
l
199103
두드리며 큰소리쳤다.소련은 실제로 단순한 제스처에 그치지않고 위성폭탄이라고
볼
수 있는 무기를 개발해 1966년부터 1971년 사이에 18번이나 실험했다. 이 위성폭탄은 고도 1백60㎞의 궤도비행을 하다가 역추진로켓으로 감속한 뒤 대기권에 재진입하면서 핵탄두(이들 실험에서 실제 핵탄두는 ... ...
화성(Mars)
과학동아
l
199103
polar cap)화성의 양극어서
볼
수 있는 희고 빛나는 부분. 지구와는 달리 양극에서 동시에
볼
수 없다는 것이 특징이다. 겨울에 형성된 극관은 이른 봄에 가장 커지며(위도 60°~70°까지 번짐) 늦여름에 완전히 없어진다. 극관의 성분은 얼음이 주성분이며, 이산화탄소가 언 드라이아이스가 극관의 외각을 ... ...
혜성·신성·변광성을 관찰해보자
과학동아
l
199103
적은 쌍안경으로도 충분히 관측할 수 있다. 그러나 극소 광도시에는 6인치 망원경으로도
볼
수 없을 것이다. 잘 알려진 고래자리 미라(Mira)는 4등급에서 9등급까지 변하는데 거의 1년의 주기를 가진다. 그러나 천문학자들은 이 별이 매번의 최대광도가 다르기 때문에 정확한 최대광도는 알지 못하고 ... ...
이전
709
710
711
712
713
714
715
716
7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