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gauge
d라이브러리
"
게
"(으)로 총 7,754건 검색되었습니다.
91년 국내 화제의 발명품 총집합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좋은 특허만 있으면 담보없이도 시설자금 3억원과 운영자금 1억원을 융자받을 수 있
게
돼 있다.이밖에도 각종 지원사업이 발명가를 기다리고 있다. 더 자세한 문의가 필요한 사람은 한국발명특허협회 발명지원부에 연락하면 된다. 전화번호는 (02)568-8267, (02)551-5571~2이다.우리 모두 발명가가 되자. 그 ... ...
2000년대 여는 미래 상품들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화면을 좀더 부드러운 색조로 하고, 미스테리 극이면 어둡
게
, 스포츠 프로면 좀 더 밝
게
할 수 있다.하이터치 TV는 이 밖에도 컴퓨터화된 기능을 갖고 있다. 전화전호와 크리스마스 카드를 보낼 주소를 기억하고 있기도 하다. 생일이 되면 이 TV는 재주를 부린다. 생일아침에 눈을 뜨면 TV화면에 나의 ... ...
3. 핵실험 무엇이 문제인가?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1백 ㎞지점에 있더라도 그곳에서 오랫동안 노출돼 있으면 치명적인 방사선량을 쏘이
게
된다. 이 영향은 무려 1천㎞까지 확산된다. 과거 중국에서 대기권 핵실험을 실시했을 때 편서풍을 타고 한국 및 일본에까지 방사능이 날아온 적이 많았다.마지막으로 전자기장(EMP, Electric Magnetic Pulse)의 영향을 들 ... ...
프로그래밍언어의 행진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미국 대학에서 거의 완벽히 포트란을 밀어내고 교육용언어로서 확고부동한 자리를 잡
게
됐다.그레이스 호퍼여사의 표현대로 알골은 기절할 정도의 절묘한 구조의 아름다움이 있지만, 아무도 쳐다보지 않아 좀 쓸쓸할 따름이었다. 쓸쓸한 아름다움, 이는 알골의 운명이었다. 입출력도 제대로 없는 ... ...
대덕시대 개막으로 재웅비 꿈꾸는 스무살 KAIST 고뇌와 도전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정부지원이라는 온실에서 벗어나 '홀로서기'를 준비하고 있는 KAIST인들의 복안은 무엇인가?무르익은 가을햇살이 한껏 쏟아지던 지난 10월의 두번째 토요일(12일), 대덕연구단지안의 ... 지원 할 수 있도록 실력으로 대외경쟁력을 쌓아나 가는 일이 오늘의 젊은 KAIST인들에
게
부여된 몫이다 ... ...
(1) 2차원 평면에 살아움직이는 실물이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기록되어지는 원리를 이해할 수 있다. 간섭무늬가 정확히 사진건판 위에 기록될 수 있
게
하려면 사용되는 광파가 규칙적이고 일정한 빛을 사용해야만 한다. 그 성질을 가진 빛이 레이저 광선이다. 인공적으로 직진성이 좋은 단일한 파장을 생성해내는 제3의 빛이 레이저인 셈이다 ... ...
1. 핵무기와 원자로 어떻
게
다른가?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아니다. 이를 얼마나 더 안전하
게
유지하며 관리할 것인가는 우리와 우리의 후손들이
게
속해서 연구해야 할 과제다. 탱크를 녹여 쟁기를 만들듯이 핵무기를 재처리해서 핵연료를 만드는 지혜로 진정한 의미의 탈핵시대를 맞아야 할 ... ...
학부과정은 폭넓은 기초지식 쌓는 장(場)이 돼야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함께 자신의 전공이 결정되는 것은 시대에 역행하고 있다는 느낌이 든다. 더군다나 이렇
게
결정된 전공이 평생토록 꼬리표로 붙어 따라다니는 우리 현실에서는 더욱 그렇다 ... ...
멸종 위기에 놓인 거대참치 블루핀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수산업자들의 주장에 동조하는 의원들도 일부는 있다. 그러나 이 거대한 물고기가 사라지
게
해서는 안된다는데는 어느 누구도 이의를 제기하지 않는다."우리가 그래도 무언가 규제를 할 수 있을 때 할 수 있는 일을 해야한다. 멸종될 때까지 기다리고 앉아있을 수는 없는 일이다." 몬타크 항의 ... ...
마차를 발명해낸 절름발이 왕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템펠-튜틀 혜성이 태양계 내부로 들어와 지구가 이 혜성 먼지의 밀한 부분과 맞부딪치
게
될 때는 멋진 별똥별의 폭풍우가 나타난다. 가장 가까운 예가 1966년 미국에서 관측된 것인데 이때 유성이 비처럼 하늘에서 쏟아져 내렸다고 한다. 1분에 1천개 이상이 관측되기도 했다. 이 혜성이 돌아오는 199 ... ...
이전
709
710
711
712
713
714
715
716
7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