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외양간
우사
울타리
담장
담
가축 우리
닭장
d라이브러리
"
우리
"(으)로 총 11,111건 검색되었습니다.
우리
별3호, 강원도 산불지역 촬영
과학동아
l
200005
바탕으로 독자설계로 개발된 최초의
우리
나라 고유의 위성모델로 지난해 5월 발사됐다.
우리
별3호는 지구 밖 7백30km지점에서 하루에 14번 정도 지구를 돌면서 각종 지구관측과 우주과학실험을 수행하고 있다 ... ...
동물의 아비사랑
과학동아
l
200005
것이다.해룡은 오스트레일리아 동부 해안에만 사는 특산종인 실고기과(科) 물고기다.
우리
나라에도 이 과에 속하는 생태가 꽤 유사한 해마와 실고기가 살고 있다.해룡의 몸은 온통 고리 모양의 딱딱한 비늘로 덮여 있으며, 주둥이가 관(pipe) 모양이라 영어로 ‘pipe fish’라고 불린다. 이빨이 없어서 ... ...
측우기·수표·풍기죽
과학동아
l
200005
비가 온다 등 거의 셀 수 없을 정도로 많은 경험법칙들이 있다. 하지만 이런 바탕에는
우리
조상들의 기상을 측정하고 통계를 내서 경험을 과학화하려고 했던 과학적 사고방식이 자리하고 있다는 것을 기억해야 할 것이다 ... ...
미래의 화폐 사이버 머니
과학동아
l
200005
2002년 5월 월드컵 경기가 열리는 서울. 홍길동은 가벼운 마음으로 가족들과 함께 한국과 브라질이 맞붙은 준결승 경기를 보러 나섰다. 16강에만 진출해도 충분할 것이라는 ... 네모난 카드 하나 달랑 들고 다니면서 마음껏 쇼핑하고, 생활할 수 있는 그런 시대가 이미
우리
앞에 열려 있다 ... ...
2. 별 여행을 실현시킬 미래의 추진기술
과학동아
l
200004
안전하게 생존시킬 수 있다면, 이들은 지구로 돌아와 그들이 보고 느꼈던 것을
우리
에게 들려줄 수도 있을 것이다.지난 해 12월 화성극지착륙선 마르스 폴라 랜더의 실종사건에서 보듯 인류는 아직 태양계 안도 자유롭게 비행하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21세기에도 인간은 계속해서 자신의 영역을 ... ...
소를 사랑한 복제의 마이다스 손
과학동아
l
200004
이제 복제는
우리
의 문제가 됐다.복제소들의 산파역을 맡은 황우석교수(48)덕분이다.현재
우리
의 복제 기술은 세계적으로도 인정받고 있다.그런데 놀라운 점은 기 기술이란 것이 외국에서 보고 배워 온 것이 아니라 자체적으로 개발된 기술이란 점이다.황우석 교수 표현에 따르면 복제는 화성과 ... ...
남십자성과 에타카리나 성운
과학동아
l
200004
걸린다.이 은하들은 10월 밤에 다시 가장 높이 남중하게 될 것이다.새벽이 가까워 오면서
우리
에게 친숙한 전갈자리와 궁수자리가 천정으로 올라오면 은하수는 동서로 길게 온 하늘을 가로지르는 장관을 펼쳐 보이기 시작한다.그러나 서서히 동이 트며 별들이 사라지고 아쉬움 속에 카메라와 ... ...
클린턴 '인간게놈 무상공개' 발언의 의미
과학동아
l
200004
되지 않겠느냐”며 낙관적인 반응을 보였다. 인간게놈프로젝트의 자료가 모두 공개되면
우리
는 공짜로 그 정보를 마음껏 사용하는 ‘어부지리’(漁父之利)를 얻을 수 있다는 생각이다. 하지만 과연 그럴까.인간게놈프로젝트는 단지 인체 설계도의 ‘초안’을 작성하는데 불과하다. 인간의 유전자에 ... ...
화폐에 등장하는 과학자
과학동아
l
200004
21세기에는 과학자가 화폐에 많이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새로운 경제환경에 맞게
우리
나라도 화폐의 액면체계와 도안의 변경이 필요해지고 있다. 과학의 중요성을 생각한다면 한국 화폐 속에도 과학자 한명쯤은 등장해야 하지 않을까. 새 화폐에 추천하고픈 과학자를 생각해보는 것도 좋을 것 같다 ... ...
별똥별을 온몸으로 맞은 21세기 어린왕자
과학동아
l
200004
6백명은 더 필요하다는 게 이교수의 생각이다.이영욱 교수는 오메가 성단이 1백억년 전
우리
은하와 충돌한 작은 은하라는 사실을 밝혀내고 세계적으로 주목받았다. 하지만 그는 그 결과에 자만하지 않는다. 앞으로 해야할 일이 너무나 많기 때문이다. 이교수는 연구자의 기본 정신인 창의성에 대해 ... ...
이전
710
711
712
713
714
715
716
717
7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