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본인
자신
자기
자아
내
d라이브러리
"
나
"(으)로 총 8,153건 검색되었습니다.
역대 대통령 과학성적
과학동아
l
1994년 06호
그렇게 대단한 사람으로 생각하지 않았다. 박대통령은
나
의 말을 95%이상 들어주었지만
나
는 그의 말을 90%이상 받아주지 않았다"고 회상한다. 과학자를 존중하는 대통령과 대통령 앞에서도 소신을 굽히지 않는 과학자가 필요한 시점에 매우 의미심장한 말이 아닐 수 없다. 과학기술사령관인 ... ...
1. 지구질량 318배, 수소·헬륨의 가스행성
과학동아
l
1994년 06호
이오에서 생성되는 플라스마와는 직접 연관되지 않는다는 가설도 제기됐다. 그러
나
최근 허블망원경으로 자외선 오로라를 관측한 결과 적외선 오로라와 비슷한 위치를 보였다. 앞으로 오로라 화상들을 면밀히 비교 검토한다면 오로라 위치와 생성기원 문제가 풀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
목성·혜성충돌, 지름 3천㎞ 버섯구름의 대장관
과학동아
l
1994년 05호
현상들을 예견하는데 유용하게 쓰일 것 "이라며 "이 자료는 6천5백만년전 소행성이
나
혜성이 지구와 충돌해 공룡을 멸종시킨 충돌과정을 보다 정확하게 알아내는데 쓰여질 것"이라고 말했다 ... ...
미남·미녀기준 서구형으로 대변신
과학동아
l
1994년 05호
얼굴이 어떻게 변하더라도 정서적으로 관계없다는 점에서 매우 바람직하다. 그러
나
이는 이미 노출돼 버린 국제화 시대에서 한국인이 얼굴 외적인 데서 자신을 가져야 되고 다른 민족들로부터 그 우월성을 인정받아야만 가능하다는 점에서 쉽게 달성될 일이 아니다.최근 한국인이 경제면에서 어느 ... ...
참
나
무의 매력에 빠져 속리산을 오르며…
과학동아
l
1994년 05호
우리
나
라는 고려조 후기부터 몽골의 압력으로 소
나
무를 많이 심었다. 그것이 오늘날까지 계속 영향을 미쳐 소
나
무는 어디를 가
나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나
무가 됐다. ... 산과 들에 있는 참
나
무에는 도토리를 따기 위해 휘두른 떡메 자국이 줄기의 아랫부분에
나
있는 것을 ...
생물 - 마이크로 세계 신비에 도전, 전자현미경
과학동아
l
1994년 05호
구하여 계산방의 체적에 따라 1mL 중의 총균수를 구하게 된다.이 때의 전제 조건은 효모
나
세균이 배양액 속에 고르게 분포되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위 문제의 정답은 ④번이 된다.계수 때의 현미경 배율도 가능하면 낮게 한다.효모의 경우는 3백-4백배, 세균의 경우는 6백-8백배 정도로 ... ...
바다 온도 음파측정 돌연 중단
과학동아
l
1994년 05호
상원위원들의 날카로운 질문 등이 이어졌다. 이들은 결국 계획의 실시시기를 5월이
나
6월로 미룬 채 캘리포니아에서 1회, 하와이에서 2회 등 3번의 대중 공청회를 잡아놓고 있다.스크립스의 과학자들은 이 과정에 정치적 색채가 가미돼 계획 자체가 무산되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다.이 논쟁이 어떻게 ... ...
물리 - 만약 세상에 마찰이 없다면…
과학동아
l
1994년 05호
모든 물체의 온도는 적어도 영하 2백73℃ 보다는 높으므로 가만히 있는 분자
나
원자는 하
나
도 없다. 이렇게 꾸준히 입자들이 운동할 수 있는 것도 결국은 마찰이 없는 세계에 존재하기 때문이다.뉴턴의 운동법칙은 마찰이 없는 세계를 가정했을 때에만 성립하는 것이므로 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 ...
자동수질측정시스템
과학동아
l
1994년 04호
분야에 응용되고 있는데, 사람이 직접 접근하기 어려운 심해의 연속 관측에 이용되거
나
선박에 자동분석장치를 장착해 운항하면서 수질을 연속 측정하는 데 사용되고 있다.1988년 미국 바텔 해양연구소는 환경청과 공동으로 선박 탑재 연속측정 장치의 시제품을 제작해 해양오염 조사에 사용했다. ... ...
왜, 모든 원소들은 주기성을 갖는가
과학동아
l
1994년 04호
알 수 있으며 족으로부터는 마지막 껍질의 전자수를 알 수 있다. 마그네슘이 금속성을
나
타내는 것은 마지막 껍질의 전자 2개를 잃어 +2가의 양이온으로 되려는 경향 때문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모든 원소의 전자배치를 주기율표의 위치로부터 알 수 있고 전자배치로부터 그 원소의 성질을 설명할 수 ... ...
이전
710
711
712
713
714
715
716
717
7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