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과
결말
소산
효과
결실
결론
영향
스페셜
"
결과
"(으)로 총 7,208건 검색되었습니다.
약도 재활용한다고? 괜찮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것이다. 비만이 되면 간과 지방조직이 정도는 약하지만 만성인 염증 상태가 되게 하고 그
결과
세포가 호르몬의 조절작용을 잘 따르지 않게 돼 증상이 악화된다. 연구자들은 논문에서 “암렉사녹스는 오래 사용된 비교적 안전한 약물”이라며 “비만과 당뇨 치료제로 재활용될 좋은 기회”라고 ... ...
엄마도 모르는 모유의 진실, 알고보니 ‘헉’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어려운 가정의 경우 아들인 경우는 2.3%, 딸인 경우는 2.6%로 오히려 역전이 됐다. 이 연구
결과
는 부유한 집안의 딸일 경우 모유의 유지방 함량이 너무 낮은 걸 제대로 설명하지 못했지만 아무튼 전체적인 패턴은 트리버스-윌라드 가설을 따르고 있다. 엄마가 의도적으로 모유의 성분을 조절할 수는 ... ...
러시아 유성체 폭발 위력이 히로시마 원폭의 30배?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한다. 실제로 한 이웃집에서는 은식기가 녹아내렸다고 한다. 훗날 과학자들이 조사한
결과
놀랍게도 이 폭발이 세메노프의 집에서 거의 60km나 떨어진 곳에서 일어났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역시 농부인 바실리 일리치는 거대한 화염이 숲과 함께 순록을 비롯한 모든 동물을 재로 만들었다고 진술했다. ... ...
E=mc² 아인슈타인만의 것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늘어난다고 제안했고 뒤이어 막스 아브라함은 이 아이디어를 가다듬어 m=(4/3)E₀c²이라는
결과
를 얻었다. 즉 움직이는 전자는 자신의 전기장 에너지 E₀의 영향으로 질량이 m만큼 늘어난다는 것. 이런 상황에서 하젠욀은 생각의 지평을 넓혀 당시 널리 연구되고 있던 흑체복사(blackbody radiation) 역시 ... ...
칼 우즈, 생물학의 뿌리를 뒤흔든 아웃사이더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이에 깜짝 놀란 우즈 교수는 메탄생성 박테리아에 대한 연구논문을 뒤지기 시작했고, 그
결과
이들이 독특한 특성을 지니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한다. 즉 모든 박테리아의 세포벽에 존재한다고 알고 있던 펩티도글리칸이란 분자가 메탄생성 박테리아의 세포벽에는 없었고, 메탄을 생성하는데 ... ...
DNA 정보 저장 왜 3진수로 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해독했는데 그
결과
현생인류와 99.84%가 동일했다(서로 상응하는 위치만 비교했을 때)는
결과
를 얻었다. 수만 년이 지났어도 정보를 고스란히 보존하고 있는 DNA의 저장매체로의 우수성을 단적으로 보여준 사례다. 게다가 DNA정보는 시스템이 안 맞거나 버전이 틀려 데이터를 꺼내보지 못할 걱정이 ... ...
장내미생물 관리 잘 해야 남성호르몬 이상없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부른다) 발병률에 남녀차이가 없다. ‘네이처’ 1월 3일자에는 2013년에 결정적인 연구
결과
가 나올 분야들을 예측한 기사가 실렸는데 그 가운데 하나가 장내미생물상에 대한 음식의 영향과 그로 인한 질병 위험성에 대한 규명이다. 모르면 몰라도 앞으로 10년 쯤 지나면 “그 병이 장내미생물과 무슨 ... ...
독감 걸리는 사람 완전히 사라지는 날 올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가지 밝혀진 것. 즉 독감에 걸렸던 사람 가운데 소수는 이런 형태의 항체를 형성했고 그
결과
독감에 대해 평생 면역이나 적어도 다양한 유형에 대한 면역력을 갖게 됐을 거라는 말이다. 독자 가운데도 그런 행운아가 있을지 모른다. 그런데 문제는 백신을 써서 우리 몸이 이런 항체를 형성하도록 ... ...
온실가스 배출 줄일 수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유발하는 기후변동으로 인한 파국을 막기 위해 지난 15년 동안 진행해온 1차 시도는
결과
적으로 실패로 끝났고, 지구촌은 그 증거라도 되는 듯 북반구는 혹한과 폭설에, 남반구는 혹서와 가뭄에 시달리고 있다. 2차 시도를 서둘러, 그것도 제대로 진행하지 못한다면 지금의 기후변동은 시작에 불과한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③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자외선이 지구로 들어와 생명체에 치명적인 손상을 입힐 수 있다. 롤런드와 몰리나는 이
결과
를 담은 논문을 1974년 ‘네이처’에 내고 언론에도 알려 위험성을 경고했다. 산업계의 입김으로 여기저기서 터무니없는 소리라는 반박이 이어졌지만 후속 연구를 통해 오존 파괴 메커니즘을 정교하게 ... ...
이전
710
711
712
713
714
715
716
717
7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