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즉석
곧
즉시
당장에
직접
꼭
varo
d라이브러리
"
바로
"(으)로 총 11,958건 검색되었습니다.
에이즈 치료하는 알약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최대 해상도는 1024×1024까지 가능하다 터치 스크린용 펜으로 화면 아이콘을 클릭하면
바로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으며, 문자입력 프로그램을 이용해 마치 종이에 글을 쓰듯 입력할 수 있다 키보드를 연결하면 노트북 PC처럼 사용할 수도 있다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서는 ... ...
PART2 암 잡는 나노메디신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돌아다닐 수 있는 장점이 있다.마이셀과 리포솜이 어떻게 암세포만 공격할까. 해답은
바로
암조직과 정상적인 조직의 주변 환경이 다르다는데 있다. 환자 몸 안 어딘가에 암조직이 자란다고 가정하자. 암조직은 정상적인 조직보다 왕성하게 자라므로 많은 산소와 영양분을 필요로 한다.암조직이 ... ...
반짝이는 별 한 번 사볼까?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같은 경우다.비록 널리 알려져 있지는 않지만 우리나라 과학자의 이름이 붙은 별도 있다.
바로
‘원철성’(源喆星)이라는 이름이 붙은 독수리자리의 에타별이다. 우리나라 최초의 이학박사인 이원철 박사가 이 별이 주기적으로 수축과 팽창을 반복하며 밝기가 변하는 맥동변광성이라는 사실을 밝혀 ... ...
원자세계 직소퍼즐 주기율표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조각의 성질을 예측하는 통찰력을 보였다. 그는 주기율표에서 알루미늄(Al)과 규소(Si)
바로
아래 들어갈 원소가 곧 발견될 것으로 보고 각각‘에카알루미늄’과‘에카규소’라는 이름을 붙였다.특히 그는 에카알루미늄의 밀도를 5.9~6.0으로 예상했는데, 1875년 발견된 이 원소의 밀도는 5.96이었다. ... ...
태양망원경, 해를 보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5호
태양망원경은 해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한국천문연구원도 30년이 넘도록 태양망원경으로 해를 관측해 왔습니다. 사진에 있는 망원경은 원래 소백산 ... 이용합니다. 해의 표면에는 자기력선이 모여서 작은 자석처럼 보이는 곳이 많은데 이 부분이
바로
흑점 부근이랍니다 ... ...
다섯번째 우주여행객은 억만장자 프로그래머
과학동아
l
2007년 05호
스트리밍 기술은 인터넷의 성장과 함께 더욱더 중요해지고 있는데, 그 이유는 사용자가
바로
다운로드할 수 없을 정도로 멀티미디어 파일이 대용량이기 때문이다 스트리밍 기술을 이용하면 파일이 모두 전송되기 전에라도 사용자의 브라우저 또는 플러그인이 데이터를 구현해준다일반적으로 ... ...
5. 대한민국 쿨한 알파우먼 5
과학동아
l
2007년 05호
있는 주인 없는 수많은 진주와 같다. 진리를 볼 수 있는 열정과 집념을 갖은 사람이
바로
주인”이라는 점을 되뇌면서 말이다.P r o f i l e1982 이화여대 수학과 졸업1986 미국 템플대 정수론 박사1988~1990 미국 메릴랜드대, 콜로라도대 조교수1990~현재 포스텍 수학과 교수2004 포스텍 ‘권경환 석좌교수’로 ... ...
여인의 초상
과학동아
l
2007년 05호
퇴화가 진행되면서 인격 장애와 행동 장애 그리고 기억장애가 생긴다고 하오. 내가
바로
그 픽 병에 걸렸소.”픽 병에 걸린 환자가 자신의 병을 설명하는 것도 어색한데, 차분하고 낮은 목소리는 이 상황 전체를 연극적인 분위기로 몰았다. 나는 감 박사를 보며 확인하듯 물었다. “확실한가요?” 감 ... ...
우등생 비결은 잠자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5호
잠을 많이 자야 머리가 좋아진대요. 카이스트 바이오시스템학과 유승식 교수는 최근“잠이 부족하면 뇌가 기억을 잘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어요.이런 사실을 어 ... 요즘 초등학생들은 학원도 많이 다니느라 잠이 부족하죠? 하지만 공부에 가장 중 요한 것은
바로
잠이랍니다 ... ...
우주에 거대한 눈이 나타났어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5호
우리가 못 보는 적외선을 볼 수 있어요. 즉 나선성운에서 나오는 적외선을 찍은 게
바로
이 사진이에요. 성운은 우주 공간에서 먼지나 가스 등이 많이 모여 있는 곳이에요. 사진에서 푸른빛을 띠는 바깥쪽 부분과 가운데 빨간 부분은 별이 폭발하면서 생긴 가스예요. 두 부분은 온도가 많이 달라 서로 ... ...
이전
711
712
713
714
715
716
717
718
7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