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극치
비정상
전형
꿈
포부
미래상
희망
d라이브러리
"
이상
"(으)로 총 13,389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2 유니버설 백신 디자인을 향해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재료로 이용한다.살렘 교수팀이 쥐에 유니버설 M2e백신을 주사하자 호흡기관에서 더
이상
바이러스 복제가 일어나지 않았다. 예방 효과가 나타난 것이다. 살렘 교수는 “M2e단백질은 바이러스가 생명을 유지하는데 필수적이기 때문에 유전적 변이가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며 “일단 M2e항체가 생기면 ... ...
부작용은 신의 선물?!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또 쥐나 토끼 같은 동물뿐 아니라 인간에게 시험해 안정성을 확보하려면 최소 10년
이상
이 걸린다.‘원 소스’ ‘멀티 유즈’이 때문에 제약회사는 돈과 시간을 아끼기 위해 시장에 나와 있는 약에서 새로운 약효를 찾으려고 노력한다. 일종의 ‘재활용’이자 ‘원 소스’로 ‘멀티 유즈’를 하는 ... ...
물고기자리 춘분점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가까이에 밝은 별이 있으면 좋겠지만 춘분점의 배경이 되는 물고기자리에는 4등급
이상
의 별이 하나도 없을 만큼 한적하기 때문이다.그럼에도 불구하고 고대 바빌로니아인들은 기원전 2000년쯤 이미 춘분점의 위치뿐만 아니라 태양이 지나가는 길인 황도도 정확히 파악했다. 그들은 춘분점이 있는 ... ...
두얼굴의여친 다중인격장애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해 환자 스스로 자신의 행동을 조절하게끔 도와줘야 한다. 특히 다중인격장애 환자의 80%
이상
은 어린 시절에 대한 기억이 없는데, 아동기의 정신적인 외상을 기억하는 하위 인격을 찾는 일이 중요하다. 약물 치료는 대개 효과가 없다 ... ...
게놈 속에 게놈 있다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해당하는 영역을 발견했다고 ‘사이언스’ 8월 30일자 온라인판에 발표했다. 곤충의 20%
이상
에서 볼 수 있을 정도로 감염력이 큰 불바키아 박테리아는 숙주의 고환이나 난소에 살면서 숙주의 생태를 교란한다.불바키아 박테리아 게놈은 100만개의 DNA 염기쌍으로 이뤄져 있는데, 열대성 초파리의 ... ...
일본의 셀레네 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꽃눈 형성이 달라지는 현상벼 코스모스 담배 국화 등과 같이 꽃눈 형성을 위해 일정 시간
이상
으로 밤이 길어야 하는 식물어떤 물건의 안이나 밖을 다른 물건으로 덧바르거나 붙이는 등으로 피복해서 표면을 보호하는 일 또는 자동차의 제동장치에서 바퀴와 함께 회전하는 철제 드럼 안쪽에 ... ...
빙산은 이산화탄소 킬러?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흘러나온 미네랄은 식물플랑크톤의 먹이가 된다. 크기가 20μm(마이크로미터, 1μm=10-6m)
이상
인 식물플랑크톤은 대부분 돌말(규조)류로 밝혀졌다. 연구팀의 조사결과 돌말류는 빙산 근처 바다에서 깊이 8~60m에 서식했다.무인잠수정과 비디오카메라는 빙산 근처 바닷속을 조사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 ...
PART1 백신이 여는 질병 치료 르네상스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생기면 일단 백혈구와 NK세포(natural killer cell)가 암세포를 공격한다. 이 둘은 인체에
이상
한 세포가 들어오면 무조건 공격하는 1차 방어선이다. 그런데 암세포가 늘어 이 둘이 감당할 수 없게 되면서부터가 문제다. 면역계는 암이 고유세포이기 때문에 스스로 암 항원에 대항하는 항체를 만들지 ... ...
시력 9.0의 진실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사물의 원근에 따라 주변 근육을 움직이며 두께를 조절해 초점을 맞춘다. 이 굴절력에
이상
이 생기면 근시나 원시, 난시가 생기며 시력이 나빠진다.근시의 대부분은 몸이 성장하며 안구의 길이도 함께 길어질 때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다. 그래서 근시를 학교에 입학할 때쯤 생기기 시작해 학교를 ... ...
나노부터 우주까지 빛으로 길이 잰다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이전해 해마다 매출액의 2.5%를 기술료로 지급받고 있다.“앞으로의 계획이요? ${10}^{-12}$
이상
의 불확도에 도전하는 연구를 새로 시작했습니다. 측정대상은 바로 우주입니다.”수백km에 이르는 인공위성 사이의 거리를 수십 나노미터 수준까지 정밀하게 측정하면 GPS(위성위치확인시스템)의 정확도도 ... ...
이전
712
713
714
715
716
717
718
719
7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