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대회
학식
국제올림픽위원회
국제
올림픽
위원회
뉴스
"
학술
"(으)로 총 14,825건 검색되었습니다.
"기후위기 대응하려면 기업들 우주 투자 불가피" 스페이스캐피탈-실리콘밸리은행 보고서
동아사이언스
l
2021.08.05
연간 탄소 배출량이 실제보다 약 55억t 적을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 결과를 국제
학술
지 ‘네이처 기후변화’에 공개했다. 통계에서 사라진 55억t은 미국이 한 해 배출하는 양에 가까운 것이다. 연구팀은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표준화된 탄소배출 분석법 없이 저마다 다양한 분석법을 사용하면서 ... ...
여성 폐경 늦추는 유전자 변이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8.05
이 결과를 동아시아계 여성 8만명의 유전자 정보와 대조해 검증했다.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
지 ‘네이처’ 4일자(현지시간)에 게재됐다. 여성은 태어날 때부터 난소에서 난자를 만들어내는 난모세포를 갖고 있다. 보통 100만개 가량 갖고 태어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난모세포는 적정 연령이 되면 ... ...
기존 반도체 공정으로 인간 뇌 모방한 뉴로모픽 반도체 만들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8.05
인간의 뇌를 모방한 고집적 뉴로모픽 반도체를 개발했다고 5일 밝혔다.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 8월호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뉴로모픽 반도체는 인간의 뇌를 모방해 인공지능 기능을 하드웨어로 구현하는 반도체다. 인간의 뇌가 매우 복잡한 기능을 수행하지만 불과 2 ... ...
치매 환자 맞춤형 돌봄법, AI가 알려준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8.05
치매 환자 돌봄에 필요한 정보를 바탕으로 인공지능(AI)이 최적의 돌봄 방법을 알려주는 기술이 개발됐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제공 국내 연구진이 치 ... 줄이는 데 효과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6월 8일 국제
학술
지 ‘의료인터넷연구 저널’에 실렸다. ... ...
노벨상 수상자 예측 ‘액체 금속 전자 구조’ 한국 물리학자들이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8.05
모델로 설명되던 액체 금속의 전자 구조를 실험에서 처음으로 확인하는 데 성공하고 국제
학술
지 ‘네이처’ 5일자(한국시간)에 발표했다. 이번 연구결과를 확장시키면 고온 초전도 현상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실마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초전도 현상은 절대온도 0도(영하 약 273도)에 가까운 ... ...
남극 황제펭귄도 멸종위기종 지정…지구온난화로 2100년 서식지 98% 사라져
동아사이언스
l
2021.08.04
영국남극조사단(BAS), 프랑스 파리대, 호주 극지연구소 등 국제 공동 연구진은 이날 국제
학술
지 ‘글로벌 체인지 바이올로지’에 발표한 논문에서 탄소 배출량이 현재 수준으로 유지된다면 2050년에는 황제펭귄 서식지의 70%가 사라지고, 2100년에는 황제펭귄의 98%가 서식지를 잃어 멸종에 이를 수 ... ...
코로나19 감염 폐 손상 일으키는 면역반응 특성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8.04
박수형 KAIST 의과학대학원 교수(왼쪽)와 최영기 충북대 의대 교수(가운데), 이정석 지놈인사이트 연구원 공동연구팀은 코로나19 감염 이후 바이러스가 증 ... 정교하게 만들 수 있는 근거를 마련했다ˮ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지난달 28일 국제
학술
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에 발표됐다 ... ...
곤충 모방 비행로봇 발명한 박훈철 건국대 교수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동아사이언스
l
2021.08.04
충격을 완화하고 다시 펼쳐져 비행하는 방식을 입증했다. 이 연구는 지난해 12월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에 발표됐다. 박 교수는 2002년 건국대 호숫가를 산책하던 중 무당벌레가 날개를 접었다 펼치며 비행하는 모습을 보고 모방 연구를 떠올렸다고 한다. 박 교수는 “이상하게도 그날따라 눈앞에 ... ...
[과기원은 지금] UNIST, 항암전구체 후보 '하이드록시메이토 코발트 3' 합성 반응 조절 원리 밝혀
동아사이언스
l
2021.08.04
억제할 수 있어 암세포만 골라 죽이는 항암전구체 후보 물질로 꼽힌다.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
지 ‘미국화학회지’에 지난달 27일 실렸다. ■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송우석 석박사통합과정생과 정동혁 석사과정생, 김태윤, 박주민 학생이 국가과학기술인력개발원(KIRD)에서 주관하는 ‘2021 대국민 ... ...
한미 연구팀 세계 최고 효율 열전소재 개발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8.03
정인 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교수 연구팀은 열전소재의 효율을 20% 이상 끌어올린 주석셀레늄계 소재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노스웨스턴대 제공 현 ... 열전발전기술 상용화의 새로운 지평을 열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
지 ‘네이처 머티리얼스’에 3일 발표됐다 ... ...
이전
713
714
715
716
717
718
719
720
7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