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간
놈
인류
녀석
인물
휴먼
개인
d라이브러리
"
사람
"(으)로 총 14,404건 검색되었습니다.
체온 낮추면 수명 늘어
과학동아
l
200612
요인이 발표됐다. 체온을 조절해 수명연장을 할 수 있다는 콘티 박사팀의 연구결과다.
사람
이 체온을 37℃로 유지할 수 있는 이유는 뇌 시상하부의 온도조절장치에 의해 미세하게 조절되기 때문이다.연구팀은 시상하부에 열을 발생시켜 방어작용으로 체온을 낮추게 하는 형질전환 쥐를 만들었다. 즉 ... ...
자면서 기억력 쑥쑥
과학동아
l
200612
사람
이 자는 사이 뇌에 전류를 흘려 기억력을 높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독일 뤼벡대 얀 본 박사는 깊은 잠에 들었을 때 뇌에 전류를 흘린 결과 단어 암기력이 8% 높아진 것을 발견 해‘네이처’11월 9일자에 발표했다.본 박사는 의대생 13명에게 잠들기 전 단어 46개를 외우게 했다. 실험 ... ...
INTRO 8일간 환상의 우주여행
과학동아
l
200612
태어나서 지금까지 이룬 성취 가운데 가장 위대한 경험이었습니다. 이 모든 경험을 여러
사람
들과 함께 나누고 싶습니다.”-미국인 물리학자 겸기업가(1945년생)-적외선 카메라 제조사 센서스 언리미티드 창업주-세 번째 ISS 우주여행객(2005년 10월 1~11일)-우주여행시간: 9일 21시간 15분-우주선: 소유즈 ... ...
취향 따라 골라 입는 패션 우주복
과학동아
l
200612
장치를 달아 몸이 떠 있을 때 움직이는 방향을 바꿀 수 있도록 했다.패션쇼를 관람한
사람
들은 옷 맵시와 기능을 동시에 살린 ‘패션 우주복’에 대체로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한편 좁은 우주선 안에서 입어야 한다는 사실을 간과한 채 스타일에만 치중한 것 같아 아쉽다는 반응도 있었다 ... ...
DAY 7 잠 못드는 우주의 밤
과학동아
l
200612
묶어두는 벨트도 있다. 중력이 없는 우주공간에서 바닥이라는 의미는 없다. 처음 보는
사람
은 서서 잔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눕거나 서거나 모두 똑같은 상황이다.우주비행사들은 하루 8시간 정도 잠을 잔다. 물론 한꺼번에 모두 잠을 잘 수 없기 때문에 교대로 잠을 잔다. 잠자는 8시간 동안에도 낮과 ... ...
생활 속 단위의 세계
과학동아
l
200612
비렁뱅이로 변장하고 남몰래 탐관오리의 잘못을 파헤치던 암행어사의 상징은? 흔히 말과 마부를 이용할 수 있는 증명인 마패만 알려져 있지만, ... 씀 직한 막대기의 적당한 길이가 1m고, 무심코 물건을 쌓아도 1m를 넘지 않는다. 사랑하는
사람
을 꼭 껴안았을 때 생기는 공간의 둘레도 약 1m다 ... ...
분단을 뛰어넘는 두루미 사랑
과학동아
l
200612
그대로다. 또 껑충껑충 뛰며 원을 그리기도 한다. 두루미가 가진 독특한 구애행동이다.
사람
들은 이를 ‘학춤’이라고 부르며 따라했고, 이 춤은 무형문화재 제40호로 지정됐다.자손을 많이 번식하는 일이 생물의 본능이지만 두루미는 다르다. 두루미는 보통 50년을 산다. 연을 맺으면 죽을 때까지 ... ...
쿨하게 열나게 온도의 과학
과학동아
l
200612
실용적이지 못했다. 현재 많이 쓰는, 유리 모세관을 이용한 수은온도계를 처음 발명한
사람
은 독일의 유리세공업자 파렌하이트(Fahrenheit)였다. 그는 이 온도계에서 가장 추울 때의 눈금을 0, 가장 더울 때의 눈금을 100으로 해 그 사이를 100등분한 눈금(화씨온도)을 사용했다. 요즘 화씨온도는 미국과 ... ...
행복한 엔지니어 이달우 회장
과학동아
l
200612
따뜻해진다고 이야기한다. 그러면서 할머니와 어머니의 지극한 사랑이 몸에 배어 다른
사람
을 존중하게 된 것 같고 이것이 기업을 경영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말한다. 더불어 “인간을 존중하는 것은 테크닉이 아니라 기본 철학”이라며 지도자의 소양을 갖추는 데 인간 됨됨이를 강조한다 ... ...
파킨슨도 깜짝 놀랄 초파리 연구
과학동아
l
200612
다른 동물에 비해 적다는 점도 중요한 이유였다.정 교수의 선택은 탁월했다. 초파리로
사람
질병유전자의 기능을 밝히는 연구를 시작한지 6개월 만에 첫 논문을 낼 정도로 성과가 빨랐던 것. 게다가 세포 수준이 아니라 개체 수준의 연구라 신뢰도가 높았다.정 교수는 2001년부터 ... ...
이전
715
716
717
718
719
720
721
722
7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