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직업
업무
사건
노동
작업
임무
일거리
d라이브러리
"
일
"(으)로 총 14,817건 검색되었습니다.
안형준 기자의 한국 최초 우주인 도전기Ⅲ
어린이과학동아
l
200621
“야호! 우주인을 향한 꿈에 한걸음 다가섰어!”한국 최초 우주인 1차 선발과정 합격증을 받고 나도 모르게 큰 소리로 외쳤어요. 마치 강민이 우주비행사 ... 꿈! 이번 시험을 통과해 30명의 후보 중 한 사람이 될 수 있을까요?(합격자는 10월 27
일
에 발표했지만 편집 사정으로 싣지 못합니다. ... ...
살아 쉼쉬는 녹색의 도시 --유럽의 환경생태도시를 만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621
생태숲을 만들어 생태계를 복원했지요. 현재는 국내뿐 아니라
일
본의 환경행정가들이 견학을 올 정도로 환경생태복원의 성공사례로 손꼽히고 있답니다. 울산뿐 아니라 전주, 대전 등 여러 도시들이 환경과 인간이 더불어 살 수 있는 모습으로 바뀌고 있습니다. 더불어 아저씨와 함께 ... ...
다무리아 마을에 나타난 악당 무라카와 쓰지마
어린이과학동아
l
200621
갖도록 하기 위해 사건을
일
으켰다. 하지만 지나친 생각과 행동 때문에 결국 화재까지
일
어나는 대형 사고가 되어 버렸다. 무라카와 쓰지마는 경찰에 잡혔고 감옥에 가게 됐다. 게다가 특수한 범죄인만큼 특수한 벌이 내려졌다.“100
일
동안 씻지 않고 감옥에 감금!”지금 무라카와 쓰지마는 컴컴한 ... ...
수성의 태양면 통과
어린이과학동아
l
200621
지구에서 봤을 때 수성이 태양면을 가로질러 갈 때가 있습니다. 이 때 망원경으로 보면 수성이 검은 점으로 보입니다. 이 현상은 11월 9
일
... 7시 5분이니까 약 2시간 동안 볼 수 있는 셈입니다. 다음 수성의 태양면 통과는 2016년 5월 9
일
에
일
어납니다. 금성은 2012년 6월 6
일
태양면을 통과합 ...
동이마을 비내리제
어린이과학동아
l
200621
소용돌이의 끝자리로 안내했다.“준호 다리
일
은 정말 죄송합니다. 그간 언짢았던
일
들은 모두 잊고 앞으로 잘 해봅시다.”마을 대표가 준호네 가족 한 사람 한 사람에게 악수를 청했다.굳어있던 준호 아버지 얼굴이 풀렸다.“구름 사건은 제가 잘못했습니다. 이 자리를 빌려 마을 여러분께 ... ...
어린이 과학동아는 어떻게 만들어질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0620
빨리, 더 많은 독자들에게 어린이과학동아를 보여 주기 위해 인쇄기술자들은 밤을 새서
일
하곤 합니다. 인쇄소에서 책이 완성되면 비로소 한 권의 어린이과학동아가 독자들에게 전달됩니다.필름 출력 ▶최종 완성된 과학기사와 만화를 데이터로 만들어 출력소로 전달합니다. 인쇄를 하기 위해서는 ... ...
안형준 기자의 한국 최초 우주인 도전기Ⅱ
어린이과학동아
l
200620
큰 물체
일
수록 속도가 변하는 정도가 작다는 뉴턴의 법칙을 이용해 만든 저울이에요. 만
일
제가 우주에 간다면 우주 저울이 제대로 작동하는지‘어린이과학동아’독자들에게가장먼저알려줄게요. 2 우주공간에서는촛불모양도 땅 위와 달라요. 땅위에서는 불꽃에 의해 뜨거워진 공기가 가벼워져 ... ...
똥의 향기에 취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620
똥냄새가 강해진다.뿡뿡뿡! 방귀를 뀌자수술을 한 환자들이 가장 기다리는 것이 무엇
일
까? 바로 방귀다. 수술 후 뀌는 방귀는 장의 운동이 정상으로 돌아왔다는 신호기 때문이다. 그러나 똥 못지않게 방귀 역시 우리의 얼굴을 찌푸리게 한다. 시간과 장소를 가리지 않고 뿡뿡 방귀를 뀌는 사람이 ... ...
핼러윈 목성 만들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0620
사람들은 10월 31
일
을 핼러윈(Halloween)이라고 부릅니다. 이 날은 어린이들이 떼를 지어 다니며 집집마다 문을 두드리고“Treat or trick!(트릿 오어 트릭)”이라고 외칩니다. 이 말은“우리에게 사탕 같은 것을 주지 않으면 골탕을 먹이겠다”라는 뜻입니다. 그러면 어른들은 준비했던 핼러윈 캔디를 ... ...
마이크로맨의 눈에 비친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0619
클수록 확대하는 능력도 커진다. 17세기 레벤후크가 개발한 현미경은 배율이 300배였고, 독
일
의 물리학자 루스카에 의해 10만 배 이상 확대할 수 있는 전자현미경이 등장했다. 원자현미경은 배율이 수천만 배여서 10억분의 1 단위의 나노 세계도 시원스레 볼 수 있다 ... ...
이전
715
716
717
718
719
720
721
722
7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