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
썬
sun
천체
햇빛
햇볕
햇님
d라이브러리
"
태양
"(으)로 총 3,453건 검색되었습니다.
20회 천체사진공모전 이글이글 타오르는
태양
과학동아
l
201204
출품한 작품을 심사하던 심사위원들이 감탄사를 내뱉었다. 영예의 대상은 ‘Sun(
태양
)’을 출품한 김일순 씨에게 돌아갔다. 그에 버금가는 작품도 많았다. 안드로메다은하, 오리온대성운, 플레이아데스 성단처럼 인기 좋은 천체는 물론 창의적인 구도로 밤의 풍경과 하늘을 아름답게 담은 작품도 ... ...
우주망원경 총정리
과학동아
l
201204
어두워지는 정도도 미약하다. 케플러는 0.002%의 빛 변화까지도 감지할 수 있다. 지구가
태양
을 가렸을 때 어두워지는 정도도 알아낼 수 있는 수준이다.[➊ 허블우주망원경 20주년 기념으로 NASA와 ESA가 허블우주망원경으로 찍은 용골자리 성운의 모습을 공개했다.][➋ 케플러의 이미지 센서. 42개의 CCD ... ...
물리학자가 우주상수에 집착하는 이유
과학동아
l
201204
변화가 없었다.이후 운석을 통해 α의 변동성을 조사한 적이 있었다. 운석은 우리
태양
계가 태어난 시점부터 46억 년의 역사를 간직하고 있다. 이 조사에서도 α는 변하지 않았다. 이렇게 지구에서 구할 수 있는 것으로 해본 조사에 따르면 적어도 지금부터 46억 년 전까지 α는 상수였다.그런데 ... ...
“녹색 지구 만든 조류(藻類)의 비밀을 밝히고 싶습니다!”
과학동아
l
201204
원생생물을 찾기 위해 시료를 채집하고 있다.]대학 1학년 때부터 채집여행 따라 다녀
태양
초 고추로 유명한 충남 청양에서 태어난 윤 교수는 어릴 때부터 산과 들을 돌아다니는 걸 좋아했다. 고등학교 시절 생물시간이 되면 늘 설레던 그는 취직이 어려울 거라는 담임선생님의 만류를 뿌리치고 1988년 ... ...
천문학 대 천체물리학
과학동아
l
201204
두세 시간, 기내식이 나오면 한동안 조용하다가 식후 차나 커피를 마신 후, 아 참 그리고
태양
이 언젠가는 지구를 삼키게 된다면서요 하고 다시 시작한다. 역시 재미난 얘깃거리이다. 비행기가 착륙할 때쯤 되면, 거의 한숨도 못 자고 대여섯 시간 동안 별나라 얘기를 한 뒤다. 흥겹긴 했지만 몸이 ... ...
나노 블록으로 미래 에너지 업그레이드
과학동아
l
201204
것이 목표다. 이는 전기에너지 1W 생성 비용을 0.5달러 수준까지 낮추는 것이다.하지만
태양
전지나 연료전지의 시스템과 부품을 눈에 보이지 않는 나노 크기로 설계하는 것이 혹시나 너무 먼 미래의 이야기는 아닐까. 최 교수는 알록달록한 한 장의 사진을 보여주었다. 꽃잎 같기도 하고, 벽지 무늬 ... ...
길을 잃었을 땐 ‘똥춤’ 춰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204
제가
태양
의 위치만으로 진행하던 방향을 기억한다고 말했어요. 또 구름 낀 날에 약한
태양
빛을 이용해 마치 나침반을 든 것처럼 제가 길을 찾는 걸 보고 감탄하기도 했지요.내 은신처로 가는 길도 알려줄 수 있겠니?제가 한 번 가봤다면 알려 드릴 수 있어요. 하지만 닥터 그랜마의 은신처를 제가 한 ... ...
쏠라 포스! 해를 품은 에너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1204
감탄하고 있었는데…. 따뜻한 물로 샤워를 마무리하고 나오면서 문득 우리 집은 언제
태양
에너지만을 이용해 살 수 있을지 생각해 봤어. 만약 그게 가능하다면 앞으로 전기나 가스가 다 닳아 없어질 걱정은 안해도 되지 않을까? 더불 어서 전기 요금이나 가스 요금도 안 내고 말이야 ... ...
수학으로 외계인 찾는다! MIB(Math in Black)
수학동아
l
201204
삼각측량을 이용한다면
태양
의 위치를 알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하지만 일부 과학자들은
태양
의 위치를 기록하면 안 된다고 주장했다. 외계인들이 이 동판으로 지구의 위치를 알고 지구에 공격할 수 있다고 여겼기 때문이다.외계인에게 보낸 수학메시지 2 아레시보 메시지 1974년 프랭크 드레이크 ... ...
행성 많아 외계인 발견 확률 높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203
태양
처럼 빛을 내는 항성이 1000억 개가 넘어요. 1994년까지만 해도 행성이 있는 항성은
태양
외에는 발견하지 못했어요. 하지만 우주 과학 기술이 발달하면서 수많은 행성을 발견하고 있어요. 연구팀은 먼 항성에서 지구로 오는 빛이 중력 때문에 휘는 ‘미세중력렌즈’ 현상을 주로 사용해 행성의 ... ...
이전
67
68
69
70
71
72
73
74
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