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강의
연설
강좌
강습
웅변
스피치
발표
d라이브러리
"
강연
"(으)로 총 912건 검색되었습니다.
2 침팬지도 문장 만들 줄 안다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제인 구달 박사는
강연
을 시작할 때 언제나 청중들에게 이렇게 ‘팬트 후트’(pant hoot)로 첫인사를 한다. 팬트 후트는 침팬지들이 멀리 떨어져 있을 때 서로의 존재를 알리는 소리로서 침팬지마다 음색과 강약이 제각각이다. 작년에 일본 교토대 영장류 연구소를 방문했을 때 필자는 팬트 후트의 ... ...
자크루즈리의 해양건축 세계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구조로 지어질 것이다.다음번 한국에 올 때는 우주공간의 거주시설과 건축물에 관한
강연
회를 가져볼 참이다.자크 루즈리는 누구인가?1945년생인 자크 루즈리는 지난 30년간 ‘바다에 살기’라는 명제를 실현하기 위해 과학과 예술, 교육을 통합시킨 자신만의 독특한 건축 세계를 구축해 왔다. 1969년 ... ...
1 제인구달 인간과 동물의 경계 허물다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한다.11일 오후 서울대 문화관에서 ‘침팬지와 나의 인생’이라는 제목으로 구달 박사의
강연
이 진행됐다. 침팬지 언어로 첫인사를 한 그는 고령의 나이에도 불구하고 피곤한 기색이 없다. 박사와 성격이 비슷한 침팬지도 있냐는 초등학생의 질문에, 인내심이 강하고 똑똑하며 온화한 성품이 자신을 ... ...
최초의 나노과학자 돌턴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진짜 축구공으로
강연
에 온 어린이들과 즐거운 시간을 보냈다.14일 크로토 박사가
강연
을 한 곳은 맨체스터 시청이다. 이곳에서도 돌턴의 흔적을 찾아볼 수 있는데, 시청 입구에 들어서자마자 돌턴의 조각상이 서있다. 맞은편에는 그의 제자이며 열역학 제1법칙을 발견한 제임스 줄의 조각상이 있다 ... ...
2003 제2회 닮고 싶고 되고 싶은 과학기술인의 끼끈꾀꿈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수 있을까. 이 문제에 대한 해결사가 바로 장 교수 자신이다. 30여년 간 대학과 각종 대중
강연
회에서 물리학을 쉽게 풀어낸 노하우가 있기 때문이다.장 교수는 다시 태어나도 반드시 물리학자가 될 것이라 단언하는 물리학 예찬론자다. 제자들이 전공을 바꾸려 할 때 ‘갈 땐 가더라도 물리학을 쥐고 ... ...
숲에서 오감의 즐거움 체험한다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에서는 대학 교수, 연구원 등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자원봉사로 참여해 환경에 대해 직접
강연
과 시범을 보인다. 지금까지 총 2천3백명이 넘는 인재를 배출한 만큼, 매년 전국 각지에서 수천명의 지원자가 몰려들 정도로 국내에서 손꼽히는 환경체험캠프다. Green Camp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 ... ...
열역학의 시인 일리아 프리고진 타계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1977년 노벨 화학상 수상자로, 그리고 16개 국어로 번역된 베스트셀러인 ‘혼돈으로부터의 질서’의 저자로 우리에게 널리 알려진 일리아 프리고진 ... 과학과 예술에서의 창조성), 그리고 ‘카오스: 새로운 패러다임’이라는 제목의 공개
강연
을 했으며 대한화학회의 명예회원으로 추대됐다 ... ...
국내 최고 논문왕 자랑하는 수학자 박세희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사회적 수요가 거의 없어져서’ 국제활동으로 눈을 돌렸다고 한다. 학회 참석,
강연
, 공동 연구 등으로 1년에 5-6차례 외국에 나다니게 됐다.“교수님은 위상수학을 전공하셨지만 수학의 다른 분야인 비선형해석학을 주로 연구해오셨습니다. 관심의 변화 때문인가요?”“대학 다닐 적에는 논리나 ... ...
과학 전도사들의 눈높이
강연
2백 47회 달성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일반인들에게 과학기술에 대한 새로운 면과 희망을 보여준 과학기술 앰배서더 과학
강연
. 끝은 또 다른 새로운 시작을 의미한다. 모든 과학기술 앰배서더가 땀흘려 진행한 2002년 과학기술 앰배서더 사업이 과학기술문화 대중화를 위한 소중한 밑거름이 되기를 기대한다 ... ...
과학과 인문학 사이 다리 놓은 과학기술학자 송상용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인문학 사이의 의사소통 단절을 두고 ‘두 문화와 과학혁명’이라는 주제로 이와 같은
강연
을 했다.당시 우리나라에는 과학자의 길을 접고 두 문화의 중간영역을 고심하는 한 대학생이 있었다.결국 그가 선택한 길은 과학사·과학철학 분야.과학사·과학철학은 오늘날 더욱 심하게 분열된 과학과 ... ...
이전
67
68
69
70
71
72
73
74
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