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방
지역
지구
장애
정지
고충
이의
d라이브러리
"
고장
"(으)로 총 810건 검색되었습니다.
열과 전기의 비밀통로 무전기로 둔갑한 「빨치산반합」
과학동아
l
1990년 03호
쾌적한 온도가 유지되고 있다. 또 이러한 냉·난방방식은 소음이 없고 구조가 간단하며
고장
이 적으므로 가정용 냉장고나 냉·난방장치로 상품화가 기대된다.열전냉각은 아직도 전자공업을 위시한 다방면에서 용도개발이 진행중에 있다. 현재 열전냉각에 이용되는 열전재료는 주기율표Ⅴ족 원소인 ... ...
사냥의 명수 사자
과학동아
l
1990년 03호
결론짓고 있다.호랑이는 분명 아시아에서만 발견할 수 있는 맹수다. 반면 사자는 본
고장
인 아프리카는 물론 이고 옛날에는 유럽 서아시아 인도 등 넓은 지역에 걸쳐서 살았다. 그래서 이들 지역에서는 사자가 최고의 맹수로 알려져 왔다. 그러다가 사자는 인간문명의 북새통에 점차 밀려 오늘날에는 ... ...
PARTⅡ 신호등과 컴퓨터의 만남
과학동아
l
1990년 02호
내장돼 있다. 따라서 기계의
고장
으로 모순상황이 발생하면 신호의 회전 등은 제어기의
고장
을 알리는 적색 점멸상태가 된다.각 페이스의 청신호 시간은 해당 방향의 교통량에 따라 결정되지만 그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횡단보도가 있는 경우의 횡단보행시간이다. 보행자의 보행속도를 1초당 1.2m로 ... ...
연구실에서 기술정보를 찾아본다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통해 원문을 전송해 줄 수 있다. 특별한 부속의 별도 구입이 필요없다면 이 배는 신속히
고장
을 회복할 수도 있을 것이다.정보 수요자가 원하는 정보를 신속히 자신의 작업장 내에서 획득할 수 있다는 것은 과거에는 상상할 수도 없었던 커다란 과학기술의 진보이다. 더욱이 도서관전산망은 기술문헌 ... ...
겨울이 두렵지 않은 북극땅다람쥐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다람쥐의 배 속에 있던 장비들을 다시 꺼내 점검해 보기도 했다. 그러나 장비에는 아무론
고장
도 없었다.실제로 빙점 이하의 체온은 그동안 어떤 포유류도 작성하지 못한 신기록이다. 예컨대 곰의 경우 정상체온(37.8℃)보다 불과 5℃ 정도 떨어진 상태로 겨울잠을 잔다. 이 방면에서 종전챔피언이었던 ... ...
PARTⅠ풍력발전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풍력발전기를 개발 보급하게 되면, 내구 연한이 짧고 연료를 계속적으로 공급해야 하며
고장
이 잦은 등 결점이 있는 기존의 디젤발전보다 안정되고 값싼 전력의 공급을 기할 수 있게 된다.따라서 국내에서의 풍력발전 연구는 낙도나 오지와 같은 미전화지역에 적합한 신뢰성 있는 풍력발전기를 ... ...
공사비 적게 들고 곡선주행 빠른 모노레일 항공전철의 가능성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그러나 아무래도 안전성에서 다소 문제발생의 소지가 있다. 공중에 있으므로 화재나 기계
고장
과 같은 위급한 상황하에서 대처가 곤란하고 지표면에 비해 심리적인 불안감을 줄 수 있다. 정지시의 균형유지와 정거장설치도 항공전철이 안고 있는 과제.무엇보다 아직 세계 어디에서도 이러한 방식의 ... ...
환경파괴 없는 남극개발에 나설 때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모르는 극한 상황에 대한 적응능력이 요구된다. 또한 남극에 투입되는 모든 장비는
고장
에 대비해 예비부품을 항시 준비해야 한다.마지막으로 남극연구는 연구 그자체도 큰 프로젝트이지만 연구인원과 장비, 기지를 유지하는데도 많은 노력이 소요된다. 따라서 남극연구에 긴 역사를 가진 나라들은 ... ...
80년대의 한국 과학·기술 양과 질에서 눈부신 변화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헝가리에서도 조업을 개시한다. 1986년에는 전륜구동형 승용차를 개발하여 자동차의 본
고장
인 미국시장에 진출하기 시작했으며 국내조선소는 한때 세계에서 최고의 조선실적을 올리기도 했다.이렇게 우리의 조립기술은 이제 신진국을 바짝 뒤쫒는 자리에 와있으나 가공기술이나 제품의 ... ...
수동적 자세로는 뒤지기 마련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하고, TV의 브라운관이 어떻게 생겼나 궁금해져서 뜯어보다가, 멀쩡한 텔레비전을
고장
내기도 했다. 공학의 여러 분야 중에서 전자공학에 뜻을 둔 것은 고등학교를 입학한 직후였다. 물론 그 당시 나는 전자공학이라는 학문을 거의 알지 못했다. 지금 생각하니 전자공학을 모르고 전자공학을 지원한 ... ...
이전
67
68
69
70
71
72
73
74
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