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규모
범위
한계
스케일
d라이브러리
"
넓은
"(으)로 총 2,124건 검색되었습니다.
2030년 전기로 달린다! 꼬마 전기자동차 붕붕~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20호
탄소 코팅을 한 것처럼 말이죠. 탄소는 전기를 전달하는 능력이 뛰어나기 때문에 더
넓은
면적으로 더 빠르게 충전할 수 있답니다. "‘어린이과학동아’ 친구들 안녕하세요. 저는 전기자동차 기반 시설을 만드는 회사인 베터 플레이스(Better Place)에서 일하는 조나단이에요.베터 플레이스에서는 ... ...
[knowledge] 하늘에서 땅끝까지, 식물과 달리다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한·중 연구자들에게 윈난의 식물에 대해 알리는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다.그렇다면
넓은
윈난에 식물 자원이 풍부한 이유는 무엇일까. 이 센터장과 상의 끝에 윈난 지역에 식물 자원이 다양한 이유를 직접 살펴보기로 했다. 해발고도 2000m, 북위 25도에 위치한 쿤밍에서 시작해 윈난 지역 최남단인 ... ...
PART 2. 마법의 블루 팩토리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데 한계가 있다는 얘기다. 그래서 세공 크기가 다양하면서도 표면적이 제올라이트보다
넓은
물질이 필요해졌다. 한국화학연구원 장종산 박사팀은 제올라이트보다 훨씬 성능이 뛰어난 ‘하이브리드 나노세공체’ 개발에 성공해 현재성능을 높이는 작업을 하고 있다. 유기물과 무기물을 결합해 ... ...
화학자가 본 플루오린화 수소 유출 사고의 진실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양의 플루오린화 수소가 에어로졸 상태로 유출되면 사실상 뾰족한 대책이 없다. 가스가
넓은
공간으로 퍼져나가거나, 빗물에 녹아 지표로 떨어지기를 기다릴 수밖에 없다. 공기 중으로 퍼져 나가는 플루오린화 수소에 가루 상태의 소석회를 뿌리는 것으로는 실질적인 효과가 없다. 결국 처음부터 ... ...
검은 황금 어디까지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매장 장소를 확보하지 않아도 확정 매장량을 네 배 이상 늘릴 수 있다. 세계에서 가장
넓은
영토를 바탕으로 2000년대 들어 사우디아라비아를 제치고 최대 산유국으로 등장한 러시아가 셰일 가스를 전혀 발굴하지 않았다는 것까지 포함하면 앞으로 셰일 가스가 차지할 비중이 더욱 높아질 것으로 ... ...
도전! 서울대 수시 합격하기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스스로 열정을 갖고 공부했다면 더욱더 높은 평가를 받을 수 있다. 서울대는 얼마나 깊고
넓은
지식을 어떻게, 왜 습득했는가를 평가한다. 21세기 세계는 지식기반 사회로 급변하고 있다. 독창적 기술을 갖고, 변화하는 세계에 창의적으로 적응하는 민족만이 살아남을 수 있다. 독서나 자기주도 학습 ... ...
미래 에너지 산업은 촉매가 이끈다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실험실 세팅에 대부분 시간을 할애했다. 1년 정도 지나 실험실다운 환경이 갖춰질 무렵,
넓은
공간으로 이사를 했다. 실험실 세팅을 다시 반복했다. 이런 경험 덕분에 실험을 할 때 사용하는 실험장비, 분석장비에 대해 정말 잘 알게 됐다. 지금은 이 경험이 실제 회사 생활에 소중한 자산이 됐다 ... ...
농사는 인류를 부자로 만들었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배를 부여잡고 일할 수 밖에 없습니다. 반면 농경 이전의 채집생활을 하는 사회에서는
넓은
지역을 돌아다니면서 다양한 먹거리를 채집하고 사냥했습니다. 그래서 특정한 먹거리가 떨어져도 다른 먹거리로 대체할 수 있었죠. 배 터질 정도로 먹는 경우는 드물었지만 그렇다고 굶주리는 경우도 거의 ... ...
3D로 보는 인체의 비밀 ➋ - 남녀의 골반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확실히 알 수 있다. 엉치뼈와 두 골반뼈로 이뤄진 고리 모양 입구(골반연)를 보면 여성은
넓은
타원형이고 남성은 그보다 좁은 하트 모양이다. 두 골반뼈가 이루는 관절 아래쪽의 두덩밑각은 여성에 비해 남성이 훨씬 좁다. 다른 뼈대처럼 남성의 골반뼈가 더 두껍고 튼튼하며 근육이 붙는 능선이 더 ... ...
잊혀진 ‘삭금’의 고장, 김포 한강 하구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날아오는 곳이다. 한반도를 찾는 약 10만 마리의 큰기러기 중 상당수가 이곳에 펼쳐진
넓은
김포평야와 한강하구 습지에서 먹이를 먹고 한숨 돌린 뒤 천수만 등 전국 각지의 논과 습지로 향한다. 일부는 그대로 남아 겨울을 난다. 또다른 철새 도래지인 철원이나 천수만은 30만 마리씩 찾아오는 또다른 ... ...
이전
67
68
69
70
71
72
73
74
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