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만리경
천리경
쌍안경
축원경
반사망원경
반사
사진망원경
d라이브러리
"
망원경
"(으)로 총 1,853건 검색되었습니다.
아폴로 박사 조경철을 그리며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안타까워했다. 내년 초에 문을 열 예정인 이곳에는 국내 시민천문대 중 가장 큰 지름 1m
망원경
이 설치될 계획이다. 빈소에서 만난 이태형 천문우주기획 대표는 “말년에 전국 각지로 시민천문대를 건립하기 위해 함께 다녔는데 산을 파는 공사를 반대하던 어르신들에게 ‘천문대는 말뚝을 박는 곳이 ... ...
수학과 과학은 영원한 찰떡궁합
수학동아
l
2010년 04호
것이다. 전파를 수신하는 전파
망원경
도 마찬가지다. 넓은 포물면으로 되어 있는 전파
망원경
은 희미한 전파를 반사시켜 한 점에 모은다.우리 생활에서는 자동차의 헤드라이트나 손전등이 포물선의 성질을 이용하고 있다. 헤드라이트나 손전등은 포물면과 초점에 놓인 전구로 이뤄져 있다. 초점에 ... ...
수학자? 과학자?②
수학동아
l
2010년 04호
없앴다. 반사
망원경
은 굴절
망원경
보다 크게 만들기 쉬워 지금도 대형
망원경
은 주로 반사
망원경
으로 만든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영원한 찰떡궁합 수학과 과학 최초의 수학자와 과학자는 누구? 수학은 과학에 어떻게 공헌할까? ①수학은 과학에 어떻게 공헌할까 ②수학자? 과학자?① 수학자? ... ...
수학은 과학에 어떻게 공헌할까 ②
수학동아
l
2010년 04호
행성의 궤도를 계산해 발표했다.얼마 뒤 독일의 천문학자 갈레는 그들이 발표한 궤도를
망원경
으로 관측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얼마 뒤 계산으로 알아 낸 궤도에서 얼마 떨어지지 않은 곳에서 새로운 행성을 발견했다. 태양계 여덟 번째 행성인 해왕성이었다.지금은 행성에서 빠졌지만 명왕성 ... ...
빅뱅 직후 우주에는 쿼크가 흘렀다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날에는 멀리서 불빛을 제대로 볼 수 없는 것과 같은 이유다.빅뱅 직후 초기 우주를
망원경
으로 볼 수 없다면, 지상의 실험실에서 재현할 수는 없을까. 이 물음에 대한 해답을‘미니빅뱅’이라 부르는 중이온가속기 실험에서 찾을 수 있다. 최근 미국 뉴욕 주에 있는 브룩 헤이븐국립연구소(BNL)의 ... ...
두 소행성 충돌이 낳은 우주방랑자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혜성은 태양에서 3억km, 지구에서 9000만km 떨어진 곳을 날고 있다. 1월 25일과 29일 허블우주
망원경
에 잇따라 포착된 이 혜성은 알파벳 X자 모양의 독특한 형태를 띠고 있다. 일반 혜성이 매끈한 모습으로 가스에 둘러싸여 있는 형태를 띠는 것과는 대조적으로 이 혜성은 구조가 복잡하다. 혜성 꼬리는 ... ...
천 년 전 경주의 밤하늘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위해 꾸려진 관측팀이다.잠시 후 해가 지자 본격적인 관측이 시작된다. 관측팀은 현대식
망원경
과 고천문의기인 소간의를 써서 경주의 밤하늘을 누비며 관측한다. 밤새 계속된 관측은 이튿날 새벽까지 이어진다. 신라시대 천문관원도 이렇게 신라의 밤하늘을 관측하지 않았을까.절기를 찾는 열쇠, ... ...
태양보다 200배 큰 별 폭발 장면 잡았다 !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있다. 즉 16억 년 전에 일어난 폭발을 지금 바라보고 있는 셈이다. 워낙 거리가 멀다 보니
망원경
에서 희미한 별로 보이지만 실제로는 보통 초신성보다 100배는 강력한 폭발을 일으켰다. 그렇다면 ‘쌍불안정성 초신성’은 보통의 초신성과 어떤 점이 다른 걸까.별은 질량에 따라 그 운명이 달라진다. ... ...
수학으로 빅뱅을 그리다
수학동아
l
2010년 02호
볼 수 있는 물리적인 과정을 수학 모델로 표현한 것이지요. 레이놀즈 교수는 최대한 천체
망원경
의 관측 결과와 비슷한 값을 갖는 시뮬레이션 모델을 만들면 우주의 생성을 계산할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하지만 이 모델은 복잡한 수백만 개의 방정식, 데이터, 미지수로 이뤄졌기 때문에 성능이 ... ...
토종 '달 지도'가 나왔다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씨가 지난해 10월 4일 충남 아산시 송악면 마곡리에 있는 호빔천문대의 지름 350mm 반사
망원경
을 이용해 촬영했다. 표면 지형 확대사진은 아마추어천문가 최승룡 씨가 2003년부터 최근까지 촬영했다.위원회는 120여 장의 디지털 사진 가운데 30장을 골라 모자이크 기법으로 지도를 완성했다. ... ...
이전
67
68
69
70
71
72
73
74
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