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여과성병원체
virus
병원체
병원균
병균
세균
해독
d라이브러리
"
바이러스
"(으)로 총 1,815건 검색되었습니다.
[지식] 진단, 나 너 믿어도 돼?
수학동아
l
2015년 08호
환자는 가래를 뱉기 어렵다. 그래서 감염된 환자라도 가래를 충분히 뱉지 못하면 메르스
바이러스
를 감지할 수 없다.하지만 진단 결과가 달라진 사례는 메르스뿐만이 아니다. 진단을 할 때 몸속 사진을 찍어 판독해야 하는 경우 예상과 다른 진단 결과가 나오기도 한다. 과연 의사의 진단은 얼마나 ... ...
Part 1. MERS 진실 혹은 거짓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14년 영국의학전문저널 ‘랜싯(Lancet)’에 실린 논문에 따르면 메르스에 걸린 환자에게 항
바이러스
제인 ‘리바비린(Ribavirin)’과 인터페론제 ‘페가시스주’를 투여했을 때 생존자 수가 2배 가량 늘어났다. 완치된 사람의 혈장을 투여하는 ‘혈장주입치료법’도 있다. 완치된 사람의 혈장에는 ... ...
확산 모형으로 메르스 길목 막는다
수학동아
l
2015년 07호
감염된 사례가 나와 감염 경로에 대한 궁금증이 커지고 있다.메르스
바이러스
는 감기
바이러스
처럼 변이가 심해 백신이 없고, 메르스 감염자 가운데 사망하는 사람도 있어 모두가 긴장하고 있다. 질병 유행 분석하는 질병역학질병역학이란 사람이 걸리는 병의 원인을 찾고, 병에 영향을 주는 요인 ... ...
Part 2. 의료인류학으로 본 MERS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병원체에 대해서 충분히 조사, 연구하고 적절한 예방백신과 치료약을 개발하면 메르스
바이러스
와 같은 병원체도 잘 길들일 수 있을 것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Part 1. MERS 진실 혹은 거짓Part 2. 의료인류학으로 본 ... ...
재채기로 건물 전체에
바이러스
퍼진다!
수학동아
l
2015년 07호
최근 메르스로 인해 기침이나 재채기를 할 때 침방울이 어디까지 날아갈 수 있는지 사람들의 관심이 집중됐습니다. 이와 관련해 지난해 4월 학술지 ‘유체역학’에 실렸던 연구가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수학과 리디아 부루이바 교수팀은 초고속 카메라로 재채기를 통해 뿜 ... ...
[과학뉴스] 생물학 무기 탄저균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80%가 넘는 생화학 테러 물질이다. 치사율이 10% 안팎(6월 말 대한민국 기준)인 메르스
바이러스
와는 독성이 비교도 안 된다. 하지만 미국 국방부가 5월 27일 이 사실을 성명을 통해 발표하기 전까지 누구도 그 존재를 알지 못했다. 살상력 크고 공기로 전염돼민간 배송업체 페덱스를 통해 배달된 탄저균 ... ...
메르스보다 탄저균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냉동 환경에서도 분말 포자 상태로 10년 이상 살아남는다. 중동에서 들어온 메르스(MERS)
바이러스
보다 훨씬 무시무시한 존재인 셈이다. 불필요한 공포심을 가질 필요는 없지만 전쟁용 살상무기가 홈쇼핑에서 주문한 물건처럼 택배로 배달되는 현실을 이대로 넘겨 버려선 안 된다 ... ...
메르스 공포가 이웃을 향할 때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실수를 하기 마련이다. 감염자들이 절대 나쁜 사람이 아니라는 말이다. 누구보다 힘들게
바이러스
와 싸우고 있는 이 땅의 환자들이 병보다 자신을 향한 각종 혐오나 차별과 싸우도록 놔둬서는 안 된다 ... ...
긁적긁적~! 가려움 극복 대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7호
이는 수분이 증발하면서 피부 온도를 낮추기 때문이지요. 그러나 침에는 세균이나
바이러스
가 많아요. 이 세균들로 인해 이차감염이 생길 수 있지요. 따라서 가렵다고 침을 바르는 것은 금물!3 밤이 되거나 체온이 오르면 가려움은 더 심해진다? YES!밤에는 다른 일에 대한 집중도가 떨어지면서 ... ...
축복인가 재앙인가 유전자 가위 크리스퍼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내성을 가지고 있었다. 마 치 사람이
바이러스
에 감염되고 나면 항체가 생겨 이 후에 그
바이러스
에 대해 내성을 갖는 것처럼, 비슷한 적응면역이 박테리아에서도 존재한 것이다.다니스코 연구팀은 이어진 연구에서 정체를 알 수 없던 크리스퍼가 적응면역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도 밝혀냈다. ... ...
이전
67
68
69
70
71
72
73
74
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