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발사"(으)로 총 2,131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1300년 전 석탑, 그 원형을 찾아과학동아 l2015년 05호
- 해체 전과 중간, 후에 각각 3D 스캐너로 탑의 입체 정보를 기록 했습니다. 레이저를 발사해 물체에 부딪혀 되돌아오는 빛의 정보를 분석해 3차원 형태를 읽어내는 기술입니다. 제가 현장을 찾았을 때 마침 실연을 하고 있었는데, 40분만에 교실 하나 넓이인 석탑 부지를 정교하게 읽어냈습니다. 박성호 ... ...
- 화재 막는 과학 우리 집을 지켜라!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4호
- 활용하기 위해 집 울타리 대신 심기도 한답니다. 로켓 3000℃에서 견디는 비법로켓은 발사할 때 엄청난 압력과 1500~ 3000℃에 이르는 불길이 생겨요. 이렇게 높은 온도에서도 로켓은 타거나 녹지 않지요. 로켓 표면에 열에 강한 세라믹으로 보호 코팅을 했기 때문이에요. 세라믹은 도자기를 만드는 ... ...
- [과학뉴스] 심우주 탐사를 위한 나사의 새 로켓과학동아 l2015년 04호
- 달과 소행성, 화성, 그리고 그 너머까지 탐사할 수 있도록 설계된 거대한 심우주 발사체 SLS(Space Launch System)가 2018년 처음으로 비행할 예정이다. ...
- [Knowledge] 3000t급 잠수함 장보고-III 산실, 육상통합시험장에 가다과학동아 l2015년 04호
- 전기를 저장하고 저장한 전기로 프로펠러를 돌리는 추진시스템, 각종 어뢰, 미사일 등을 발사하고 다른 잠수함을 회피할 수 있게 탐지하는 무기통제 시스템, 선박 내 이산화탄소 등 불순물을 제거하고 온도와 습도를 적절하게 맞추는 생활관리 시스템 등이다. 배전반은 이런 선박 내 모든 시스템에 ... ...
- [Knowledge] 유로파를 향해 떠나다과학동아 l2015년 04호
- 탐사팀은 5년 전부터 강도 높은 훈련을 받아 왔다.고흥 발사기지에서 우주거북선 호가 발사 카운트를 기다리고 있다. 탐사선 창문 너머로 푸른 고흥 앞바다가 보였다. 왕복 1년, 체류기간 1년. 지구의 물은 2년 뒤에나 다시 볼 수 있을 터였다. 유로파에도 물이 있다지만 지구의 물과는 느낌이 다를 ... ...
- 1억 번째 태양 사진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4호
- 3000km 상공에서 사진이 날아왔어요!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2010년 2월 11일 발사한 태양활동관측위성(SDO)이 보낸 사진이에요. 올해로 만 5년이 된 SDO는 그동안 어마어마한 양의 태양 사진을 보냈지요. 그리고 1월 19일 미국 동부표준시간 오후 12시 49분, 1억 번째 사진을 찍었답니다.SDO에는 관측카메라가 ... ...
- [과학뉴스] ‘아리랑 3A호’ 26일 러시아에서 발사과학동아 l2015년 04호
- 있다고 11일 밝혔다.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2006년부터 8년간 개발한 아리랑 3A호는 발사 후 4년 간 528km 상공에서 지구 관측을 수행할 예정이다. 중량은 1.1t으로 한국위성 최초로 고성능 적외선 센서를 탑재해 야간에도 관측이 가능하다. 또 0.5m급 국내 최고 해상도의 광학렌즈를 이용해 도시 열섬현상과 ... ...
- 게임보다 더 재밌는 넥슨컴퓨터박물관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3호
- 핵심은 프리즘과 광학 센서!우리가 가장 많이 쓰는 것은 ‘광 마우스’예요. 빛을 발사해 바닥에 반사된 빛으로 움직임을 인식하는 원리지요. 마우스를 컴퓨터에 연결하면 LED에서 빛이 나와요. 이 빛은 프리즘에 닿아 굴절되고, 구멍을 통해 바닥에서 한 번 더 반사되어 광학센서로 들어가지요.광학 ... ...
- [Knowledge] 지상에서 운용되는 우주기술과학동아 l2015년 03호
- 제안하며 이 분야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었어요.”1kg짜리 위성 하나를 1억 원 정도면 발사할 수 있다고 했다. 굳이 비싼 국제우주정거장(ISS)까지 가지 않아도 되니 얼마나 좋은지. 더구나 추진모듈까지 더하면 항성간 우주선 탑재물로도 개발할 수 있다고 했다. 노아의 방주처럼 생명체를 담아 먼 ... ...
- [Life & Tech] EXO직캠 찍어볼까?과학동아 l2015년 03호
- 외계행성은 1992년 처음 확인된 이후로 거의 발견되지 않다가, 2009년 케플러우주망원경 발사 이후로 활발하게 연구가 시작돼 지금까지 2000개가 밝혀졌다. 절반은 케플러 망원경이 찾은 것이다. 김 연구원은 “특히 외계생명체가 살 수 있는 지구형 행성이 과학적인 의미가 높다”고 말했다.조 교사는 ... ...
이전676869707172737475 다음